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나일본부의 제문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릿말

2.임나일본부설에 대한 검토와 비판
(1)일본서기와 임나일본부
1)일본서기의 임나일본부
2)일본서기에 대한 비판
(2)광개토왕릉비와 임나일본부
(3)칠지도와 임나일본부
(4)『송서』의 기록과 임나일본부

3.임나일본부에 대한 신해석

4.맺음말

본문내용

본 바와 같이 그 근거가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일본 열도가 통일되지도 않았던 시기에 한반도에 임나일본부를 설치하였다는 일본측의 주장은 전혀 인정할 바가 못된다.
그러나 허구적인 역사라 해도 어느 정도 당시의 상황을 반영한다는 전제를 생각한다면 이 주장에서 당시의 시대 상황을 추론하고 그에 맞는 의미를 부여해야 할 것이다.
아마 임나일본부는 왜가 그들의 선진문물에 대한 욕구로 인해 한반도에서 이주해간 사람들에 대한 대우가 특별했고, 더 나아가 한반도에 직접 임시 교역소를 만들어 적극적으로 선진문물을 받아들이려고 했던 것 같다. 비록 한반도가 당시 왜보다 선진지역이였음에는 틀림없지만 그렇다고 왜에서 한반도로는 전혀 인적 이동이 없었다고 생각하는 것 또한 잘못된 생각이다. 후대의 신라방을 보더라도 선진지역에서 오기만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선진지역을 찾아가는 것이 오히려 더 자연스러운 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왜에서는 한반도에 교역소를 설치했는데 7세기 『일본서기』가 편찬 되면서 그들 천황에 대한 권위를 부여하기 위해 이 교역소를 확대 해석하고 백제의 정복활동에서 주체를 야마토 정권으로 바꾸어 기술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금도 일본에서는 잘못된 역사를 가르치고 있으니 이는 앞으로 극복되어야 할 과제이다.
참고 문헌
김창호, 「백제 칠지도 명문의 재검토」,『역사교육론집』, 역사교육학회, 1990
윤석효, 「임나일본부설에 관한 고찰」,『한성사학5집』, 한성대학 사학회, 1996
연민수, 「임나일본부 재론」, 『가야문화』, 가야문화연구원, 2003
김현구, 『임나일본부연구』, 일조각, 1993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6.05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04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