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구곡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와 논의 조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구곡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와 논의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본론
1. 원문 및 해석
2. 작품의 배경
3. 작품의 성격
4. 쟁점

Ⅲ.결론

Ⅳ.고려가요의 특징

Ⅴ.고려 가요, 사뇌시 , 경기체가에 대해서

본문내용

시형을 이어받으면서도 독특한 모습으로 새롭게 태어난 노래들이다. 세 번 반복하는 노래짜임의 수법이라든가 적절한 후렴구나 여음 구의 사용, 특히 종결구 앞에 차사를 두는 기법은 이 노래의 형식이 옛 민요 시형이나 향가 시형과 무관하지 않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런 점에서 고려 가요 중에는 바로 윗대 가요인 향가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작품이 상당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악곡에 있어서도 역시 고려 가요의 곡의 연원이 그 앞 시기에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속요는 자연스런 우리말을 통해 감정을 구사하는데 비하여 경기체가는 한문 문구나 한자어를 구사하였고 노래 끝에 일정한 격식이 있다는 점, 또 속요는 원래 민요로 불리던 것이었다는 점이다. 또한 평민층이 향유했으며 유려한 율조와 진솔한 표현으로 애틋한 사랑과 삶의 고뇌 등 서민들의 생활 감정을 표현하여 국문학의 백미라는 평을 받고 있는 서정문학인 반면, 경기체가는 무신들의 탄압에 쫓겨난 문신들이 퇴폐적이고 향락적인 유흥을 즐기면서 부른 노래로 한림 제유가 지은 한림별곡이 최초의 작품이며 관동별곡, 죽계별곡 등이 전해지는 교술 문학이다.
경기체가는 애초부터 일종의 귀족문학으로 태어나서 한학자, 유학자들의 풍유적 서정이나 군왕의 송덕을 읊은 것이어서, 그 내용에 있어서는 유학자나 지식계층의 체취와 그들의 건조하기 짝이 없는 형식주의의 취향을 흘려 놓은 것 이상은 아니다. 그러나, 속요는 많은 노래가 지금까지 전하고 있진 않지만 어느 것 하나 함부로 불리어진 것이 아니고, 평민이나 여심의 애환을 진솔하게 노래하고 있다. 고려가요의 창작자들이란 대체로 도시의 평민계층의 사람들이기 때문에 노랫말이 일반인의 생활과 정서를 반영하고 있다. 이들 도시 평민계층의 사람들이란 이 시기의 대중적 인물들이다. 그것은 노래의 내용이 세태적 이고 꾸밈없는 솔직한 애정행각이나 기행적인 사랑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발견된다. 언어 표현의 생동성, 운율조성의 효과성, 세련된 어휘선택, 조흥구나 삽입구의 적절한 도입, 섬세한 비유나 기발한 주제 등은 실제로 이 시기 노래의 특징으로 내세울 수 있다.
속요(俗謠)와 경기체가(景幾體歌)의 명칭문제 또한 문제가 있기는 마찬가지다. 전자는 원래 '속악'(俗樂)조(條)에서 유추된 명칭일 것이나, 가사의 내용 및 창작, 수용 계층을 염두에 둔 연구자들의 선입견에 의해 "민중(농민, 천민 계층)의 진솔한 생활 체험을 표출한 노래"라는 적극적인 의미로 확장 고정된 명칭이기도 하다. 이 정의 속에는 노래들의 담당계층과 주제의식 및 세계관에 대한 연구자들의 단정적인 견해가 이미 확고하게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속악 조에 들어 있는 노래들이 거의 모두 궁중 악으로 사용되었다는 점이다. 즉'속(俗)'자가 들어 있다고 하여 무조건 민간 혹은 민중의 노래(민중의 유행가:謠)만은 아니며, 그것은 단지 중국으로부터 도입한 아악(雅樂)이나 당악(唐樂)에 대하여 우리의 노래를 변별하기 위한 명칭일 뿐이었다. 물론 속악이 민중의 기층문화를 반영하고 있긴 하지만 상층문화로 상승하여 정재(呈才)등의 양식으로 재편된 이상 다층적 복합성을 본질로 지니게 된 것은 당연하고, 그 결과 일대(一代)의 제도(制度)에 따른 일대(一代)의 악(樂)이라는 의미에서 당대에 표준으로 삼던 중국의 음악과 다른 우리 고유의 음악을 지칭하는 용어로 고정되었다고 보는 것이 정확하다.
속악 조에 여타 속가들과 함께 속해 있던 한림별곡이 문제가 되긴 하나 그 작품은 형태상으로 비교적 뚜렷이 구별되고, 이 작품으로부터 시작되는 별도의 갈래가 존재하는 이상 속가의 부류로부터 독립시켜 거론해야 할 듯하다. 그것은 이른바 경기체가 장르의 첫 작품으로 넣을 수밖에 없는데, 사실 경기체가도 문제가 많은 장르명칭인 점은 마찬가지다.
작품중의 한 구절을 따서 장르명 으로 삼은 것은 타당하지 않다. 즉 형태나 내용, 또는 이것들을 포괄하는 구조적 측면에서 그 명칭을 잡지 않고 작품 중의 한 부분을 장르명 으로 삼는 것은 옳지 않은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려시대 불려진 문학작품들은 모두 제각기 특성을 갖고 있다. 명칭문제 또한 어떠한 명칭이 옳고 그르다고 속단할 수는 없다. 속요와 경기체가로 구분을 할 수 있지만 명확히 속요와 경기체가를 하나의 명칭으로 묶을 수 있는 이유는 그리 많지 않다. 굳이 하나의 명칭으로 부르자면 '고려가요'라는 명칭을 쓰기도 하지만, 가요라는 말은 아무래도 가창 쪽에 비중이 놓이는 용어이기 때문에 경기체가를 포함하기는 쉽지 않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속요와 경기체가의 명칭 또한 문제가 있으나, 모든 작품들 특성에 따라 장르명을 나눈다면 그것은 굳이 문학 장르의 명칭을 붙일 필요가 없다. 모든 작품이 세분화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가 있지만 약간 다른 차이점 때문에 더 큰 공통점을 버릴 수 없기 때문이다.
속요와 경기체가의 특징, 작자와 주제, 향유계층에서 살펴보면 둘의 공통점보다는 차이점이 많기 때문에 속요는 속요로 경기체가는 경기체가로 각기 다른 명칭으로 부르는 것이 타당한 것 같다.
참고문헌
『高麗史』樂志
國樂大事典(張師勛, 世光音樂出版社, 1984)
文學批評用語事典(權澤英 崔東鎬, 새문社, 1985)
『時用鄕樂譜』
『詩經』
『高麗史』樂志
권영철 (1982). "<維鳩曲> 考",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박노준 (1995). "유구곡과 예종의 사상적 번민", 『고려가요의 연구』, 새문사.
윤성현 (1994). "고려가요의 서정성 연구",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이동근 (1992). "<維鳩曲> 再考", 『한국고전시가작품론 1』, 집문당.
이임수 (1988). "고려가요연구",경북대 박사학위논문.
윤영옥 (2001). 『한국의 고시가』, 문창사.
장영창 (1993). "유구곡과 정과정의 갈등극복", 『고려가요의 문학사회학』, 경운출판사.
전규태 (1968). 『論註 고려가요』, 정음사.
전규태 (1976). 『고려속요의 연구』, 정음사.
조동일 (1994). 『한국문학통사 』, 지식산업사.
최 철 (1996). 『고려국어가요의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최용수 (1996). 『고려가요연구』계명문화사.

키워드

  • 가격1,1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6.29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73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