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암 박지원과 연암 문학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연암 박지원과 연암 문학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박지원의 생애
2. 박지원의 사상
3. 박지원의 문학론
4. 박지원 소설의 특징
5. 등장인물을 통해 나타난 사상
6. 등장인물을 통한 비판과 풍자
7. 등장인물의 근대적 성격

Ⅲ. 결론

본문내용

고 있는 것이다.
(2) 현실성
<마장전> 송욱 조탑타 장덕홍은 각기 개성을 지녔으며 실재적 인물들이다. 이 세 사람은 현실생활에서 벗어남이 없으며 생활 속의 행동을 통하여 자신들의 개성을 나타낸다. 특이한 행적을 통하여 독자의 호감을 사는 것도 아니고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일도 없다. 인간이 살아가는 평범함에서 오히려 독자에게 사랑 받고 깊은 감동을 준다.
<예덕선생전> 선귤자는 연암이 가장 친애하던 이덕무의 별호이므로 실재적 이물이라는 것은 더 말할 나위가 없고 그의 제자인 자목도 글방에서 사사를 받는 당시 사회에서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평범한 서생이고 그의 언행 또한 옛 인습에 젖어 있음을 보아도 현실적 인물임을 알 수 있다. 이런 평범한 인물을 통해 사회의 문제점을 파헤치고 있다.
<광문자전> 광문은 불우한 생활을 하는 걸인으로 살아가면서 의라는 것을 통하여 독자에게 감명을 주는 인물이다. 당시의 실정으로 보아 천민인 걸인이 별감이나 부사들과 술자리를 같이 할 수 있다는 것은 현실성을 벗어나는 요인이 될 수 있지만 자신의 행적을 사회실정에 벗어남이 없이 신분대로 살아간다는 것은 실재적이며 현실적이라 할 수 있다.
<양반전> 정선양반은 무능한 생활로 아내에게 매도당하고 부농(富農)으로 부터 가식(假飾)된 생활이 폭로되지만 봉건사회의 악제도에서는 그러한 양반의 생활이 가장 보편적일 수 있다. 그리고 양반을 매매하자는 농부의 말이 얼마나 어리석은 것인가를 알면서도 모르는 체 응하는 모습이 당시 사회에서는 가장 사실적이고 실제생활에서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현실과 양반 사회의 가장된 모습을 대변한 정선양반은 독자들로 하여금 실감 있게 대할 수 있는 인물인 것이다.
<우상전> 우상은 영조왕 39년 한어 통관의 자격으로 일본에 파견되었던 통신사의 일행으로서 실존했던 인물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과정에서 인생의 진리를 탐구하여 작품 내에서 소화하고 있다.
<허생전> 허생은 상매인(商賣人)이면서 결코 상매인을 자처하지는 않는다. 거금을 획득하여도 살림에 쪼달리는 아내를 기쁘게 하기는커녕 50만금을 바다에 버리고 40만금으로 활빈의 행적을 하는 점 등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을 정신적으로 해결하려는 이상주의가 숨어져 있다. 이것은 자신이나 가정을 위하는 마음에 앞서 사회를 생각하는 즉, 사회현실에 자기의 이상을 투영하려고 한 이상주의자이다. 그러나 그의 이상은 현실과 밀착되어 있었다. 오히려 그의 이상이란 바로 사회 현실의 병리적 구조에서 연역(演繹)된 것이다.
허생은 이상주의적 인물이면서 현실생활을 깊이 파고들어 구체적이고도 실천가능한 생활을 하는 가장 현실적이고 근대적 신인간형임을 알 수 있다.
(3) 서민성
<마장전> 작가는 광가를 부르고 걸식하는 인간들 속에서 삶의 진리를 묘사한다. 이것은 걸인들의 생활에서 일어나는 우도를 실감 있게 그려 연민(燕民)들의 순진한 인간미를 창조했다고 할 수 있다. 즉 현실 생활의 내면을 탐지하고 인간본연의 심리를 작품화한 평민문학으로써 근대문학을 형성하였다고 본다.
<광문자전> 연암은 광문이란 걸인에게서 의(義)를 밝혀 삶의 진리를 논하고 있다. 광문의 순진한 인간성과 그의 초연한 생활을 표현한데서 당시 사회에 새로운 인간형을 탄생 시켰다. 도덕생활을 부르짖고 가장 점잖고 진실하게 산다는 양반들의 표면생활에는 허욕, 방탕, 오만이 가득차고 있는데 반하여 비천한 생활 속의 걸인에게서 오히려 인간적인 순진성과 아름다운 정서를 소유한 인물을 창조하고 있다.
<양반전> 동네 부자는 재산은 많지만 상민이란 신분상 제약으로 당시 사회실정으로는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없다. 연암은 이러한데 관심을 두고 농부라고 천대를 받고 살아야 하는 인간의 심리를 새로운 각도에서 작품화 하였다. 타고난 권력으로 허세 속에 살아가는 양반과 부에 비해 천하게 살아가는 인물은 상반된다. 연암은 천하고 평범한 인물을 대상으로 하여 인간의 본질을 밝혀 금대 문학적인 작품의 가치를 찾고 있다.
<호질> 연암은 소박한 농부와 사대부라는 북곽선생을 대립시켜 독자로 하여금 범보다 더욱 심한 힐책을 하도록 하였다. 소박한 농부를 등장시킴으로써 농부의 인간미를 발견할 수 있고 이에 상반되는 북곽선생 같은 인물은 더욱 사회의 지탄 받는 인물이 된 것이다. 연암은 타락하는 양반과 부상하는 서민을 등장시켜 새로운 서민의식을 형성하고 있다.
<민옹전> 민옹은 첨사라는 벼슬도 했으나 시골집에 돌아온 후로는 다시는 벼슬을 하지 않고 평민으로 여생을 마친 인물이다. 병든 사회에서 벼슬에 얽매인 생활보다는 현실을 직시하고 참다운 삶의 일면을 보여 주는 인물이다. 인간을 곡식을 해치는 황충으로 비판할 수 있는 것은 귀족층이 아닌 서민의 입을 통해서였다. 작은 벼슬이라도 붙잡고 부귀공명을 꿈꾸는 당시 봉건 사회인들과는 대조적 인물이 창조된 것은 서민 의식의 발로라고 할 수 있다.
<우상전> 우상은 일본에 간 통신사 수행원으로 크게 명성을 떨친 일이며, 더욱이나 <윤아선생>이란 일 호를 얻은 뛰어난 인재이다. 이렇듯 낮은 신분의 인물을 독자로 하여금 호감이 가도록 그려 사회 개혁에 새로운 역할을 하도록 했다. 그러나 우상을 고소설에서 볼 수 있는 실현 불가능의 일을 이상세계에서 실현하려는 공명주의적 인물이 아니라, 자신의 불행을 극복하려다 끝내 불운으로 일생을 마치는 현실적 인물이다. 서민으로 하여금 신분적 제약을 극복하려는 의욕을 불러일으키는 인물인 것이다.
Ⅲ. 결론
이를 통해서 우리는 연암 박지원에 대해서 알아볼 수 있었고, 연암 문학 속에 숨겨 둔 현실비판적 대응을 읽을 수 있었다. 자신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것을 통해서 자신의 내면 의식을 대입시키고 그 안에서 새로운 정신을 발견해나갈 수 있음이 매우 흥미로웠다.
그저 사회 비판적인 소설이구나 하고 생각을 한정시키기에는 그의 문학과 업적이 너무 혁신적이다.
그의 사상과 그의 문체와 그의 상상력까지, 조선 시대 이러한 문학상의 대가가 있었기에 현재까지 그의 정신이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것이 아닐까?
많은 작품 안에서 우리는 시대가 다른 조선시대의 생활상을 체험할 수 있으며 그 안의 폐단과 문제점을 웃음을 지으면서 깨달을 수 있다.

키워드

연암,   박지원,   연암문학,   실학,   허생전,   호질,   이용후생,   풍자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06.19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57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