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사회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에 한정하지 않고 인간의 주체적 인식과 해방적 의식을 강조하는 경향의 마르크스주의적 노선을 말한다. 신마르크스주의자들은 한편으로는 계급투쟁이론을 특징적으로 부각시키고 교조적 마르크스주의를 내세워 독재체제를 이끌어 온 소련 공산주의의 왜곡된 이론을 비판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서구적 자본주의 체제에서 경험하는 인간 소외를 극복하고 해방적 의식을 실현하려는 데 주된 관심을 바쳐왔다. 신마르크수주의자들은 인본주의, 소외이론, 관료주의 비판, 자본주의적 산업사회의 비판, 혁명에서의 지식인의 역할 등에 이론적 관심을 두고 있다. 교육의 문제와 관련해서는 주로 자본주의적 사회체제에서 지배 이데올로기의 재생산 기능, 억압적 문화의 구조, 실증주의의 도구적 합리성 등의 분석, 그리고 해방적 이성의 실현을 위한 문제 등에 관심이 주어지고 있다.
【32】從屬理論(dependency theory)
제3세계 국가의 저발전은 한 국가 내의 재화나 용역 등의 부족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체제 속에서 중심부와 주변부의 세계적 수준의 분업에 기인하며, 주변부의 국가는 중심부의 국가에 의해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종속상태에 있다는 이론. 교육에서 종속이론은 주로 문화적 측면에서 제기된다. 세계체제 속의 한 국가라는 상황은 교육의 발전과 저발전에 대한 세계적 수준의 경제, 정치, 사회 문화적 요인을 조건지으며, 이는 주변부 대한 중심부의 언어 ― 교과서, 교육과정, 기술의 사용 등 ― 가 계속적으로 지배적인 위치를 갖고있음을 설명한다. 즉, 교육원조, 고등교육체계, 지식의 생산과 보급의 세계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중심부는 주변부에 대한 지배력을 계속해서 유지한다. 세계는 불균등하게 발전하여서 주요 핵심(core) 산업국가(미국, 유럽과 일본)가 지배적인 역할을 하고, 제3세계 국가들이 이들 국가에 종속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⑴ A. G. Frank은 제3세계 국가들은 산업화된 국가들에 대한 종속적인 지위의 직접적인 결과로 가난 하게 되었다.
⑵ 발전과 저발전은 동전의 양면이다. 부유한 국가들은 중심부를 형성하고 이들 국가 주변에 위성국 가가 형성되며, 위성국가들의 경제는 더 발전한 국가들에 종속되어 대체로 가난하게 된다. 후진국 의 저발전은 발전하지 못한 상태가 아니라 역사적으로 발전해 온 결과이다. 라틴아메리카의 저개 발은 이 지역의 경제가 구조적으로 미국 자본주의 체제에 예속된 결과로서 미국 경제가 발전한 만 큼 잘못 발전한 것이라고 분석한다.
⑶ 교육분야에 응용된 종속이론에 의하면 제도교육(학교교육)은 지배층을 위한 교육이 되며, 종속적이 고 억압적인 국제질서와 (국내) 사회구조를 존속시키기 위한 장치에 불과하다. 종속론적 시각에서 는 학교교육을 경제정치권력의 종속변수로 본다. 따라서 일국의 경제와 정치가 타국의 그것들에 종속되어 있으면 학교교육도 타국에 종속될 수밖에 없다는 가정을 받아들이고 있다.
⑷ 제3세계가 제1세계에 경제적정치적으로 종속됨에 따라 제3세계의 학교교육은 ① 교육제도를 모 방하고, 교육개혁시에 제1세계의 자문을 받고, 제1세계가 개발한 교육과정, 정립한 새로운 이론. 교 육 연구방법, 창출하고 생산한 지식을 수입 또는 분배받는 등의 직접적인 영향과 ② 제1세계의 정 치경제구조에 영향을 받는 제3세계의 정치경제에 간접으로 영향을 받는다.
⑸ 종속이론은 제3세계의 잘못된 사회구조가 발전을 저해한 것이 아니라 저개발이 역사적으로 형성되 었기 때문이라는 역사적 해석을 민중교육에 제공하여, 사회구조의 변혁을 지향하는 민중에 의한, 민중을 위한 새로운 교육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뒷받침해 주었다. 즉, 교육은 중심국으로부터 주변 국의 종속을 극복하고 또한 주변국의 중심부 즉, 중심국의 조종을 받는 주변국의 지배층으로부터 민중으로 불리어지는 피지배층의 해방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
【33】세계체제론(world system theory)
자본주의 경제체제는 핵심국가들(Frank의 중심부와 대체로 일치) ― 영국, 네덜란드, 프랑스, 독일 등, 반주변부(semi-periphery) ― 스페인과 같이 지중해를 중심으로 남부유럽에 위치한 국가군, 주변부 (periphery) ― 제3세계국가와 외곽지역 (external arena) ― 소련과 동유럽 국가들으로 구성되어 있다.
⑴ Frank의 종속이론이나 I. Wallerstein의 세계체제론은 제1세계와 제3세계 사이의 부와 자원의 불균 형이 식민지를 유래하며, 식민시대에 형성된 종속관계가 유지되고 있고 나아가 강화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⑵ 세계체제론적 시각에서의 제3세계의 학교는 ① 자본주의 세계체제에 편입되어 있고, ② 제1세계의 학교와 불평등하며, ③ 국제노동시장과 다국적 기업을 위해 인력을 양성하며 그리고 룸펜주르조아 (lumpenbourgeois)를 배출함으로써 제3세계의 저발전에 기여한다(Arnove, 1980).
▷ 룸펜부르조아ːA. G. Frank가 국가간의 종속관계를 설명할 때 사용한 말이다. 국가간의 종속관계는 물리적 지배에 의해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가난한 국가들의 지도자나 엘리트들이 부유한 국가 의 태도, 가치관, 흥미 등과 동일한 것을 소유하고 있을 때도 종속관계가 형성된다. 프랑크는 이러한 엘리트 집단들을 종속관계의 주된 도구로 파악하였으며, 그들을 룸펜부르조아지라고 불렀다.
⑶ 대부분이 제3세계에서는 식민교육을 받은 엘리트들이 독립 후 지배집단이 되었다. 그들은 식민화 된 지식과 식민사관에 기초해서 제1세계와 정치적 경제적 관계를 맺으면서 자국의 전체적 이익이 나 민족주체성을 주장하기보다는 제1세계의 이익에 봉사하면서 자신들의 사적 이익을 취하였다. 이들은 자국의 학교발전을 위하여 노력하기보다는 과거 식민모국을 모방 또는 수입하고 대학 교 수, 과학자 등 고급인력 양성은 거의 전적으로 제1세계에 의존하거나 도움을 받는다. 제3세계의 지 배집단은 제1세계가 생산하고 분배하여 주는 지식과 지술을 자국의 학교에 재분배하고, 제1세계의 교과서에서 배운 것은 거의 모두가 바로 진리라는 허위의식을 갖는다. 교육분야에 있어서 한미간 의 관계는 엘리트 위주의 지적 종속관계로 형성되었다(이종각, 1995).
  • 가격3,000
  • 페이지수59페이지
  • 등록일2005.12.21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87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