인공지능에 대한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두

2. 인공지능의 역사
(1) 제1기 : 태동기(1943~1951)
(2) 제2기 : 초기 관심기(1952~1965)
(3) 제3기 : 침체기(1966~1974)
(4) 제 4기 : 활성기(1975~1988)
(5) 제5기 : 융성기(1989~현재)

3. 인공지능의 응용분야
(1) 신경망(Neural Networks, NN)
(2)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s, GA)
(3) 퍼지이론 (Fuzzy Theory)
(4) 에이전트 시스템 (Agent System)
(5)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s)
(6) 패턴인식 (Pattern Recognition)
(7) 자연언어 시스템(Natural Language Systems)
(8) 지식베이스 시스템 (Knowledge-base System)
(9) 데이터베이스(database) 응용
(10) 데이터마이닝 기법 (Data Mining)
(11) 정리 증명(theorem proving)
(12) 로보트 공학(robotics)
(13) 자동화 프로그래밍
(14) 문제 풀이 및 계획 수립
(15) 식별

4. 우리나라 AI 연구 실정

5.인공 지능의 한계

6. 맺음말

본문내용

라 철학적인 관점에서도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것은 ‘컴퓨터의 인간화’가 아니라 ‘인간의 컴퓨터화’에 관한 것이다. 즉 인간에 대한 컴퓨터의 기술적 지배가 만연되어 따라 오히려 인간이 컴퓨터 방식의 논리체계와 사고 방식에 따라가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의구심은 인공지능에 대한 학술적 논의가 절정에 달하던 1970년대 초부터 가시화 되었다.
“지난 10년 동안(1976~85) 인공지능은 비약적으로 발전해왔다. 이 기간 중의 과학적 발전이나 기술적 발전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느끼십니까? 이 진보가 그 이전의 10(1966~75)에 비해 가속화되었다고 보십니까 아니면 난문제들을 공략하는 데에 시간을 보냈기 때분에 그 진보의 속도가 감속되었다고 보십니까?” 그리고 “지난 10년 동안 귀하의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발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이런 물음들은 잡지 <인공지능>의 편집자들이 인공지능 전문가들에게 제시한 질문 중의 하나이다 잡지; Bobrow and Hayes(1985), pp 380~381
여기서 편집자들은 이미 인공지능의 발전은 당연한 것으로 전제하였다. 그러나 그 응답자 모두가 바로 그 전제에 동의하지는 않았다 그 중에는 드레퓌스(Dreyfus)의 부정적 응답이 그 대표적인 실례이다. 위의 책 p. 381
그는 “인공지능 분야는 파카토스가 퇴행성 연구프로그램이라고 지칭한 것에 꼭 알맞는 실례이다”이다 라고 주장하였다. 그는 표현 불가능한 배경 규범이나 지식을 논거로 하여 컴퓨터가 인간과 같은 지적 행동을 할 수 없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Dreyfus(1986)과 Dreyfus(1990)
즉 컴퓨터로 할 수 없는 인간의 독특한 이성적 본질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인공지능에 대한 학설은 인간의 이성(理性)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컴퓨터의 기능적 논리만 일방적으로 강조한 나머지 왜곡된 기술관을 조성하는 과오를 빚게 된다고 역설한다
그리고 드레퓨스에 이어 Weisenbaum에 의해 인공지능에 대한 영향력 있는 비판도 제기 된다 그는 인공 지능 기술이 인간의 윤리관에 전혀 도움이 될 수 없다는 비판적 논의를 전개했다 그의 논지를 정리하면
첫째, 컴퓨터가 인간의 사고와 생활양식에 절대 ‘침투’해서는 안될 영역이 있다는 것이다
둘째, 컴퓨터의 인공지능적 개발의 과정은 과학적이기 보다는 기술에 가까워 그 책임자들이 윤리와 인식에 바탕을 두지 않는 다는 것이다
셋째, 컴퓨터나 인공지능 분야에 대한 인간의 상징적 의미부여가 너무 확대, 과장되어 인간 본연의 가치관적 기준이 궁극적으로 기술적 논리에 기준을 둬 비인간적인 결과를 낳는다는 것이다
6. 맺음말
우리 인간은 지능으로 인해 오늘날의 모습을 가질 수 있었고, 만물의 영장이라 불릴 만큼의 여타의 다른 동물과는 다르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이러한 인간의 특유한 위치와 인간의 존엄성을 믿어 왔던 대다수의 사람들은 마음을 기계로 간주하는 것에 대해 아마도 심한 거부감을 느낄 것이다. 마치 다윈(Darwin)이 진화론을 발표했을 때, 당시의 사람들이 느꼈던 감정과 유사할 것이다. 동물에 대한 선입관과 마찬가지로 기계에 대한 선입관 또한 쉽게 떨쳐 버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제 컴퓨터는 단순한 기계가 아니다. 그것은 과거의 기계 개념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영리한 기계'(smart machine)이다.
현재 인간은 고유하고 특별한 자신들만의 능력이라고 생각했던 것을 다른 존재와 나누려고 시도하고 있다. 그 시도에 대한 여러 가지 방법론이 등장하고 실제 적용이 현실화되어 우리의 눈앞에 인공지능의 기술을 응용한 제품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특히 인간과 같은 지능을 가진 기계를 만들고자 하는 시도는 인지 과학의 탄생으로 절정에 이르렀다. 물론 수억년 간의 진화로 얻게 된 지능을 겨우 몇 십 년 간의 연구로 모의할 수 있다는 것은 인간의 오만일 수 있다. 하지만 아무리 노력하여도 기계는 생각 할 수 없을 것이라 단정짓는 것 역시 오만일지도 모른다. 물론 아직은 인간의 지능을 그대로 수행하는 기계의 완성에는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 하지만 만약 그 성과물이 완성되었을 때 아니 어느 정도 근접하게나마 인간의 지능에 접근했을 때를 생각해 보자 그때 과연 인간 사회에서 그 성과물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이가 그리고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것에 대한 논의가 앞으로 계속 있어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전석호, 정보 사회론, 서울: 나남 출판, 1993
최종수, 인공지능의 세계, 서울: 방한 출판사, 1986
조충호 편저, 인공 지능 개론, 서울: 홍릉과학 출판사, 1993
조영임, 최신 인공지능, 서울: 학문사, 1999
이초식, 인공지능의 철학 ,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4
존 카스티, 이민아 역, 비트겜슈타인 홀데인 스노우 튜링 슈뢰딩거의 인공지능 이야기, 서울: 사이언스북, 1999
정은아, <전자정보통신학계를 움직이는 사람들>11회-인공지능(AI) ,
etnews, 2001년 04년 04일
송재명기자, 스필버그의 새영화 “인공지능”을 통해 본 미래, hackersnews,
2001년 06월 20일
영화 "인공지능(A.I.)"과 인공지능 연구의 현재, Inquirer, 2001년 08월 02일
인공지능 컴퓨터의 실현은 가능한가? , CNN , 1997년 01월 11일
장영범, 전자상거래와 정보시스템 <인공지능 및 관련분야>, 1998년 12월 이기석, 인공지능의 빛과 그늘
김동찬, 생각하는 컴퓨터 인공지능, 이색 소재를 찾아서
인공지능과 바벨탑, http://ai.kaist.ac.kr/~hykim/ 1996년 6월 5일
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http://nlip.pcu.ac.kr/lecture/ai/Cyber/
http://ai.kaist.ac.kr/~suh/lecture/knowledge.htm
http://21leader.hongik.ac.kr/
http://ailab.kyungwon.ac.kr/ailab/index.asp(경원대)
http://user.chollian.net/~keyman21/cp/aibasic.html

키워드

인공지능,   공학,   AI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5.03.24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95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