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 교육의 탄생과 발달과정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과 교육의 탄생과 발달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미국의 사회과교육의 탄생과 발달과정
(1) 사회과교육의 탄생
(2) 사회과교육의 발달과정

3. 우리나라의 사회과교육
(1) 정부 수립 이전의 사회생활교육
(2) 정부 수립 후의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

4. 기타 각국의 사회과교육
(1) 일본의 사회과교육
(3) 프랑스의 사회과교육
(4) 서독의 사회과 교육
(5) 소련의 사회과교육
(6) 중국의 사회과교육
(7) 필리핀의 사회과교육

본문내용

었으나, 중학교에서는 시사(時事)문제 일반학습, 공민지리역사등 복잡한 형태로 다루는 분과형의 경향이 짙다.
또한 미국의 사회과의 움직임이나 구미제국의 정치경제 등의 공민적 분야의 확충 움직임에 영향을 받아 지역(地歷)과로부터 사회과나 공민과로의 점진적인 전환이 극히 늦은 속도이지만 이루어 지고 있다.
(3) 프랑스의 사회과교육
프랑스의 학교 교육에는 통합 교과로서의 사회과라는 교과가 없었다. 전통적으로 도덕, 공민, 지리, 역사의 3교과의 병행학습이 행하여졌으나(초등학교에서는 역사, 지리가 합쳐져서 1교과로서 취급되었음) 1968년 교육개혁 때에 3구분 교수법이 채용되어 교과가 ①국어, 산수를 중심으로 하는 지적 기초 교과, ②도덕, 공민, 역사, 지리, 관찰(자연), 도화, 공작, 음악 및 지도적 활동(activites dirigees)이 합쳐진 ‘지각활동’(activites deveil), ③체육, 스포츠의 3영역으로 나뉘어졌다.
여기서 ‘지각활동’은 사회과 계통의 각 영역과 그밖의 여러 영역을 포괄한 광영역 교과로서, 행동을 중심으로 하여 환경(자연 및 사회환경)에 대한 인식력, 자기 인식력을 길러 창조성이나 사회성 등을 기르려는 교과 또는 활동이었다.
1985년의 교육과정 개정에서 ‘지각활동’은 다시 역사지리, 국민윤리, 과학기술, 예술교육(음악, 미술)등으로 해체됨으로써 다시 1968년 개혁 이전의 역사지리와 공민도덕의 2대 지주 중심의 전통적 사회과 교과체제로 되돌아갔다.
(4) 서독의 사회과 교육
일반적으로 전후 서독의 사회과는 정치적 교양을 몸에 익히려는 교육을 일관되게 맡아왔다. 교과의 형태는 초등학교 단계에서 ‘사실과’ 또는 ‘지역사회와 물상(Sachunterricht)’이라는 것으로서 중핵영역으로서 생물, 지리, 역사, 물리, 화학을 놓고 주변 영역으로서 기술, 성교육, 교통교육, 사회과 등을 배치시킨 것이었다.
중등학교 단계에서는 지리, 역사, 사회(공민적 내용), 노동과 등의 여러 사회과적 교과가 독자성을 가지고 실시되고 되었다.
(5) 소련의 사회과교육
1920년대 이후의 소련의 사회과 관련과목을 보면 역사, 지리, 일반사회, 헌법 또는 소비에트 국가와 법의 기초등이 보인다. 일반사회가 자본주의 사회의 시민적 자질 향상을 위한 일반사회와는 달리 공산주의를 중심으로 가르치는 이데올로기 교육이 그 내용인 것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과목이 공산주의 이데올로기 교육을 위한 것이었다.
건국 초기인 1920년대에는 미국의 사회과의 영향을 받아 사회과 내지 문화 연구의 기본적 성격을 지닌 것이 보이기는 하나, 전반적으로는 노동교육, 사회주의사회 건설과 관련된 것이 내용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처음의 노동교육은 노동과 교육의 결합이라는 마르크스주의 교육관과 미국의 생활단원 학습과를 결합시켜, 노동을 중핵에 두고 개인적 경험, 생활 그 자체를 통하여 사회주의적 의식을 형성시키려고 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런 교육이 일반 교양적 지식을 충분히 교육하지 못하고 읽고 쓰는 능력이 충분히 가능한 사람, 과학의 기본을 충분히 갖춘 사람을 양성하는데 실패했다고 보고 1930년대 중반에 노동교육은 폐지되었다. 그러나 노동교육의 폐지가 보통교육 담당 학교가 대학입시를 위한 예비 학교화를 촉진하고, 육체노동과 정신노동을 결합시켜 사회주의형 인간을 기르려는 마르크스주의 교육관과 배치된다는 이유로 1954년부터 노동교육이 다시 중시되어 실생활과 사회적 생산과를 결합시켜 나갈 것을 지향하였다. 그러나 이 노동교육은 생산의 기초적 지식, 기술습득은 중시하였으나 정치사상 교육, 생활 경험의 기초적 배양은 경시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경시된 것은 1967년부터 생겨난 사회과(일반사회)가 커버(cover)하게 되었다.
(6) 중국의 사회과교육
중국에는 지리, 역사, 공민, 위생이 통합되어 사회과가 신설된 것은 1923년이었다. 그 교육 내용은 그때까지의 유교색을 탈피한 ‘민야(民冶)’를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것은 1932년 앞에 제시된 사회과 과목에 자연을 합쳐 ‘상식(常識)과’가 설치되었다. 이것은 통합의 이념이나 생활단원학습의 방법을 이용하여 반공, 유교주의에 입각한 삼민주의(三民主義)를 교육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공산화 이후에는 전통적인 역사, 지리 외에 노동, 덕육, 정치, 농업학습 등의 과목이 보인다.
(7) 필리핀의 사회과교육
1946년 독립한 필리핀은 1984년까지 전후 3차에 걸쳐서 초중등학교의 교육과정을 개정하였다. 1970~1971년의 제3차 교육과정은 초등학교만이 개정된 것으로 우리 나라와 일본과 같이 공민지리역사적 영역을 통합한 사회과를 운영한다. 필리핀의 초등 사회과는 신사회과적 경향이 농후하며, 그 내용은 사회과학의 영역을 상호관련시켜 세계적 관점에서 사실(事實), 개념(槪念), 일반화(一般化)의 체제로 구성하였다. 그 목표를 요약하면 지리적 환경의 이해, 민주시민의 의무와 특전에 대한 이해, 인간관계에 대한 통찰력과 사회에의 참여력, 인간과 사회에 대한 통찰력, 인간의 존엄성, 지식획득의 기본적 능력, 지식 통찰력 및 기능의 적용력, 개인발달을 위한 경험, 순수한 애국, 인류복지에 대한 공헌, 문화에 대한 이해와 실용(實用)등이다.
■ 참고 문헌 및 인터넷자료 ■
정세구 외(1989), 한국사회과교육학개론, 교육과학사
차경수(1996), 현대의 사회과교육, 학문사
박태암(1984), 사회과교육, 형설출판사
한면희(2001), 사회과교육, 교육과학사
H.D.Mehlinger, O.L.Davis Jr(1986), 사회과교육(한국사회과교육회 역), 교육과학사
예지각편집부(1987), 사회과교육, 예지각
강환국(1985), 사회과교육학, 학연사
네이버백과사전(http://100.naver.com)
http://www.bonghwa-ed.go.kr/7cha/7cha-3.html
http://my.netian.com/~dk628/data/socialedu.hwp
http://211.57.134.129/board7/cwb-data/data/zo1/%BB%E7%C8%B8%B0%FA_7%C2%F7%B1%B3%C0%B0%B0%FA%C1%A4.hwp
  • 가격2,3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6.01.04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12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