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별곡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산별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들어가는 말

Ⅱ. 본론
1. 원문과 해석
◎ 현대어 풀이
◎ 청산별곡의 구조
2. <청산별곡>에 대한 쟁점
1) 작품 내적 측면
① 청산별곡의 주제 ② 청산별곡의 화자
2) 작품 외적 측면
① 창작 시기 ② 작가 계층
3. 사뇌가와 고려가요 경기체가의 특징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표기는 향찰로 되었다. 향찰이란 우리 문자가 없던 시기에 우리말로 표현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표기 방식이었는데, 한자의 음과 훈을 섞어 써서 표기했다. 형식은 4구체, 8구체, 10구체로 나누어진다. 내용은 민요, 동요, 토속 신앙에 대한 것, 임금을 그리워하는 노래, 나라를 다스리는 노래 등 다양하나, 부처님의 찬양과 신앙심을 표현한 불교적인 노래가 많다. (각각의 향가 작품은 그 배경이 되는 설화를 가지고 있는 것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작가는 승려, 화랑, 여류, 무명씨 등 여러 계층이나, 현전하는 작가는 대부분이 승려와 화랑이다.
사뇌시는 우리 문학사상 최초의 정형화된 서정시란 점에 중요한 의의가 있다. 또한, 그 가사는 신라어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그 표기법은 외래문화를 주체적으로 수용 발전시킨 좋은 예가 된다. 그리고 숭고한 이상 추구를 주된 내용으로 했던 이 문학 양식은 소박하면서도 깊이 있는 수사로 원만하고 차원 높은 신라인의 정신세계를 잘 반영했다. 향가는 우리 문학의 주체성으로 보여 주면서 민족정신과 정서를 바탕으로 하여 꽃피운 민족 문학의 유산이라 할 만하다.
2) 고려가요
향가가 쇠퇴하면서 그 명맥을 유지하던 향가계의 노래까지 자취를 감추면서 크게 유행한 갈래로 고려 시대 평민들이 부르던 민요적 시가인 속요이다. '고려가요', '장가(長歌)'라고도 부른다. 고려 속요는 민요에서 형성되었으므로 운율이 무척 아름답고 표현이 소박하면서도 진솔하며, 오랜 시일 전승되는 동안 첨삭되는 과정을 거쳐 세련미까지 갖추게 되었다. 당시의 사회상이 반영되어 있으며 평민들의 진솔한 감정이 잘 표현되어 있다. 정착 시기는 고려 속요는 원래 민간에서 유포 전승되던 민요가 궁중의 속악 가사로 수용되고 개편되었다가, 한글 창제 이후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 등에 채록되어 전하고 있다.
형식은 대부분이 분절식으로 되어 있고, 분절마다 후렴구가 붙는 것이 보통이다. 대체로 전후 양절로 나눠지며, 몇 연이 연속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 음수율에서는 3음절과 4음절이 우세하고 음보율에서는 3음보가 많은데, 율조는 매우 유려하다. '청산별곡', '가시리' 등을 보면 3음보격에 의한 3.3.2조가 많다.
내용은 주로 남녀 간의 사랑, 자연에 대한 예찬, 이별에 대한 안타까움 등 평민들의 성정(性情)을 진솔하게 나타낸 노래로, 허식이 없고 감정과 정서의 표출이 매우 절절하다. 이 중 남녀 간의 애정을 노래한 것에 대해 조선조 학자들이 '남녀상열지사'는 '사리부재(노래말이 저속한 것은 문헌에 싣지 못한다.)'라 하여 문헌에서 삭제하기도 하였다. 고려 가요의 주제와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이별- 서경별곡, 가시리
② 연모, 연군- 동동
③ 사친(思親)- 사모곡, 상저가
④ 남녀 상열(相悅)- 쌍화점, 만전춘, 이상곡
⑤ 지조- 정석가
⑥ 주술- 처용가(고려 속요)
⑦ 무상(無常)- 청산별곡
작가층은 고려 속요의 원작자는 고려 시대의 평민이고, 궁중 속악의 가사로 수용해서 개편한 담당층은 악곡에 조예가 깊고 시문에 밝은 고려 후기의 신하나 궁중에 등재된 관기(官妓), 여무(女巫), 악공(樂工) 등이라 할 수 있다. 고려 속요는 적나라한 인간성과 풍부한 정서가 유려한 국어의 구사 속에서 뛰어나게 형상화된 것이어서 국문학의 중요한 유산으로서 그 가치가 크다.
3) 경기체가
경기체가는 13세기 초에 '한림별곡'을 시작으로 출현하여 조선시대까지 그 명맥이 유지되었던 시가 양식이다. 고려 중엽 이후 무신들이 집권하게 되자 대부분의 문신들의 관계(官界)를 떠나 초야에 은둔하였지만, 일부 문신들은 집권층들의 문하를 드나들며 신흥 사대부 계층을 형성하게 되었다. 경기체가는 이들 신흥 사대부들이 자신들의 득의에 찬 삶과 향락적인 여흥을 위하여 창출한 시가였다. 경기체가라는 명칭은 이 노래에 '경(景) 긔 엇더하니잇고' 혹은 '경기하여'라는 구절이 되풀이 되는 것을 두고 줄여서 붙인 것이다. 또한 공통적으로 제목에 '별곡(別曲)'이라는 말이 붙으므로 '별곡체'라고도 한다.
형식은 몇 개의 연이 중첩되어 한 작품을 이루는 연장 형식을 취하고 있다. 한 연은 6행으로 되어 있으며, 제 4행과 제 5행에서 두 개의 구조적 단위, 즉 전 대절(前大節)과 후 소절(後小節)로 양분되는 분절 형식이다. 1 3행까지는 각각 3음보이며, 제 5행은 4음보인 것이 원칙이다. 제 5행의 4음보 가운데 뒷부분 2음보는 앞 2음보의 가사를 반복한다. 음수율은 1, 2행이 3.3.4, 제 3행이 4.4.4의 음절로 고정되어 있다.
내용은 고려 후기 신흥 사대부들의 활기찬 감정과 의식 세계를 노래하거나, 선비들의 학식과 체험을 노래하는 것으로 글, 경치, 기상, 등을 제재로 삼았다. 또 사물이나 경치를 나열함으로써 신흥 사대부의 호탕한 기상과 자부심을 드러내고자 했다.
Ⅲ. 결론
이상과 같이 기존연구를 중심으로 <청산별곡>에 대해 알아보았다. 관련문헌의 부족으로 인하여 해석상의 문제점이 나타났고 주제 및 성격, 작자계층, 화자, 구조 등에 있어서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이견들을 바탕으로 할 때 <청산별곡>의 참 모습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앞으로 관련문헌의 발굴과 더욱 많은 연구를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김명준, 고려속요집성, 다운샘, 2002
김복희, 청산별곡의 신화적 의미, 고려시가의 정서, 개문사, 1985
박노준, 청산별곡의 재조명, 고려가요의 연구, 새문사, 1990
박병채, (새로고친) 고려가요의 어석 여구, 국한자료원, 1994
신동욱, 청선별곡의 평민적 삶의식,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982
이성주, 증보 고려시대의 가요, 민속원, 1998
전형대, 청산별곡 성격,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
이우영, 청산별곡의 어석의 문제, 세종어문연구5, 1989
서수생, 청산별곡소고, 경북사대교육연구1, 1963
최철 박재민, 석주 고려가요, 이회문화사, 2003
국어국문학회『고려가요ㆍ악장연구』(1997)
김대신 외『고려가요의 정서』 (1986)
國文學新講編纂委員會 『國文學新講』(1985)
인터넷 네이버『청산별곡』 검색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6.06.30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73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