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 '붐'과 왜곡된 소비문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 명품의 개념 정의
◆ 문제제기

【본론 1】

【본론 2】
◆ 명품을 선호하는 이유는?

【본론 3】
◆ 한국에서 갑자기 명품이 유행하게 된 이유
〔본론 3-1〕간판 문화를 초래하는 한국인의 명품의식
〔본론 3-2〕매스컴을 통한 수용
1. TV속의 명품
2. 잡지 속의 명품

【본론 4】
◆ 명품 선호 현상의 문제점
1. 분수에 맞지 않는 소비
2. 외화 소비의 증가
3. 가짜 명품 양산
4. 상대적 박탈감

【본론 5】
◆ 해결책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관리, 지도급 인사들의 자성이 필요하다.
또한 대중에게 직접적으로 명품구매에 대한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매스컴도 자제가 필요하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TV는 연예인들의 협찬을 통하여 명품을 광고하고 있으며, 잡지에서는 광고란에 적극적으로 명품광고를 싣고, 모델에게 해외 유명브랜드의 값비싼 옷을 입힘으로써 대중들에게 명품 구입을 부추기고 있다. 비록 광고의 목적이 기업의 이익 창출에 있다고는 하나, 대중에게 명품구입을 조장하고, 위화감을 불러일으키는 지나친 명품광고는 심의 위원회 차원에서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에서의 연예인 의상에 대한 협찬 시, 충분히 중저가 국산 브랜드의 의상으로도 코디네이션이 가능한데 굳이 명품브랜드의 옷으로 하려는 태도를 지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문화방송의 “인어아가씨”라는 일일극의 경우, 의류관련 협찬 사 25개 중 명품 브랜드의 비율이 절반 이상이다.> 또한 명품 붐을 이용한 과장광고의 제작도 올바른 심의를 통하여 막아야 한다.
그리고 명품 소비의 주체인 사회 구성원 개개인의 자성도 필요하다. 상품의 구매 시, 자신의 분수와 경제 능력에 맞는 소비를 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명품에 대한 광고나 명품이 등장하는 방송 및 간행물을 접할 시에 개개인이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그 외에 명품 브랜드의 수입 및 판매처는 우리 나라 사람들의 이러한 명품 붐을 이용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과시적이고 충동적인 구매를 선동할 수 있는 무분별한 수입을 지양해야 하고, 품질에 맞는 적절한 가격을 설정하여야 한다.
【결론】
한국에서 3년째 생활하면서 여러 TV프로그램에 출연, 연예인으로서 잘 알려져 있는 패션의 본고장인 이탈리아 태생의 부르노 부르니 루치아노 지오바디씨(29)는 한국의 생활에 익숙해 졌지만 아직도 한국의 명품 선호현상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유럽인들도 명품을 좋아하긴 해요. 돈 있는 사람들은 명품을 선호하죠.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디자인에 더 비중을 둬요. 유명 브랜드라도 디자인이 맘에 안 들면 안 사는 거지요. 한국에는 무조건 명품만 고집하는 사람들이 많아요. 남을 의식해 명품을 찾는 것 같아요.”
그는 한국여성들의 패션감각이 뛰어나 보기는 좋지만 너무 과시 욕에 치우친 듯한 옷차림은 눈에 거슬린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유행을 좇든 자기 만족을 위해서든, 일반인들에게 명품은 한 두 개의 소비로 충분하다. 토탈패션 개념으로 명품 소비가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명품소비의 상징성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명품 몇 개 갖고 있냐는 것 보다 명품을 갖고 있느냐 없느냐가 그들에게 의미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곧 사람들이 명품을 사는 것이 아니라 명품의 명성을 사는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한국인의 명품의식은 고쳐져야 할 현상이자, 바람직하지 못한 집단 콤플렉스라고 생각될 수도 있다. 내면이 충실하고 정신이 건강하며 심리적 자신감이 있는 사람이라면 굳이 명품에 연연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심리학자들은 지나친 명품의식의 원인을 열등감과 보상심리에서 찾기도 한다. 우리 나라 사람들은 왜 그렇게도 스스로에 대해 자신감이 없는가. 사람만 떳떳하고 훌륭하면 그가 입는 옷이나 타는 차도 곧 “명품”이 되는 사회는 과연 언제쯤이나 도래할 수 있는 것일까..
【참고문헌】
1. ‘럭셔리 신드롬’ (제임스 B. 트위첼, 2003.2.20.)
2. ‘나는 명품이 좋다.’ (나카무라 우사기, 2002.2.5.)
3. ‘소비문화에 관한 한국인의 의식조사’ (소비자보호원, 2002.5.)
4. 조선일보 www.chosun.com
5. 동아일보 www.donga.com
6. 중앙일보 www.joins.com
7. www.iluxury.co.kr
8. www.luxurybobos.com
9. www.brand8949.com
10. 다음카페 ‘연예인?! 이제 그들을 말한다.’
11. 다음카페 ‘아가타 매냐’
12. 잡지 ‘명품’ 34월호
*목 차
【서론】
◆ 명품의 개념 정의
◆ 문제제기
【본론 1】
【본론 2】
◆ 명품을 선호하는 이유는?
【본론 3】
◆ 한국에서 갑자기 명품이 유행하게 된 이유
〔본론 3-1〕간판 문화를 초래하는 한국인의 명품의식
〔본론 3-2〕매스컴을 통한 수용
1. TV속의 명품
2. 잡지 속의 명품
【본론 4】
◆ 명품 선호 현상의 문제점
1. 분수에 맞지 않는 소비
2. 외화 소비의 증가
3. 가짜 명품 양산
4. 상대적 박탈감
【본론 5】
◆ 해결책
【결론】
【참고문헌】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6.20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58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