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기능과 가족 생활주기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33.20
13.63
1.17
12.46
1970~1979
1.44
31.65
17.29
4.98
12.31
1980~1989
1.33
30.91
20.77
7.96
12.81
1990~2000
1.22
30.05
24.89
12.65
12.24
註: 1) 15~64세 기혼부인 중 초혼이면서 출산경험이 있는 경우만을 분석대상으로 함.
資料: 김승권 외, 2000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자녀 양육기간의 단축은 기혼부인들의 취업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종래의 부인들이 전담하던 자녀양육과 노인부양의 문제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혼부인들의 역할변화에 따라 약화되고 있는 가족부양 기능을 보완해줄 사회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가족주기 단계의 변화양상은 가족주기 단계별 복지대책 또한 달라져야 함을 의미한다. 즉, 가족주기의 변화는 각 단계별 가족생활의 여건과 내용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가족복지 대책은 각 단계별 가족들의 특수한 복지욕구를 고려하여야 한다. 특히 최근 고령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의 인구학적 상황과 맞물려 가족주기 중 후 독립적 시기와 후 의존적 시기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여성노인단독가구나 질병을 가진 여성 단독 가구에 대해서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이에 앞으로의 가족복지정책 방향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여성의 취업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 및 가정과 직장생활의 양립을 위한 지원 정책이 이루어져야 한다. 상호의존기 중 자녀 자녀양육시기는 과거보다 많이 줄어들어 기혼여성의 경제적, 사회적 활동 희망률을 증대시키는 한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그 희망율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이들에게 적합한 일자리는 그다지 많지 않다. 한편, 기혼여성의 취업률 상승은 취업부인들의 자녀 양육부담을 증가시키고 있다. 즉, 가구규모 감소와 가족형태의 변화에 따라 자녀의 대리양육자가 없는 상황에서 자녀양육은 취업부인에게 경제적 부담 및 심리적 죄책감 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자녀 외에도 노인이나 와병가구원 등 의존적인 구성원이 있는 취업모의 경우 그 부담은 더욱 크다.
취업부인들에 대한 사회적 지원책으로서 자녀양육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보육시설 및 다양한 형태의 보육서비스 확충이 필요하다(김승권 외, 2000, 정경희 외, 1997). 또한 직장에서의 육아휴직제 활성화, 탄력적 근무제도 등을 도입해야 한다. 또한 전통적으로 여성이 담당해오던 노인이나 장애자, 유병자 등 기타 의존적인 가족원에 대한 부양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가족간호, 휴직제도의 활성화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후기 의존기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성질환관리를 위한 지역보건사업을 활성화해야 한다. 후기 의존기에는 많은 노인들은 만성퇴행성 질환을 앓고 있다. 특히 여자노인들의 경우 만성질환으로 인한 일상생활에서의 활동제한율이 남자노인들보다 높고, 출산, 육아, 가사노동 등으로 인한 여성특유의 질병 발생률이 높은 만큼 이들 질병에 대한 치료 및 예방대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지역보건사업을 확충해야 한다.
셋째, 노후 소득보장제도의 확충이 필요하다. 후기 독립기의 연장은 노후대책 마련의 중요성을 의미한다. 그러나 65세 이상 노인들 중 노후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노인들의 비율은 낮은 편이며, 특히 여성노인들은 남성노인들에 비해 그 비율이 더욱 낮다. 또한 의료비 지출 등이 더 증가하는 고연령 노인층에서 노후대책 마련율은 더욱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정경희 외, 1999), 특히 부양자 없이 혼자 남은 여성노인들의 경제적 빈곤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기 때문에, 그 해결을 위한 소득보장제도 개선이 더욱 필요하다.
넷째, 노인복지서비스의 확충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계속 증가하고 있는 여성노인과 의존적 노인의 경우 경제적, 생물학적, 인구학적 특성으로 자신을 스스로 돌보는데 여러 어려움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그에 대한 사회적 지지체계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부양자가 없고 건강상의 이유로 시설보호가 불가피한 노인을 위한 적정수준의 노인보호시설 확보, 그리고 배우자 또는 자녀 등의 부양자가 없거나 있어도 따로 생활하는 노인들 중 시설보호가 필요 없는 노인들을 위한 재가복지서비스가 확충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Betty Carter & Monica McGoldrick 지음, 정문자 옮김(1997), 『가족생활주기와 가 족치료』,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CollinsJordanColeman 지음,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 연구회 옮김(2001), 『가족복지실천론』, 서울 : 나눔의 집.
ELIZABETH A. Carter & MONICA McGoldrick(1980) 『THE FAMILY LIFE CYCLE』GARDNER PRESS, INC. 19 Union Square West, New York.
Ken Dychtwald(1999)『Healthy Aging-Challenges and Solutions』, Aspen Publishers, Inc. Gaithersburg, Maryland.
Laura Sue Dodson 저, 이근후/박영숙 역(1998), 『가족상담의 이론과 실제-체계적 접근』, 서울 : 하나의학사
강희경 외, 한국의 가족형태와 가족주기에 관한 연구, 한국인구보건연구원, 1982.
공세권 외(1987), 한국 가족구조의 변화, 한국인구보건연구원.
김승권 외(2000), 『한국 가족의 변화와 대응방안』, 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송성자(2000),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 법문사.
유영주(1993), “가족학이란”, 가족학, 한국가족관계학회편, 서울: 하우출판사.
이소희 외(2001), 『현대 가족복지론』, 서울: 양서원.
이화여대 사회사업학과(2000), 『가족치료총론』, 서울 : 도서출판 동인
이효재(1983), 『가족과 사회』, 서울 : 경문사.
정기선(1997), “한국과 미국의 이혼연구를 통해서 본 이혼의 실태와 원인 및 결과”, 산업화과정에서의 한국가족의 실태와 전망- 미국가족과의 비교 분석, 집문당, 1997c.
최경석 외(2001), 『한국가족복지의 이해』, 서울 : 인간과 복지.
  • 가격3,00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06.02.02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59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