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속의 탄생의례,성인의례 분석(통과의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화속의 탄생의례,성인의례 분석(통과의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신화의 의미 ‥‥‥‥‥‥‥‥‥‥‥‥‥‥‥‥‥‥‥‥1
   (1) 신화의 정의 - M.Eliade / C.G.Jung‥‥‥‥‥‥‥‥‥‥‥‥‥1
(2) 현대적 의미에서의 고찰 ‥‥‥‥‥‥‥‥‥‥‥‥‥‥‥‥‥‥1

Ⅱ.탄생의례‥‥‥‥‥‥‥‥‥‥‥‥‥‥‥‥‥‥‥‥‥‥‥‥‥‥1
   1. 탄생신화의 유형‥‥‥‥‥‥‥‥‥‥‥‥‥‥‥‥‥‥‥1
      (1) 출현 신화‥‥‥‥‥‥‥‥‥‥‥‥‥‥‥‥‥‥‥‥1
          ①제주도의 삼성 시조 신화‥‥‥‥‥‥‥‥‥‥‥‥‥‥2
          ②동부여 금와왕 탄생신화‥‥‥‥‥‥‥‥‥‥‥‥‥‥2
       (2) 천강 신화‥‥‥‥‥‥‥‥‥‥‥‥‥‥‥‥‥‥‥‥‥‥‥3
          ① 직접적인 하늘의 기원-단군신화, 박혁거세 신화, 수로 신화
② 간접적인 하늘의 기원-고주몽 신화‥‥‥‥‥‥‥‥‥‥ 4
  (3) 난생 신화 -석탈해 신화‥‥‥‥‥‥‥‥‥‥‥‥‥‥‥‥‥‥4
      (4) 생명의 신, 삼신.‥‥‥‥‥‥‥‥‥‥‥‥‥‥‥‥‥‥‥4
   2. 오늘날의 세태‥‥‥‥‥‥‥‥‥‥‥‥‥‥‥‥‥‥‥‥‥‥‥‥5

Ⅲ.성인의례‥‥‥‥‥‥‥‥‥‥‥‥‥‥‥‥‥‥‥‥‥‥‥‥‥5
1. 신화 속 주인공의 성인의례 유형‥‥‥‥‥‥‥‥‥‥‥‥‥‥5
(1) 단군신화‥‥‥‥‥‥‥‥‥‥‥‥‥‥‥‥‥‥‥‥‥‥6
(2) 주몽신화‥‥‥‥‥‥‥‥‥‥‥‥‥‥‥‥‥‥‥‥6
(3) 혁거세 신화‥‥‥‥‥‥‥‥‥‥‥‥‥‥‥‥‥‥‥‥‥7
(4) 탈해왕 신화‥‥‥‥‥‥‥‥‥‥‥‥‥‥‥‥‥‥‥‥‥‥‥7
(5) 별난 성인식‥‥‥‥‥‥‥‥‥‥‥‥‥‥‥‥‥‥‥‥‥7
(6) 신화속 성인의례의 현대적 의의‥‥‥‥‥‥‥‥‥‥‥‥‥8
2. 성인의례의 과거와 현재‥‥‥‥‥‥‥‥‥‥‥‥‥‥‥‥‥‥8
(1) 성인식‥‥‥‥‥‥‥‥‥‥‥‥‥‥‥‥‥‥‥‥‥‥‥‥8
(2) 혼례‥‥‥‥‥‥‥‥‥‥‥‥‥‥‥‥‥‥‥‥‥‥‥‥‥8

Ⅳ.결어‥‥‥‥‥‥‥‥‥‥‥‥‥‥‥‥‥‥‥‥‥‥‥‥‥‥‥‥‥10

Ⅴ.참고문헌‥‥‥‥‥‥‥‥‥‥‥‥‥‥‥‥‥‥‥‥‥‥‥‥‥‥‥11

본문내용

더라도 열 가지를 넘지 않도록 한다.
친영이란 신랑이 신부집에 가서 혼례를 치르고 신부를 맞아오는 예로 혼례절차 중 가장 중요한 의식으로 요즘의 결혼식이다. 친영의 절차는 전안례, 교배례, 합근례의 순서로 행해지며, 친영이 끝나고 처음 마시는 술은 부부로서의 인연 맺는 것을 의미하며, 표주박으로 마시는 술은 부부의 화합을 의미한다.
폐백은 혼례식을 마친 신부가 시부모에게 정식으로 첫인사를 올리는 의식이다. 신부가 신랑집에서 첫날밤을 보내고 아침 일찍 시부모님께 처음으로 큰 절을 올리는데 이때 시부모에게 드릴 음식을 준비하는데 이를 폐백이라 하였다. 폐백을 드릴 때는 시부님께 큰절로 4배를 하고, 항렬이 높은 친척에게는 평절로 한다. 오늘날에는 결혼식 당일 예식장에서 폐백실을 이용하여 간단히 끝낸다. 폐백은 그 동안 낳아주시고 길러주신 부모님과 어른들에 대한 감사의 뜻을 나타내고 새로운 가족의 성원이 되었음을 조상, 친척들에게 알리는 의미이다.
현대결혼
현대인들의 결혼절차는 약혼식→결혼식→신혼여행 순으로 이루어 진다.
약혼식은 전통혼례에서 의혼과 납채에 해당하는 절차로 양가 상견례를 마련하는데 의미가 있다. 약혼의 경우 식은 하지 않고 호적등본과 건강진단서만을 교환하도록 되어 있어 생략되기도 하는 절차이며, 호텔이나 음식점에서도 이루어 진다. 약혼식은 일반적으로 개식, 신랑 신부 가족 소개, 신랑 신부 인사, 사주함 전달, 약혼 예물 교환, 식사와 연회, 폐식 순으로 진행된다.
결혼식이란 남녀 두 사람의 결합을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통과의례로 부부가 되었음을 알리는 공적인 발표이다. 우리의 전통적 혼례식은 현대사회의 생활여건에 적응하면서 변하고 사라지면서 그 의식 일부만 유지되고 있다. 청홍배색의 혼례복은 흰 웨딩드레스로 바뀌었고, 동등했던 신랑 신부의 입장도 신부가 아버지의 손에 의해 신랑에게 넘겨지는 형식을 통해 여성의 종속성 및 삼종지도의 격식이 오히려 강화된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근래에는 신랑 친구들이 함을 갖고 가서 지나친 행동으로 주위 사람들의 비난을 받고 신부집에 무리한 부담을 끼치는 일이 있는데, 이는 시정해야 할 풍습이다.
신혼여행은 결혼식을 마친 신랑과 신부가 서로에 대한 애정을 깊게 하고 앞으로 시작될 새로운 공동생활을 설계하기 위해 떠나는 여행으로 며칠간의 여행기간을 통해 생활의 경험을 쌓음으로써 분리되 개인에서 동반자로서의 이동을 용이하게 받아들이도록 하는 일시적 충격흡수장치로서의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또 두 사람 만의 오붓한 장소에서 성생활에 적응하는 기회를 갖음으로써 성적으로 친밀하게 만들며 정서적, 정신적으로 가깝게 만들어주게 된다.
전통혼례와 현대결혼
앞에서 보듯 결혼문화는 과거의 복잡한 절차들이 많이 생략되고 간소화 되고, 많이 단순화 된 것을 엿 볼 수 있다. 시대에 발맞추어 관습이 바뀌는 것은 어쩔수 없는 일이다. 하지만 그에 따른 우리의 마음자세도 바뀌면 안된다. 이혼율이 50%에 육박하고 출산율도 1.08명으로 줄어드는등 가족파괴 현상이 여러 곳에서 이루어 지고 있는데, 이런 문제들은 우리들의 마음가짐이 잘못되었다는데 문제가 있다. 전통혼례에서는 이 의식 자체가 가문과 가문의 결합이고 마치 하나의 자물쇠 같은 역할 이였다. 하지만 요즘은 결혼했다가 이혼하고, 또 결혼하고 이런 모습이 많이 나타나는데, 이런 모습들은 사라져야할 모습임에 틀림이 없다. 조상들의 가족을 중시하고 의식을 중시하고 이런 모습은 어찌보면 지금의 현대인들에게 따끔한 충고를 하고 있는 모습일 지도 모른다. 현대인의 사치스런 결혼풍습보다 엄숙하고 숙연하며 진지하게 진행되었던 과거의 결혼문화가 더 아름답다고 말할 수 있겠다.
Ⅳ.결어
신화 속 주인공들의 탄생의례와 성인의례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각기 다른 내용과 의미를 갖고 있지만, 공통점으로서 이들의 기이한 탄생은 신성성과 연계되고, 이들은 이러한 신성성을 확인받는 절차로서 고난과 역경을 이겨내는 성인의례를 거친다는 점이다. 일반 평범한 인간들의 탄생과는 달리 알에서 깨어나고, 햇빛만으로 임신이 되며, 이들의 조상은 하늘이나 땅의 기운을 가진 자들이지만, 이상한 강탄으로 인하여 태어날 때부터 박해받는 경우이든, 태어나면서 신격화되어진 경우이든 그 능력과 자질을 시험당하는 고비를 한번씩 넘기는 구절이 나타나는 것을 보면 고대인들은 신성한 존재와 접신하는 의례적 절차와 행위를 통해서 새로운 존재 즉, 정신적 탄생을 하게 된다고 여긴 것으로 보인다.
이는 오늘날의 우리에게 많은 의미를 줄 수 있다. 오늘날 우리는 물질문명의 발달로 인해 풍요로운 삶을 누리고 있지만, 우리가 과연 정신적인 풍요까지 누리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중세에서 근대로 나아가는 과도기적 시대의 ‘르네상스’에 계몽사상이니 사실주의니 하는 사조들이 물밀 듯이 넘쳐났던 것을 우리는 잊어버리고 있지는 않은지. 서양의 근대화보다 비록 뒤쳐져 고립되어있었다는 비판을 무시할 수는 없겠지만, 우리는 그만큼의 ‘동방예의지국’으로서 생명의 존엄을 알았고 정신적 고양을 쌓을 줄 알고 있었지 않았던가. 우리 민족의 세계적인 교육열은 오늘날 단지 학문을 위함이다. 물질문명의 이기를 최대한 누리기 위한 방편으로서의 자기 앞 가림 뿐 이지, 신화 속에서나 우리 전통적인 습속에 나타나는 생명에의 존귀, 역경을 이겨내고자 하는 정신적 의지는 온데간데없다. 자기 권리는 지켜낼 줄 알면서도 기본적인 의무는 소홀히 하는 이기심만 늘어날 뿐인 우리의 정신적인 발전은 지체되어 있음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Ⅴ.참고문헌
이성희 공저,《결혼과 사회》,성신여대출판부 / 1999
이현희, 《이야기 한국사》,청아출판사 / 2002
한국국학진흥원 교육연구부, 《우리 삶의 근원을 찾아서》 / 2000
이규태, 《한국인의 민속 문화》,신원문화사 / 2000
서대석, 《한국신화의 연구》, 집문당 / 2001
서정오, 《우리신화-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현암사 / 2003
이지영, 《한국의 신화 이야기》, 사군자 / 2003.
신동흔, 《살아있는 우리 신화》, 한겨레 신문사 / 2004
김화경, 《한국의 설화》, 지식 산업사 / 2003
김화경, 《한국 신화의 원류》, 지식 산업사 / 2005
  • 가격1,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05.29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20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