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민족주의 (한국의 nationalism, 민족주의의 이름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기 전에

Ⅱ.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개념과 특성

Ⅲ. 한국의 민족주의
1. 한국의 민족주의가 걸어온 길
1) 한말 (1876 ~ 1910)
(1) 척사위정운동
(2) 민중운동 (민중사상)
(3) 개화운동 (개화사상)
갑신정변
2) 일제 시대 (1910 ~ 1945)
(1) 민족주의운동
①독립운동
②문화운동
(2) 식민사관
ⓐ타율성론
ⓑ정체성론
ⓒ그 외 이론
3) 해방 후의 시기
4) 민족주의의 시련과 부활

Ⅳ. 맺음말- 민족주의의 지향점
그리고 한국인으로서의 단상

본문내용

조선침략을 정당화시키는 명분으로 작용한 식민 사관의 사상적 이론에 속한다.
3) 해방 후의 시기
모스크바 삼상회의에서 강대국에 의한 신탁통치가 결정되고 남북으로 미소 군정이 들어섬으로써 완전자주독립을 염원하는 민족주의자들은 신탁통치반대 전국민운동을 통하여 분을 표출하였다. 제2의 독립운동이라 불리던 반탁(反託)운동은 민족주의적 운동을 다시 한 번 다듬어 굳히며 온 국민의 염원을 알리고자 하였다. 백범 김구 선생을 비롯한 임시정부계는 완전자주독립의 실현을 촉구하며 위임통치론 반대를 부르짖었다. 해방공간에서 완전자주독립을 부르짖을 때 나타난 중요한 민족주의론이 ‘신민족주의’이다. 손진태는 진정한 민족의 번영은 민족의 전체적 친화와 단결에 있음을 전제로 자본주의적 지배와 계급투쟁 지양을 주장하엿다. 신민족주의 이론을 정교화한 안재홍은 민족공동체 안에서 갈등을 풀어나가는 조화를 중요하게 내세웠다.
4) 민족주의의 시련과 부활
해방이후 민족주의는 여러 가지 상황에 봉착해서 존립에 위기를 맞는다.
냉전체제의 주연이었던 미국과 소련은 민족주의를 경계하고 기피하였으므로 그들에 의해 통치고되던 한반도에서 민족주의는 발현될 수가 없었다. 또 친일파가 득세함에 따라 민족주의적 분위기는 사그러들었다.
이후 419를 계기로 민주주의와 민족주의는 부활하게 되는데 315부정선거와 장기집권을 노리는 부패한 권력인사들에 대한 용기있는 민족주의정신의 대두는 끊임없는 비판과 저항을 통해 민주화 정신이 고양을 나타내었다. 이 후에도 남북의 통일 문제에 대해 무력통일보다 평화통일을 추구함으로써 새로운 민족주의 전개를 도모하였고, 시민적 민주주의의 성장을 통해 정부를 견제하여 독재를 막고 신군부 세력을 몰아내고 문민정부의 시대를 맞게 된 것이다.
Ⅳ. 맺음말 - 민족주의의 지향점,
그리고 한국인으로서의 단상
우리가 취해야 할 자세는 민족주의 정신을 기반으로 한 저자세가 아니다. 한국이 침략적 민족주의로부터의 고통을 뼈져리게 느꼈으므로 민족주의의 다면성에 대해 다시 한 번 통괄해보고 다른 민족과의 공생(共生)을 통한 열린 민족주의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한국의 대표적 10대 사상들에 대해 박이부정(博而不精)했었으나 더 깊이 알아보고 그 것을 통해 우리가 잘못 인식하고 있던 역사적 현상에 대해 바로 알 수 있는 소중한 계기가 되었다. 이 보고서의 성공적 여부와 관련 없이 뜻깊은 단상의 기회를 제공해 주신 교수님께 감사를 표합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10.25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71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