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청소년을위한교정사회복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행청소년을위한교정사회복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비행청소년의 정의와 그 현황
1-1. 비행청소년의 정의
1-2. 비행청소년의 현황과 그 양상
1-3. 비행청소년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2.비행청소년의 발생원인

3.비행청소년을 위한 교정사회복지
3-1. 비행범죄 및 예측
3-2.보호관찰제도
3-3.사회복지적대책

4.비행청소년을 위한 교정사회복지의 전망과 대안

5.결론

본문내용

규범을 어겨 사회적으로 처벌을 받을 수 있을 정도로 판단되는 경우를 비행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행청소년의 문제는 20세 이하의 청소년들이 범죄를 저지르면서 가치관의 문제와 자아를 상실 할 수 있으며, 성인이 되었을 때 비행에 노출된 청소년들이 많은 사회적 문제를 다시 재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술, 담배와 같은 약물을 남용함으로써 청소년 발달과 건강에 많은 해를 끼칠 수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사회적 관심과 예방과 치료를 목적으로 많은 교정 복지가 신설 되어야 하며 사회적 변화에 발 빠른 대책과 함께 변화 양상에 대해 연구 하여야 할 것이다.
교정 복지란?
교정 복지는 사회적응에 실패한 범죄자 및 비행청소년들의 사회적 적응능력을 배양시켜 재비행과 재범을 방지하며 원만한 사회복귀를 도와 건전한 시민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복지적 처우와 조직적 서비스의 지원활동을 말한다. 즉, 교정 복지는 범죄자와 우범자 및 그들의 문제 그리고 유해환경 등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실천방법의 지식과 기술, 사회복지정책의 법과 제도적 장치 등을 활용하여 대상자들의 재범방지와 사회복귀는 물론 관련 환경의 개선을 도모하는 사회적 노력과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2.비행청소년의 현황과 양상
이러한 정책을 실행하기 위해 우리는 비행청소년에 현황과 양상에 대해 알아 볼 필요가 있다. 도시화, 공업화, 핵가족화와 같이 새로운 세기로 접어들면서 많은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많은 청소년 범죄가 급격한 증가라는 결과를 보이며 많은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많은 청소년들의 비행이 많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청소년 범죄가 총범죄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을 아래 표(1-1)참조하자.
범죄대비 청소년범죄 구성 현황
(표 1-1)(단위 : 명, %)
연도
구분
1999
2000
2001
2002
2003
총 범 죄
2,400,485
(100)
2,329,134
(97.0)
2,426,050
(101.1)
2,416,711
(100.7)
2,441,267
(101.7)
소 년 범 죄
150,821
(100)
151,176
(100.2)
138,030
(91.5)
123,921
(82.2)
104,158
(69.1)
구 성 비 율
6.3
6.5
5.7
5.1
4.3
주 : ( )안은 기준년도 대비 율임
자료 : 대검찰청
1999년 청소년 범죄는 150.821에서 2003년 104.158로 많은 감소세를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총범죄는 변함이 별로 없는 대신 청소년 범죄의 비율이 많이 줄어드는 것을 봄으로써 많은 복지정책이 실천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은 청소년 범죄 현황 중에서 연령별에 대해 알아보자.(표 1-2)참조
연도
소년범죄자
14세 미만
14세~15세
16세~17세
18세~19세
인 원
인 원
구성비
인 원
구성비
인 원
구성비
인 원
구성비
1999
150,821
1,674
1.1
30,088
19.9
53,857
35.7
65,202
43.2
2000
151,176
1,649
1.1
33,047
21.8
53,324
35.3
63,156
41.8
2001
138,030
1,656
1.2
27,606
20.0
45,964
33.3
62,804
45.5
2002
123,921
1,798
1.5
25,385
20.5
41,161
33.2
55,577
44.8
2003
104,158
1,578
1.5
15,888
15.3
33,971
32.6
52,721
50.6
총범죄자의소년범죄현황(표1-2) 출처: 대검찰청
표 (1-2)를 보면 14세 미만의 청소년범죄는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14~19세의 소년 범죄자의비율은 줄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14~17세의 비율이 증가 하고 있음을 봄으로써 연령이 낮아 졌음을 알 수 있다.
연 도

남 자
여 자
인원
인 원
점 유 율
인 원
점 유 율
1999
150,821
131,275
87.0
19,546
13.0
2000
151,176
131,444
86.9
19,732
13.1
2001
138,030
116,235
84.2
21,795
15.8
2002
123,921
103,384
83.4
20,537
16.6
2003
104,158
86,381
82.9
17,777
17.1
청소년범죄의 남녀별 현황(표 1-3)(단위 : 명, %) 출처: 대검찰청
위에를 보면 남자의 점유율은 줄어드는 대신 여자의 비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여성비행청소년에 대한 많은 복지 실천이 확충되어야 한다. 또한 직업에 따라 청소년 범죄가 늘어 감을 알 수 있는데 1990년대 초에 학생의 비율이 낮았던 것에 비해 1990년대 후반으로 가면서 학생이 증가함에 따라 우리나라의 교육에 대해 많은 문제점을 지적하고 중등교육의 여러 측면에 대해서 많은 고뇌와 분석이 필요 할것이다. 또한 사회계층과 청소년 범죄에 대해 알아보자. 사회계층은 비슷한 생활습관이나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집단이며 상이한 계층은 가각의 부분문화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회계층의 차이에 따라 사회적 요인으로 가장 중요시 되고 있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상이한 계층에 따른 비행경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류, 중류, 상류의 청소년 범죄 구성비를 보면 1988년 하류 90.607(87.1) 중류 12.833(12.4) 상류 562(0.5) 정도의 구성비를 보여주고 있다.1995년 하류 79.556(80.1) 중류 19.084(19.2) 상류 661(0.7) 구성비를 보여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 두 구성비를 비교해 보면 하류출신의 비행이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하류출신의 청소년범죄는 감소하는 반면 중류나 상류의 청소년 범죄는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손가정출신이라고 통념적인 편견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는 찾아보기 힘들며 설사 관계가 있다고 하더라고 그에 따른 영향력은 감소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알아볼 경우는 청소년 범죄의 재범 경우이다. 청소년 범죄의 재범의 경우는 가장 우려할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1983년 초범의 비율은 82.4%옅으나 1992년 초범은 75.2%로 감소하였다 10년 동안 7%정도가 떨어
  • 가격1,6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08.20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01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