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시가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총론

2. 상대시가

3. 향가

4. 속가

5. 경기체가

6. 악장

7. 시조

8. 가사

9. 잡가

10. 민요

본문내용

과정
- 성립기; 18C 이후 (→ <고금가곡>에 십이 가사의 일부, <청구영언>에 대부분이 실림)
- 전성기; 19C 말 ~ 20C 초
※ - <한양가>; 잡가의 성행을 엿볼 수 있는 작품
- <극장협률사>; 잡가가 공연된 곳
- 1915년 이후에는 엄청난 숫자(약 21종)의 잡가집 발간
- 쇠퇴기; 20C 초 이후 (이유 ① 유행적 ② 작가층/향유층 기반이 튼튼하지 못함)
- <문학사적 의의>
⇒ 1. 상하층의 시가양식 접목
2. 전통 시가양식을 근대적 시가양식으로 바꾸는데 기여
3. 격변하는 사회 속에서 나름대로의 지향점을 가짐
(5) 잡가의 주요작품
- <초한가>; 가사의 형태 수용
- <육자배기>; 민요의 내용을 수용했으면서도, 분절로 나누어지지 않음
- <아리랑 타령>; 신민요를 수용해 부른 것으로, 잡가마다 서로 틀린 것으로 보아 대단히
유행했던 것으로 추측
- <춘향가>; 대화체로 이루어짐
제 10장. 민요(民謠)
(1) 민요의 발생
- 제의(祭儀)기원설; 제사 과정에서 부른 노래가 민요의 시발점이라는 說
- 유희(遊戱)기원설; 인간이 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했을 것이라는 說
- 노동(勞動)기원설; 인간의 노동과정에서 발생했을 것이라는 說 (☆가장합당!!!)
☞ 민요의 기원을 노동과정으로 본, 고정옥의 <민요의 발생 3단계>
1단계; 짐승을 몰거나 일할 때 내는 두 서너 음절 탄성
2단계; 단순 무의미한 소리와 소리 사이에, 노동/무용을 지도하는 사람의 독창 개입
3단계; 이러한 노래가 여러 개로 늘어감.
(2) 민요의 성격
- 비전문적이고, 구비전승됨
- 내용; 노동/삶의 즐거움, 남녀의 사랑, 시집살이의 어려움 등
(3) 민요의 기존연구 검토
- <고전구전민요집>; 지역별 기준에 의거하여 민요 분류
- <조선민요연구>; 민요를 남요와 부요로 크게 나누어, 최하위까지의 분류표 제사
- <한국민요연구>; 민요와 동요를 대등한 관계에서 분류
- <한국노동민요연구>; 민요전반에 대한 분류는 아니나, 노동민요에 대한 분류 시도
-*<조선민요의 분류> - 민요의 분류기준을 뚜렷이 제시한 최초의 분류
- 분류 ⇒ “ / / / ”
(4) 민요의 분류 기준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문학적 형태에 따른 분류
단장체
연장체
민요
일상성
노동요
가사노동요
시집살이노래, 바느질노래
물레노래, 베틀노래
방아노래, 맷돌노래
풀무노래, 애기보는노래
사회노동요
등짐노래, 새쫓기노래
밭가는노래
모심기노래, 논매기노래
보리타작노래, 목도노래
여가요
개인여가요
숫장타령, 꼬리따기노래
강실도령노래
달걸이노래, 둥당애타령
어랑타령
집단여가요
놋다리노래, 집짓기노래
어깨동무노래, 군사노래
강강술래노래, 아리랑
널뛰기노래
비일상성
의식요
산앙의식요
회심곡, 성주풀이
고사노래
염불노래, 지신밟기노래
액맥이노래,동토잡이노래
통과의식요
회갑연노래, 혼인노래
상여노래, 회닫이 노래
정치요
예언정치요
보현찰노래, 아야노래, 우대후노래, 완산노래
비판정치요
묵책노래, 호목노래, 도근천노래
노동요
1. 노동의 즐거움 (← 가장 많은 내용)
2. 남녀의 사랑
- 성적표현을 동반한 내용으로, 일하는 사람의 마음을 즐겁게하는 기능
- 생산과 관련하여, 모를 심을때 부르면 식물이 열매를 많이 맺는다고 봄
3. 미풍양속
- 민중이 가진 삶의 의식을 잘 보여주는 것으로 향락적/현실적
- ex) 가사 노동요 中 시집살이 노래
여가요
1. ‘여가’란?
; 노동으로 지친 몸을 ‘놀이/휴식’을 통해 쉬게 하여, 노동력의 재생산을
꾀하는 과정
2. 주요내용
- 술 마시는 것, 남녀의 사랑에 대한 것, 놀자는 것 등
- ∴ 유흥적 성향의 내용이 큰 비중 차지
의식요
1. 신앙의식요
- 잡신을 몰아내고, 일 년 간 탈 없이 온가족이 잘 지내게 해달라는 내용
2. 통과의식요
- 인간이 태어나서부터 죽을 때까지 반드시 겪어야 할 절차
- ex) 돌, 성인식, 혼인, 회갑, 죽음 등의 의식
정치요
1. 예언정치요
신라가 망하고 고려가 흥할 것을 예언
‘계림’은 경주, ‘곡령’은 개성
정중부의 난이 일어나, 문신들이 대학살
될 것을 예언
장다리는 한철이나 /
미나리는 사철이라
민비를 내쫓고 왕비에 오른 장희빈이
오래가지 못할 것임을 예언
- 정치가 타락했기 때문에, 앞으로 일어날 사건을 미리 말하는 것
2. 비판정치요
관리등용대장인 도목이 너무나 많은
사람의 이름을 지우고 쓰고 하여,
새까맣게 되었다는 사실을 풍자
( )
홍건적의 난 때 공민왕이 안동까지
피난 가서 흥청거리며 노는 모습 비판
- 잘못된 정치현실을 비판한 것으로, 민중의 정치의식을 반영한 노래
(5) 민요의 내용
(6) 민요의 기능
; 민요가 삶 속에서 하는 구실을 중심으로 한 분류
행동통일
집단 행위를 할 때 부르는 노래
ex) 보리타작노래, 상여노래
정화기능
노래를 부름으로써 긴장되었던 육체와 정신을 회복
‘여가요’와 관련
진행기능
노동이나 의식을 행할 때, 그 순서에 맞도록 꾸며진 노래
‘신앙의식요’와 관련
ex) 맷돌노래, 성주풀이놀이
예언기능
‘정치요’와 관련
말보다 전파력이 강하고, 짧은 형태로도 의도한 바를 잘나타낼 수 있기 때문
조선 초에 일어난 왕자의 난으로
정도전과 남은이 죽음을 당할 것을 예언
ex)
비판기능
‘노동요’의 일부에 나타나나, ‘정치요’에 더 가까움
ex) 아랫대궐/웃대궐
경복궁 /새대궐
돌아 /오랍신다.
네에 ―
경복궁 지을 때 나온 노래
물골랑철철/ 헐어놓고
쥔네양반 / 어데갓노
무너점복 / 오리들고
첩우방에 / 놀러갔네
모심기노래의 일부로,
농부들은 열심히 일하는데,
첩의 집에 놀러간 부덕한
지주 풍자
주술기능
일정한 행위를 통해 인간이 원하는 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언어의 힘
‘신앙의식요’, 어린아이들이 부르는 노래 등에 보임
해야해야 / 나오너라
김치국에 / 밥말아먹고
장구치고 / 나오너라
아이들이 냇가에서 멱을 감다
부른 노래로, 이 노랠 부르면
해가 빨리 구름 밖에 나온다고
호래비죽어 / 하무자귀야
총각죽어 / 몽달귀야
너도먹고 / 가게서라
잡귀를 쫓을 때 어머니들이
주술적 행위를 하며 부른 민요
ex)
外 선전선동기능, 여론형성기능, 흥돋우기기능 등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05.05.26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88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