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IMF 전후 삼성SDI의 조직구조 변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과학] IMF 전후 삼성SDI의 조직구조 변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삼성그룹 계열사인 삼성 SDI
1.삼성그룹
2.현재의 삼성 SDI
3.삼성 SDI 의 기업개요

Ⅱ 삼성 SDI 의 IMF 위기 이전의 조직 구조
1.삼성그룹의 조직 구조
2.삼성 SDI (삼성전관)의 조직 구조

Ⅲ 삼성 SDI 의 IMF 위기 이후의 조직 구조
1.삼성의 구조조정
2.삼성 SDI 의 IMF 위기 이후의 조직 구조
  6시그마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인프라 구축단계의 추진 조직

Ⅳ IMF 위기 전․후 조직 구조 변화 분석
1.글로벌화 조직 변화
2.무조노 경영(삼성인의 용어-당근論)

Ⅴ 결론

본문내용

초리를 쓰지 않고, 당근만 씁니다.
구체적인 예로 \'벤허\'라는 영화에 말이 끄는 전차 경주가 나옵니다. 이 경기 장면을 자세히 보면 벤허와 멧살라의 말을 모는 스타일이 전혀 다릅니다. 멧살라는 채찍으로 강하게 후려치면서 달리는 반면에 벤허는 채찍 없이 몰아 승리합니다. 2급 조련사와 특급 조련사의 경기라고나 할까요. 특히 벤허는 경기 전날 밤 네 마리의 말을 한 마리씩 어루만져 주면서 사랑을 베풀고 용기를 북돋워 줍니다.
삼성에서도 이제부터는 잘하는 사람에게 상은 주지만, 못하는 사람이라고 해서 벌을 주지는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우수한 사람들에게는 벌이 필요 없기 때문입니다. 잘하는 사람이 더 잘할 수 있도록 해주기만 하면 됩니다. 물론 도덕성을 결여한 사람, 부정한 사람, 거짓말하는 사람, 뒷다리 잡는 사람 등 삼성헌법을 위반하는 사람에게는 일시적으로 회초리가 필요할지도 모릅니다.
삼성인의 용어 가운데 당근論(-삼성인의 상벌 기준-)을 보면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삼성은 물론이거니와 삼성의 계열사인 삼성 SDI 역시 노조가 결성되어 있지 않다. 이는 구조조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종업원과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은 가를 위와 같이 동기부여 하는 방식을 통해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삼성의 경영은 며칠전 방영된 PD수첩의 사례들처럼 노조의 결성을 절대적으로 막으려는 임원들의 행위가 일부 종업원들의 시각에서는 종업원을 탄압하려는 수단으로 인식될 수 있으나, \'무노조삼성\'이라는 용어가 나올 정도로 삼성은 지속적으로 기업의 환경을 비공식 조직 내에서의 인간관계 network를 중요시 여기는 우리나라의 기본적, 전형적인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이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삼성의 이러한 노조가 없이 공식, 비공식 조직의 유연한 공생방식은 또한 다른 나라에서의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Ⅴ 결론
재벌이란 지극히 한국적 현상이다. 재벌은 계열사간 상호출자에 의해서 일종의 기업집단을 이루고 있고, 그룹 내 소유지분이 7∼8%에 불과한 재벌총수가 재벌그룹 전체에 대한 절대적 지배권을 행사한다. 경영, 인사, 재무 등 그룹 내의 모든 의사결정이 총수 한사람에게 집중되어 있는 것이다.
민주사회에서는 권리와 의무가 한 묶음이고 권한에는 책임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지만, 재벌총수는 권리만 있고 의무는 없는, 무한정한 권한을 행사하면서도 아무런 책임을 질 필요가 없는 민주사회의 기이한 예외이다. 그런데도 우리 사회는 재벌총수의 존재를 사실상 인정한다. 그것은 재벌총수가 우리 사회를 지배하는 엄연한 현실적 힘, 그것도 막강한 힘이기 때문이다.
1960~70년대 고도성장기에 있어 재벌 우리경제의 견인차 역할은 권위주의적 국가를 전제로 하여 이루어 졌다. 그러나 1080년대 후반, 특히 90년대에 접어들면서 이환경적 조건은 근본적으로 바뀐다. 먼저 우리 사회의 민주화운동은 권위주의 국가를 퇴각시킨다. 이에 따라 권위주의적 국가권력이 제공하였던 강요된 사회적 통합

구분
IMF 이전
IMF 이후
경영환경
국가주도 자본주의
정보적 글로벌 자본주의
경영이념
공동체주의/권위주의/
행동주의/도전주의
인재주의/합리주의/제일주의
리더쉽 스타일
집권적 카리스마
시스템기반 합리주의
경영전략
① 차입기반 성장 극대화
② 비관련 다각화 전략
(문어발식 확장)
① 합리성 기반 수익극대화 전략
② 관련 전문 다각화 전략
조직 구조
(삼성 SDI)
매트릭스조직에서
해외자회사조직으로 점차 변모
해외자회사조직
재벌체제의 작동의 전제가 무너지게 된다.
그 후 IMF 위기를 맞이하면서 재벌은 그 큰 몸덩어리에 구조조정이라는 칼을 댈 수밖에 없었다. IMF 전후 기업경영 상의 패러다임의 전환을 보면 다음과 같다.

위 표와 같이 IMF 위기를 넘기면서 기업의 경영환경은 국가가 주도하는 형태가 아닌 그야말로 적자생존의 원리에 따라 기업 스스로 정보를 수집하며 글로벌화를 시도하는 등의 자구책이 없이는 생존할 수가 없다. 경영이념 또한 권위주의에서 탈피해 기업의 궁극적 목표를 달성키 위한 보다 유연한 방식으로 변화하였고, 구체적인 경영전략도 전문적인 분야에 합리적 투자를 하여 수익을 극대화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이제까지 살펴본 삼성 SDI 의 조직구조는 IMF와는 상관없이 1990년대 이래 지속적으로 변화해 왔는데, 1997년 IMF시기는 삼성 SDI가 매트릭스 조직에서 해외자회사조직으로 점차적으로 변화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Barham와 Heimer에 따르면 매트릭스 조직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의 마음가짐과 문화가 먼저 매트릭스 적으로 되어 있어야 한다며, 조직 구성원들이 자신의 역할을 제품 또는 지역 하나에 고정하고 있는 상황에서 조직 구조만 매트릭스로 바뀌면 지역별 조직과 제품별 조직 간에 계속적인 갈등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한다.
선진국에서도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초반에 Nestle, ABB, Dow Chemical 등 많은 기업에서 국제 매트릭스 조직을 도입하였으며, 국제적 매트릭스 조직을 시도했던 기업들 중 실패하고 다시 지역별 또는 제품별 사업부 조직으로 돌아간 사례가 많이 있는데, 글로벌화 과정에 있어 삼성 SDI 는 권력 다툼,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혼란, 과도한 경비의 발생, 의결정의 지연 등으로 삼성 SDI의 해외지역 본사제도는 1996년에(삼성의 전체계열사의 경우, 1998년) 폐지되었다.
결론적으로, 삼성 SDI 의 조직 구조 변화 양상은 1990년대부터 있어 왔는데, IMF 위기 시에도 커다란 영향을 받지 않으며 조직구조 강의시간에 배운 바 있는 일본의 카이젠, 즉 점진적 개선과 급진적 혁신을 동시에 추구하며, 지난 1996년 최대 호황기에 경영혁신을 시작했다. 호황에 이어지는 불황기 변화에 대한 관리를 시작하며, 글로벌화 조직을 구성해 나갔다. 이는 IMF를 전후 하여 경영환경의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과정에 있어 경영이념과 경영자의 리더쉽, 경영전략에 따라 조직 구조가 점차적으로 변화했음을 의미한다. 즉 1995년의 매트릭스 조직 구조에서 1996년부터 점차적으로 해외자회사조직으로 변화를 했음을 알 수 있다.
  • 가격5,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5.11.08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91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