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麗 八關會의 內容과 機能(고려 팔관회의 내용과 기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高麗 八關會의 內容과 機能(고려 팔관회의 내용과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시대적 전개과정
1) 도입과 계승
2) 고려적 변환
3) 확대와 정착
4) 쇠퇴와 단절

3. 내용적 구성
1) 禮會(예회)
2) 寺院 거둥(사원 거둥)
3) 齋祭(제례)

4. 기능적 양상
1) 宗敎的 기능(종교적기능)
2) 政治的 기능(정치적기능)
3) 經濟的 기능(경제적기능)
4) 祝祭的 기능(축제적기능)

5. 맺음말

본문내용

와 그 문화 내부의 특정한 의미들을 극화하여 재확인시키고 정교화 시켰던 축제의 장이었다.
팔관회 때, 궁궐은 초겨울이었지만 尙衣局에서 명주나 베로 만든 造花를 이용해 장식하기도 하고 참가자들의 冠에도 왕이 하사한 꽃을 꽂아, 봄을 방불케 했다. 갖가지 燈을 달고, 높은 무대를 가설하여 그 위에서 偶人들도 포함시킨 百戱歌舞를 공연하게 하고, 마당에서는 仙女에 비유되던 기녀들이 樂官의 음악에 맞춰 왕의 萬壽無疆과 德, 太平歲月을 찬미하며 춤을 추었다.
그 해 농사를 추수한 후 10월과 11월 팔관회에서 한바탕 놀게 하고, 많은 것을 나눠 먹고 가짐으로 해서, 팔관회는 지배층 내부의 사회적 긴장완화와 불만 해소에 하나의 사회적 기제로 작용하였다.
5. 맺음말
신라 팔관회는 전사한 사졸의 명복 및 국가의 안녕과 영속을 佛과 國家鎭護神으로서의 天靈 및 五嶽·名山大川·龍神 등에게도 기원하던 護國·護王 의식으로, 花郞을 중심으로 토착신앙과 결합한 불교의식이었다. 이것이 태봉을 거쳐 고려에 계승되고, 주기적 설행이 제도화되면서 도입과 계승·고려적 변환·확대와 정착·쇠퇴와 단절이라는 과정을 거치며 전개되었다. 개경과 서경 각각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며 禮會·寺院 거둥·齋祭를 주요 내용을 한 팔관회는 종교적·정치적·경제적·축제적 기능을 수행하였다.
고려 팔관회의 특징은 무엇보다 '복합적'이라는 데 있다. 내용상으로 볼 때 齋祭는 토착신앙적이고, 寺院 거둥은 불교적이며, 禮會는 전체적으로는 유교적이지만 그 음악과 무용 등은 도교적 요소가 다분하다. 이러한 팔관회의 복합성으로 인해 다양한 차원에서 욕구 충족과 사회통합을 이루고, 여러 기능을 다방면에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고려 팔관회가 주로 지배층에 의미가 있던 歲時儀禮였고 상대적으로 일반 백성들에게는 그리 큰 의미를 지니지 못했다. 결국 조선초에 팔관회는 제도적으로 폐지되면서 세시의례로서의 의미와 존재기반을 상실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곧 생활문화 속에 정착하고 계승하는 것이 제도화나 지배층의 영향만으로 전적으로 이루어질 수는 없으며 상징적이든 실용적이든 반드시 수용층이 획득할 수 있는 효용과 자발적 참여와 영위할 수 있는 부분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울러 세시의례의 단절과 지속은 민중들에게 공감을 얻어 생활문화 속에 확고한 기반을 형성하는가의 문제라고 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김혜숙, 「高麗 八關會의 內容과 機能」『역사민속학』10, 1999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4.20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36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