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어떻게 하면 보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골고루 혜택이 돌아가는 그런 시장을 만들 것인가 하는 문제 말이다. 양쪽이 다 똑같이 목적은 정의, 평화, 자유, 평등 이런 것이지만 근본적으로 현 시대에 드러나는 국가, 시장 이런 것에 대한 근본적이 시각이 전혀 다르다. 한국의 시민 운동은 어떤 면에서는 급진적인 차원에서 운동을 벌여 나가려고 하는 사람들에게는 굉장히 개량주의적인 운동이라는 비난, 비판을 많이 받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렇게 이해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한국 사회에서, 역사적으로 다른 대안들이, 비록 시기는 짧았지만 실험되었었다. 시민운동 내지는 이런 흐름은 아직 충분히 실험되지 않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것을 충분히 실험해보는 이 시기에서는 이 대안에 최선을 다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박원순 변호사의 '한국의 시민운동'을 읽고
[교통문제][교통시민운동][교통처리제도]교통문제의 발생, 교통문제의 다양한 실태, 교통문제...
시민운동장에서 대구 FC 경기를 관람하고- 경기관람을 통해 생각해본 올바른 경기관람 태도와...
[시민운동단체 및 자원봉사단체] 시민단체와 사회복지, NGO와 NPO
[공동체][봉사활동][시민운동][고용관행][지방자치]공동체의 정의, 공동체의 역사, 공동체와 ...
NGO-시민운동와 보편화와 변화 및 시민운동 추진체로서의 NGO
세계화 현상과 영향, 지구적 시민운동과 NGO
마을 도서관이란(A쁠)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마을도서관)
현대 민주국가 권력 형성, 독재체제에서 민주체제로의 변화, 선거체제의 일반화, 통치자의 강...
현대 민주국가의 권력 형성, 독재체제에서 민주체제로의 변화, 선거체제의 일반화, 통치자의 ...
SNS 정의, 배경, 용어, 조사방향, 해외, 국내, 온라인에서 나타나는 SNS의 역할, 사례 분석, ...
SNS 정의, 배경, 용어, 조사방향, 해외, 국내, 온라인에서 나타나는 SNS의 역할, 사례 분석, ...
세월호 사건 : [세월호 사건] 세월호는 왜 시민운동으로 촉발되었는가 - 세월호 침몰 원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