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파한집> - 이인로
2 이규보의 문학론
3 <보한집> - 최자
4 최해의 시도
5 <역옹패설> - 이제현
2 이규보의 문학론
3 <보한집> - 최자
4 최해의 시도
5 <역옹패설> - 이제현
본문내용
충론
- 이인로의 용사론(표현, 격식 수준 보장), 최자의 신의론(삶의 체험과 밀착된 독자적인 문학) 둘 다 아우름(조화의 묘리)
이제현은 신유학 또는 성리학에 입각한 새로운 문학을 이룩해야 한다고 주장하려고 했으면서도 아직 분명한 논리를 갖추지 않았고, 스스로 비판한 표현 위주의 문학관과 적절한 절충점을 발견하려고 하는 데 머물렀다고 할 수 있음.
- 이인로의 용사론(표현, 격식 수준 보장), 최자의 신의론(삶의 체험과 밀착된 독자적인 문학) 둘 다 아우름(조화의 묘리)
이제현은 신유학 또는 성리학에 입각한 새로운 문학을 이룩해야 한다고 주장하려고 했으면서도 아직 분명한 논리를 갖추지 않았고, 스스로 비판한 표현 위주의 문학관과 적절한 절충점을 발견하려고 하는 데 머물렀다고 할 수 있음.
추천자료
신비평에 입각한 Yeats의 The second coming 비평
기 타 비 평(수사학, 정경, 이야기비평)
독자반응비평의 중심 개념들에 대한 정의 (구조주의, 현상학, 주관 비평에 관하여..)
고전비평에서 재비평의 전개 양상과 교육적 함의
자료비평과 양식비평
문학비평가의 자세와 문학비평
문예비평론 (김동인과 역사ㆍ 전기비평)
전승사비평과 양식비평
프랑켄 슈타인에 대한 스토리 요약 및 비평하기(텍스트비평,장르비평,페미니즘,정신분석학,마...
영화 『세 얼간이(3 Idiots)』 비평 (내재적 비평, 인물, 전개방식과 표현방법 , 외재적 비평...
[복음비평사] ≪복음비평사(福音批評史)≫에서 배울 교훈 (복음비평사에 대한 이해와 간략한 흐...
[복음비평사] ≪양식 비평(Form Criticism)≫ 양식비평 이해와 문제점 및 비판
[복음비평사] ≪편집 비평(Redaction Criticism)≫ 편집비평 이해와 문제점 및 비판
[A+과제] 난장이가 쏘아올린 것 비평론(마르크스주의비평, 형식주의비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