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작품론 : 여음의 개념, 특성, 기원과 정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가작품론 : 여음의 개념, 특성, 기원과 정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여음의 개념
2. 여음의 특성
2.1. 반복적인 점
2.2. 원시가와 의미적으로 무관한 어구
2.3. 조흥의 역할
2.4. 음악적 요소
2.5. 원시가에 첨가된 형태라는 점
3. 여음의 기원과 정착

Ⅲ. 결론

본문내용

三 때에도 민중 속에다 뿌리를 박고 맥을 이어나가서 고려속요에 이르게 되었다고 추정한다. 물론 고려속요의 생성을 시가의 형태적 발전에서 볼 때 여러 가지로 볼 수 있고, 이설이나 반론이 있음직하나 작자와 연대가 미상이고, 연등회나 팔관회 때에 집단가무와 더불어 가창되었던 것을 고려해 보면, 고려속요는 근원이나 줄기가 민요이고 그 맥은 원시종합예술에서부터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 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원시종합예술에서 여음은 형성되었고 그동안 민요와 더불어 발전해 오다가 고려속요에 이르러서 꽃피운 것으로 본다.
Ⅲ. 결론
시가에 흔하게 나타난 여음은 우리 시가의 고유한 형태적 특징만은 아니다. 일본시가, 아이누족의 민요, 구미시가 등 어느 민족의 시가에도 나타난다. 그런데 이 여음이 첨가된 시가는 공통적으로 집단인 민중을 배경으로 한 민요계통의 시가에서다. 우리 시가에 등장한 여음도 마찬가지로 그 형성의 근원을 더듬어 보면 영고, 동맹, 무천 등의 원시제천의식에 따른 집단가무였던 Ballad Dance(원시종합예술)에서 형성이 되어 민요와 더불어 발전되어온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이 여음이 붙어있는 시가는 고려조 이전까지는 민중과 민중문학(평민문학)에 대한 푸대접으로 시가 자체는 물론 동기에 대한 자료도 거의 전무하다. 다만 군중 속에 묻히어 구전되어 내려왔을 것으로만 생각된다. 그러다가 고려속요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여음이 첨가된 작품을 실증할 수 있는 정도이다. 또한 여음의 문자화는 고려속요가 성행되던 여조를 훨씬 지나 16C 성종시대이다. 따라서 문자화가 여음의 형성을 뜻함은 아니며 그 형성은 삼국시대를 넘어서 원시시대 공동체사회까지 소급해 올라가야 한다.
또한 여음의 특성은 여음 그 자체가 대부분 의미를 지니지 못했고, 더러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보는 언어여음조차도 원시가와는 아무런 의미적 관련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렇다고 시가에서 여음을 도외시할 수는 없는 것이다. 여음이 지닌 음악성, 조흥적 요소 등은 의미적으로 관련성은 없으나 원시가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고려속요나 민요에서 여음을 제외한 시가만을 상상해보면 여음의 형식적 역할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여음이 시가에서 차지한 역할을 구명한 첫 단계로 그 형성에 대한 일단을 고찰해 본 것이다.
참고문헌
김성기, 여음의 형성에 대한 고찰, 한국고전시가논고, 역락, 2004
이남구, 고려속요의 여음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1982

키워드

시가작품론,   고려,   속요,   여음,   시가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2.21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73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