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학습이론(형태주의학습이론, 기호형태이론, 사회학습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지학습이론(형태주의학습이론, 기호형태이론, 사회학습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학습 이론
1) 형태주의 학습 이론(gestalt learning theory)
(1) Wertheimer의 이론
(2) Kohler의 이론
(3) Koffka의 이론
2) 기호-형태 이론(sign-gestalt theory)
3) 사회 학습 이론(social learning theory) =관찰학습=대리학습=모형학습

2. 기억의 구조와 과정
1) 기억의 구조
(1) 구조론적 입장
(2) 과정론적 입장
2) 감각기억과 형태 인지
3) 단기기억과 과정
4) 장기기억과 과정

본문내용

보가 어떻게 표상되는가에 따라 그 정보 인출의 용이성과 망각의 가능성이 결정된다.
Underwood, Wickens 등은 시간적, 공간적, 빈도, 감각적 및 의미적 차원의 속성이 장기기억에 포함된다고 한다. 그러나 하나의 정보가 이 모든 차원에서 다 약호화되는 것은 아니고 약호화의 내용이 곧 파지의 내용을 결정한다.
① 반복
한 문항에 대한 반복은 각각 별개의 약호화 맥락을 형성함으로써 비록 명목적으로 동일한 기제라 하더라도 상호 독립적인 기억 흔적, 즉 약호화의 다양성 효과를 나타내고, 이러한 효과는 반복이 분산될수록 더 크게 나타난다.
② 시연
시연은 기억 정보의 전이뿐만 아니라 파지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③ 언어 매개
우리의 언어적 경험은 기억 정보를 단어나 문장으로 조직, 변환시키고 기존 지식과 통합하는 기능을 갖는다. 단어의 의미 충만성, 사용 빈도, 연상가가 회상률과 깊은 관계가 있다는 실험 연구 결과는 언어적 경혐에 의한 매개 광정이 학습 및 파지를 촉진시키고 있음을 실증하고 있다.
④ 심상
Palivio에 의하면, 인간은 심상 체제와 언어 매개라는 독립적인 정보처리 체제를 갖고 있다고 말한다.
- 이중 부호화 이론 : 심상 체제는 감각적 공간적인 비언어적 정보의 처리에 관계하고, 언어 체제는 언어적 비공간적 정보처리에 관련이 있다. 따라서 심상의 형성은 동일한 정보를 심상과 언어의 두 체제에서 약호화하게 됨으로써 파지의 증가를 가져온다.
- 명제적 부호화 이론 : 지각적-심상적 지식이나 의미적-언어적 지식은 단일의 것이며, 다같이 명제적 성격을 띠는 것으로 개념간의 체계의 수나 표현 양식에 차이가 있을 따름이다.
⑤ 조직
정보의 조직은 단기기억뿐만 아니라 장기기억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Mandler는 조직이 학습의 필수 요건이라고 하였다. 인간의 파지 능력은 제한되어 있고 따라서 우리는 정보를 더 큰 단위로 조직함으로써 많은 양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획득, 저장, 인출할 수 있게 된다.
(3) 정보의 저장
장기기억에서 정보의 저장은 저장될 정보의 내용 자체가 곧 정보의 저장위치 지정에 필요한 정보까지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믿고 있으며, 동일한 정보는 항상 동일한 위치에 저장된다.
Bower는 정보의 저장에 두 가지 방략이 적용된다고 하였다.
- 반응제한 가설 : 적합 반응의 탐색이 용이하도록 가능한 대안의 수를 제한시키는 방략
- 재배치 가설 : 비슷한 정보를 항상 동일한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그 결과 기억 흔적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방략
Collins와 Loftus의 의미 기억 : 개념간 및 개념군 간의 상호 관계로 이루어지는 망상조직을 말한다.
(4) 정보의 망각
단기기억에 적용되었던 소멸과 간섭의 이론은 장기기억에도 적용된다. 그리고 망각을 인출의 실패로 보는 단서의존적 망각도 일어난다.
① 소거
Jenkins와 Dallenbach는 10개의 무의미 철자를 학습하고 1, 2, 4, 8시간 후에 자유회상검사를 실시하였다. 파지 기간 동안 피험자들은 잠을 자거나 일상 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파지 기간의 길이에 비례해서 망각이 증가되었고, 비록 수면 상태에서도 망각이 일어났는데 이는 소멸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수면 상태에 비해 일상 활동 조건에서 더 많은 망각이 일어났으며 수면 상태에 일어난 망각도 꿈이나 얕은 수면 상태에서 일어난 잡다한 개념의 간섭을 받은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소멸 이론은 간섭의 요소를 완전히 배제하기 어렵고 기억의 저장과 인출 과정을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설명에 제한을 갖는다.
② 간섭
장기기억에서 망각은 주로 간섭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으로 보지만, 초기의 이론가들은(Mogeoch) 간섭이 정보의 인출 과정에서 일어나는 반응경합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A-D, A-B 목록을 학습하고 A-D 목록을 회상하는 경우 D의 회상이 B와 경합을 보인다는 주장이다.
③ 반응 양식의 간섭
Postman과 Stark는 A-D 과제의 학습 과정에서는 선택 기제에 의해 D반응이 활성화되나, A-D 과제의 학습 과정에서는 이 선택 기제가 B반응을 활성화하는 데 옮겨져 D반응이 억압된다고 하였다.
④ 단서의존적 망각
Tulving은, 망각이란 저장된 기억 흔적이 약화되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인출 조건에 따라 일어나는 단서의존적 망각에 불과하다고 했다.
(5) 정보의 인출
흔히 실험 절차상 정보의 저장과 인출의 과정을 구분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하나의 연속적인 과정이다. 정보의 저장과 인출 과정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① 저장과 인출 과정
Tulving과 Thompson이 제안한 약호화-특수성 이론은 정보의 저장과 인출 과정은 상호 밀접한 관련이 있고, 인출에 도움되는 제반 자극 조건을 예언 설명하고자 한 것이다.
기억의 내용은 지각적 분석과 약호화에 의해 결정되고 저장된 내용이 곧 그 저장 내용의 효율적인 접근에 필요한 인출 단서를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② 재인 과거의 경험을 그것이 틀림없이 자기가 경험한 것임을 인지(認知)하는 것을 가리킨다.
따라서, 재생을 행하면 재인하는 결과가 된다. 대개 표현 기능을 매개로 하지 않으므로 재생보다는 훨씬 수월하다. 또, 보유가 그다지 확실하지 않아도 부분적으로 보유가 잘 되어 있는 조회(照會)가 성립하여 확실한 재인을 할 수 있거나, 반대로 세부적으로는 대부분 탈락되어 있어도 전체적 윤곽이 보유되어 흔적과의 조회가 성립되면 역시 확실한 재인을 할 수 있다. ‘의기억(擬記憶)’이라든지 ‘의재인(擬再認)’이라 하는 것들의 체험은 이러한 사실로써 설명된다. 이를테면, 한번도 와 보지 않은 고장이 이상하게도 일찍이 와 본 적이 이TSms 것 같은 재인감정을 일으키는 경우 등이다.
과 회상 과정
회상과 재인은 단지 파지 측정법으로서가 아니라 인출 과정의 특징을 밝히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양자가 동일한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면 여러 가지 변인에 의해서 동일한 영향이 나타나야 할 것이다. 자극 제시의 반복이나 문항이 제시되는 맥락적 요인은 두 과정에 동일한 영향을 미치고 다같이 역행 간섭 현상이 나타난다.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5.29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16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