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 근대화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II. ‘수탈론’ 과 ‘근대화론’의 대두

III. ‘토지조사사업’ 의 수탈성 논쟁

Ⅳ. 끝내는 말

본문내용

내용을 보면,
첫째, 일제의 토지조사사업은 토지수탈이 제1차적 본질이었다. 통계에 의하면 일제는 토지조사사업에 의해 한국 전국토의 약 50.4%를 조선총독부 소유지로 약탈했는데, 이속에는 방대한 규모의 일반 국민의 사유지인 농경지와 미간지, 임야가 포함되어 있었다.
미야지마 등의 책의 저자들이 어느 군 어느 면의 토지대장을 실증 연구해 보니 토지약탈이
나오지 않더라는 주장은 실증의 미숙이거나 왜곡이다. 토지대장은 사정이 모두 끝난 후에 만들어지는 것인데, 과정의 토지약탈이 기재될 리 없기 때문이다.
둘째, 근대적 토지제도란 본질적으로 토지 사유 제도를 골간으로 하는 것이고, 한국 역사에서 토지 사유 제도는 15세기에 확립되기 시작하여 19세기까지는 토지 대장인 ‘양안’과 토지 소유 증명인 ‘문기’가 이미 확립되어 있었다. 그런데 일제는 순조롭게 진행되던 대한제국의 양전, 지계 사업을 중단시키고 총독부 수탈지를 더 확보하려고 토지 조사를 1907년 소위 국유지 조사부터 먼저 시작하다가 1910년 민유지 조사로 확대한 것이었다.
셋째, 농촌 주민과 일반 민중이 일제 토지 조사 사업의 성과를 즐거워하고 협조했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그 역이 사실이다. 절대 다수의 농민과 주민은 일제 토지조사사업에 저항하였다. 이 사실은 일제 총독이 스스로 인정하여 일제 경찰력을 동원해서 조선 농민의 저항을 사전 방지하라고 지시한 내용에서도 알 수 있다.
Ⅳ. 끝내는 말
지금까지 ‘근대화론’ 논쟁의 전개와 그 내용을 개괄적으로나마 살펴보았다. 근대화론 논의가 치열한 논쟁으로 비화한 것은 사관 자체가 판이하기 때문으로 같은 사실을 가지고도 서로 다른 역사상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일제의 식민지 수탈 정책을 절대로 ‘근대화’ ‘개발’ ‘시혜’ 정책으로 합리화 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1960년대 한국의 급속한 현대화와 경제발전의 기원을 일제 강점기로부터 일부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르나 두가지 근대화의 본질은 엄연히 다르다.
근대화론이 기존의 민족 중심적인 사관을 벗어나고자 한 것이나 일제 강점기 다양한 시대상을 직시하고자 한 것은 일면 타당한 일이라는 견해가 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의 근대화와 광복후 한국의 근대화를 동일선상에서 본 것은 역사를 바라보는 데 있어 정체성이 결여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일제강점기의 시대상을 다양하게 바라볼 수 있되, 역사적 주체성을 가지고 과거와 현재를 비판할 수 있는 안목, 역사관을 가지는 일이 필요하다.
<참고 문헌>
안병직,「한국근현대사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1997, 창작과 비평(겨울호)
신용하,「일제 식민지근대화론 비판」, 1998, 문학과지성사.
윤해동,「식민지 인식의 회색 지대」, 1999, 역사비평
http://user.chollian.net/~ikch0102/y-1-8.htm 이만열,「일제 식민지 근대화론 문제 검토」
신문기사,「식민지근대화론 학계 전면논쟁으로 비화」, 97.11.26, 조선일보
신문기사,「식민지근대화논쟁 재연 조짐」, 98.5.20, 한겨레신문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6.22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40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