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말여초 호족세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나말여초 호족세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 호족의 개념
2) 호족세력의 대두 배경
3) 호족의 유형
4) 호족연합정권설
5) 호족세력과 결합한 여타 세력
6) 호족세력과 신라및 후삼국과의 관계

3.결론

본문내용

정부에 반란을 일으키고 武珍州에 입성한 이후 '新羅西面都統…'이라고 자임한 기사를 하나의 일례로 삼는다면 신라말기의 호족 세력들은 신라에 대해 어느 정도 실질적인 혹은 상징적인 禮 관념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궁예는 寧月, 溟州, 淸州, 公州 등의 호족 세력을 결집하여 유력한 정치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대체로 궁예의 지지 세력은 신라 왕실 혈통인 그 자신을 포함하여 신라의 몰락한 眞骨 귀족계 호족 세력, 혹은 그들과 관련을 맺고 있는 세력으로 정리된다. 이러한 양자간의 출신과 관련된 공감대는 쉽게 형성되어 단기간 내의 건국 단행에 일정 이상 기여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들의 전통이 신라의 정치 체제에 연결되어 있었으므로 새로운 정치 체제를 형성하는데 한계로 작용했고 결국 궁예는 몰락하고 호족 세력들은 왕건을 중심으로 재결집된 것이다.
견훤은 한반도 서남 지방의 호족 세력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 견훤은 궁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호족 세력을 취합하고 정권을 유지하는데 정책적인 시도가 취약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 결과 호족 세력과 국왕과의 정치적 결속이 느슨하게 되었고, 호족간에도 계열화가 지속되었으며 결국 왕위 계승 시점에까지 연결되어, 광주지역의 호족 세력이었던 神劍계 외척 세력과 전주 일대의 지방 세력이었던 金剛계 외척의 왕위 쟁탈전에 휘말려 국왕의 지위를 탈취 당하고 결국 후백제가 멸망하는 과정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왕건은 고려 건국 이전부터 호족 세력 포용 정책을 통해 호족의 귀부를 적극적으로 시도하는 한편 호족의 이탈을 방지했다. 왕건의 대표적인 호족 세력 포용 정책은 혼인 정책, 賜姓 정책, 사심관제, 기인제이다.
혼인제도는 호족 세력과의 직접적인 결속 관계를 맺기 위한 목적에서 실시된 것이며, 사성정책은 호족 세력과의 간접적인 혹은 상징적인 혈족 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목적에서 시행된 것이며, 사심관제는 호족 세력의 지방 근거를 인정하는 동시에 간접적인 지방 통제력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에서 마련된 것이며, 기인제는 개경에 호족 세력의 자제들을 밀집시켜 호족의 이탈을 막는 동시에 호족의 자제에 대한 우대를 보장하면서 정치적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에서 실행한 것이다.
왕건은 이들 정책을 통해 많은 호족 세력들을 결집할 수 있었고 그러한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후삼국을 통일하고 고려를 건국할 수 있었다.
Ⅲ. 결론
처음부터 호족 세력들이 전면적으로 신라와 신라 중앙 정부를 부정했다고는 판단하지 않는다. 사례의 편린에 지나지 않겠으나 글에서는 견훤의 사례를 들었다. 아마도 신라 부정의 정점은 호족 세력의 성장과 신라의 퇴락의 수준이 맞물리는 시점에서 호족 세력은 신라를 배제하고 독자적인 지배력을 유지해 나갔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호족은 연합 혹은 정복의 논리로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고 보여진다. 궁예·견훤과 호족 세력과의 관계와 왕건과 호족과의 관계를 상호 고려하면서 단기간의 세력화와 장기적인 세력화의 결과를 비교해보고 언제라도 분리될 수 있는 호족 세력에 대한 왕건의 정책적 노력이 고려를 건국하게 만든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음을 살펴보았다.
고려초기 호족 세력은 강력한 왕권 강화의 의지 앞에 해체의 과정을 겪는다. 그들 앞에는 중앙과 지방이라는 두 가지의 기로가 놓여있었는데, 이는 더 이상 자신들의 선택을 바탕으로 국왕의 결정을 얻는 관계가 아니라 국왕의 결정에 자신들의 선택이 종속되어 버리는, 또한 자신의 정치적 입지와 성향이 국왕에 의해 계산되어 버리는 수준의 기로였다. 따라서 이들은 더 이상 전 시대 기준의 세력화를 도모할 수 없었고 고려라는 새로운 정치 체제에 의해 재편되고 세력은 계열의 정도로 남게되면서, 일부는 중앙에서 문벌이나 관료로 개편된 세력화를 시도하고 일부는 기존의 근거를 중심으로 지방 사회의 세력화를 시도하게 된다.
나말여초의 호족 세력은 각자의 정치적 지향점을 가지고 세력화의 장정에 뛰어들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그들은 사회 전반의 조건에 의하여 연합 혹은 정복의 과정에 개입되어 최초의 정치적 지향점 역시 변화, 좌절, 성취 등의 부침에 접어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부침이 곧 나말여초의 사회변동이었다. 그들 호족 세력은 나말여초의 사회 변동을 주도한 세력이었다. 호족 세력의 존재 의의는 바로 여기에 있다. 물론 입장에 따라서는 상대적이기는 하나 퇴락한 신라를 꺾고 새로운 고려를 세우는 그 일선에 호족이 있었던 것이다.
▷ 참고 문헌 ◁
한국사
신라사 신형식
후삼국시대 호족 세력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6.02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99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