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작품론]송강 가집의 판본 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가작품론]송강 가집의 판본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송강 歌集의 판본
2-1 송강가사 판본의 종류와 간행 과정
2-2 각 판본의 특징과 판본간의 차이

3. 결론

본문내용

의 짜현의 짜현의
羽우調됴 우됴 우됴
離니別별 니별 니별
<37> 靑쳬天텬 쳬텬 쳬텬
世셰界계 셰계 셰계
<38> 人인事싶 인싶 인싶
<39> 細셰雨우斜샤風풍의 셰우샤풍의 셰우샤풍의
一일竿간竹듀 일간듀 일간듀
紅홍蓼뇨花화 홍뇨화 홍뇨화
白빛頻빈洲쥬渚뎌의 빛빈쥣졔의 빛빈쥣졔의
<40> 柴승扉비링 승비링 비링
流뉴水슈靑청山산을 뉴수청산을 뉴수청산을
碧벽蹄뎨예 벽뎨예 벽뎨예
<41> 長더沙사王왕 더사왕 더사왕
賈가太태傅부 가태부 가태부
<42> 五오六뉵月월 오뉴월 오뉴월
<44> 亭뎡子짜 뎡짜 뎡짜
豪호華화히 호화히 호화히
<45> 落낙落낙長쟝松숑 낙낙더숑 낙낙더숑
棟동樑냥材짜 동냥짜 동냥짜
明명堂당이 명당이 명당이
<46> 成성勸권農롱 셩권롱 셩궐롱
勸궐農롱 권롱 궐롱
鄭뎡座좌首슈 뎡좌슈 뎡좌슈
<47> 中듕書셔堂당 둥셔당 듕셔당
白빛玉옥杯빛 빛옥빛 빛옥빛
十십年년 십년 십년
朝죠夕석變변 죠셕변 됴셕변
<48> 棟동樑냥짜 동냥짜 동냥짜
議의論논도 의논도 의논도
2) 語句 첨삭의 차이 : 성주본의 어떤 어구가 의성·관서 양본에는 생락된 경우, 즉 의성·관서본에 없는 어구가 성주본에는 삽입된 경우가 있고, 반대로 의성·관서 양본의 어떤 어구가 성주본에는 생략된 경우, 즉 성주본에 없는 어구가 의성·관서본에는 삽입된 경우가 있다.
작품명 성주본 의성본 관서본
<관동별곡> 어와뎌디위링 어와뎌디의링
어이힝면 어이힝면
알거이고 알거이고
힝니 힝니
칭하리승여디여 칭하리승여디여
落낙月월이나 落낙月월이나
되야이셔님계신窓창 되야이셔님계신窓창
안힝번드시비최리라 안힝번드시비최리라
<성산별곡> 夕석陽양의 夕석陽양의
<시조1> 까업싶
3) 어구 선택 및 표현의 차이 : 동일한 위치에 쓰인 어구의 선택이 서로 다르거나, 그 의미는 비슷하나 표현이 다소 다른 경우가 상당히 있다.
작품명 성주본 의성본 관서본
<관동별곡> 모든 다린 다린
아모나 아뫼나 아뫼나
<사미인곡> 얼키연디 허틀언디 허틀언디
쥐여내여 픗여내여 픗여내여
<속미인곡> 내싶셜 이내싶셜 이내싶셜
하냐마다 한가마다 한가마다
구돗힝디 힝돗힝지 힝돗힝지
말인들 말싶인들 말싶인들
<성산별곡> 山산翁옹의 仙션翁옹의 仙션翁옹의
그림재 그림애링 그림애링
삼고 사마 사마
새와로 西셔河하로 西셔河하로
여긔로다 어드매오 어드매오
어딪메오 여긔로다 여긔로다
어딪로셔 어드러셔 어드러셔
건너힝여 힝여건너 힝여건너
빛앎하 빛머리예 빛머리예
다핫다니 다하셰라 다하셰라
빛리고 더텨두고 더텨두고
올라시니 걸려거딪 걸려거딪
黃황卷권링 漢한紀긔링 漢한紀긔링
킹니와 만커니와 만커니와
一일瓢표를 박소링 박소링
힝틴후의 핀계힝고 핀계힝고
더옥 까장 까장
<장진주사> 근여 그려 그려
속애 수페 수페
<시조 19> 슐풍의 까창의 까창의
<시조 22> 업섯괴야 다업괴야 다업괴야
<시조 25> 엇디리 아니랴 아니랴
<시조 30> 별딪을 뎌딪을 뎌딪을
<시조 41> 혜여든 혜건대 혜건대
커든 과커든 과커든
휘도라 휘도라드러 휘도라드러
<시조 48> 빛려이다 어이힝고 어이힝고
한졔이고 하도할샤 하도할샤
4) 吐나 어미의 차이 : 토나 어미가 생략되거나 첨가되는 경우와 어미의 변화를 일으킨 경우가 있다.
작품명 성주본 의성본 관서본
<관동별곡> 티악은 티악이 티악이
십리예 십리의 십리의
혈망봉 혈망봉이 혈망봉이
고이힝랴 고이힝가 고이힝가
불뎡딪예 불뎡딪 불뎡딪
뎌션이 뎌션 뎌션
총셕뎡의 총셕뎡 총셕뎡
구롬이 구롬 구롬
갈길도 갈길히 갈길히
추혀드러 추혀드니 추혀드니
<사미인곡> 길흘 길힝 길힝
님이신가 님인가 님인가
오나 오다 오다
힝여 힝야 힝야
<성산별곡> 보와 보아 보아
무릉은 무릉이 무릉이
엇더한가 엇더힝니 엇더힝니
다핫다니 다하셰라 다하셰라
어위링 어위 어위
만나산가 만나신가 만나신가
<성산별곡> 불제야 불제 불제
<시조 1> 아니시면 아니면 아니면
사라실가 사라시랴 사라시랴
<시조 4> 디나간휘면 디나간후면 디나간후면
<시조 26> 힝고 힝야 힝야
<시조 27> 浮부生싶애 부싶이 부싶이
<시조 36> 힝리 힝려뇨 힝려뇨
<시조 46> 집이 집의 집의
5) 시조 작품의 차이 : 시조가 성주본에는 79수, 의성본과 관서본에는 똑같이 51수가 실려 있다. 따라서 실제 25수의 차이가 난다.
성주본에는 없는 시조가 의성본에 3수 있기 때문에 실제 차이는 25수이다.
鄭 과 鄭觀河는 성주본 발문에서 의성본은 本이고 성주본이 진본이라고 했으나 鄭實은 관서본 발문에서 의성본 및 관서본과 동일 계통인 관북본을 가장 정밀한 판본이라고 한 점과 성주본에는 김하서, 송순 등의 작품이 들어 있을 뿐 아니라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의성본과 관서본의 어구가 보다 고풍스럽고 文義가 자유스러운 점을 볼 때 의성본과 관서본의 작품이 송강의 원작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시조 작품들을 보면 의성본과 관서본은 同系라는 것이 더욱 분명히 드러난다.
이상과 같이 각 판본의 특징 분석과 대비를 통해서 의성본과 관서본은 동일 계통의 판본으로서 철자법상 약간 차이가 있을 뿐이고 이 양본과 성주본은 다른 계통의 판본이라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그리고 성주본보다는 의성본과 관서본이 진본에 가깝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3. 결론
지금까지 시가문학의 3대가 중의 한 사람인 송강 歌集 판본의 종류와 간행 과정, 각 판본의 특징과 판본간의 차이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송강가사의 판본은 구북관본, 황주본, 의성본, 관북본, 성주본, 관서본 등 6종이 간행되었다. 구북관본은 1623년에서 1636년 사이에 간행되었고, 황주본은 1690년에서 1698년 사이에서 간행되었다. 그리고 의성본은 1696년에서 1698년 사이에 간행되었고, 관북본은 1704년에, 성주본은 1747년에, 관서본은 1768년에 간행되었다.
둘째, 송강가사 중에서 현존하는 의성본, 성주본, 관서본 등 3본의 내용을 대비해 본 결과 의성본과 관서본은 표기법에만 다소 차이가 날 정도로 동일계통의 판본이었고, 의성, 관서 양본과 성주본 사이에는 시조 한자어구의 기사법 차이, 어구 첨삭의 차이, 어구 표현의 차이, 토나 어미의 차이, 시조 작품의 차이 등 상호 뚜렷한 차이로 인해 다른 계통임이 드러났다.

키워드

시가,   시가작품론,   송강,   가집,   판본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2.21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73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