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기술론) 해결중심모델의 실천과정과 방법 및 적용사례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기
- 해결중심 채택의 동기 및 배경
1) 해결중심 이론이란
2) 이론적 배경
3) 문제중심모델과 해결중심모델의 주요 차이점

2. 해결중심모델 실천과정

3. 해결중심모델의 방법
1) 목표설정
2) 처음 면담 이전의 변화에 관한 질문
3) 예외질문
4) 기적질문
5) 척도질문
6) 대처질문
7) 메세지 작성과 전달
8) 후퇴와 역할

4. 효과성 검증

5. 역할극
1) 가계도
2) 프로필
3) synopsis

※ 참고 문헌

본문내용

사항: 노환으로 바깥 생활을 거의 하지 못하고 큰 손주의 죽음에 집안 일을 거의 놓아버린 며느리를 보면서도 안쓰러운 생각은 들지만 나이도 들고 몸조차도 불편하기 때문에 자식들과 손주들, 가족들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그저 묵묵히 지켜볼 뿐이다.
◎ 할머니
이름: 강금녀(77)
특이사항: 손주가 죽은 후에 집안 일에도 소홀하고 남편도 잘 챙기지 않고, 아이들도 잘 돌보지 않는 며느리가 예쁘지는 않다. 며느리 대신에 어린 손주를 아침마다 챙기고 있다.
◎ 아빠
이름: 남궁희(48)
학력: 전문대 졸업
직업: 택시기사
특이사항: 혼자서 6식구의 생계를 모두 책임지느라 바쁘다. 그래서 아내가 집안을 잘 돌보지 않고 3년째 큰 아들의 죽음에 슬퍼하고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자신조차도 생계로 인해 가정을 돌볼 수 있는 실정이 아니다. 다만 큰 아들이 죽기 전 화목했던 가정의 모습을 그리워하고 있다.
◎ 엄마
이름: 한순정(43)
학력: 고졸
특이사항: 큰 아들의 사고가 나기 전까지는 아주 여유롭지는 않았지만 화목한 가정의 가정주부로서 좋은 아내와 며느리, 어머니의 역할을 하는 지고지순한 여자였다. 하지만 큰 아들 빈이가 죽고 나서 아들에 대한 미안함과 슬픔에 하루의 대부분의 시간을 빈이의 방에서 보내며 그 안에서 아들을 위해 기도한다. 때문에 딸 린이와 아들 진이는 거의 돌보지 못했다.
◎ 큰아들
이름: 남궁빈(17세)
학력: 고등학교 재학 중 사망
특이사항: 평범한 가정의 듬직한 큰아들로서 부모에게 큰 힘이 되는 아들이었다. 하지만 갑작스런 사고로 목숨을 잃었다. 죽지 않고 살아있었다면 20살이다.
◎ 딸
이름: 남궁린(17)
학력: 고등학교 재학 중
특이사항: 평범한 여고생이다. 부모님의 속을 썩일 만큼 큰 문제를 일으킨 적도 없다. 하지만 큰 오빠의 사고 후 3년이라는 시간 속에서 가족 간의 대화 단절과 애정의 부재는 겉으로 보기에 이 평범한 여고생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어느 날 갑자기 학교 선생님에게 담배를 피다 걸려 엄마를 학교로 불려오게 만든다. 엄마가 복지관을 찾아 사회복지사를 만나게 되는 계기를 제공한다.
◎ 막내 아들
이름: 남궁진(15)
학력: 중학교 재학 중
특이사항: 게임을 좋아하는 중학생이다. 아직 철없고 엄마의 사랑이 필요한 시기. 하지만 학교를 갈 때도, 집으로 돌아와도 엄마는 예전의 엄마가 아니다. 가족의 사랑이 부족한 진이는 자신의 욕구를 게임을 함으로서 만족시킨다.
3) Synopsis
#.의뢰된 사정
3년 전, 갑작스레 큰 아들이 사고로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평소 듬직하던 큰 아들을 잃은 슬픔에 엄마는 큰 충격을 받고 점점 무기력해졌다.
또한 매일 죽은 큰 아들을 그리워하며 그의 방에만 들어가 있으면서 자연스럽게 다른 자녀들과의 관계는 소홀해지게 된다. 때문에 어머니 역할의 부재로 불만과 내재된 갈등이 심화되어 가족구성원 간에 모두 대화가 점점 단절되게 된다.
시어머니와 시아버지는 노환으로 바깥 활동이 불가능한 상태이고 큰 손주의 죽음으로 슬퍼하는 며느리를 보며 답답하고 안타까워하지만 도움은 되지 못하고 있다.
남편은 개인택시를 하고 있고 혼자 6식구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것 때문에 큰 아들이 죽은 뒤로도 아내가 가정을 제대로 돌보지 않음을 알고 있지만 생계유지 때문에 집안 일에 신경을 쓰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3년이란 세월을 아이들은 이러한 어른들의 무관심 속에서 보내게 된다.
그러던 어느 날 딸 린이가 학교에서 담배를 피우다 담임선생님께 걸리게 된 계기로, 엄마는 현재 가족에 대한 상태를 인지하고 스스로 아이들과 인근 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를 만나게 된다.
#.첫 번째 만남
어머니와 딸 린이, 아들 진이는 사회복지사와 첫 만남을 갖게 된다. 첫 만남에서 사회복지사는 앞으로 어떻게 면접이 진행할 것인지에 대해 명확히 알려주고 현재 가족의 처해있는 상황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자유롭게 이야기해보도록 유도한다.
엄마는 매일 죽은 큰아들 방에 들어가 울거나 기도를 하며 시간을 보내고 딸 린이는 이런 집안 사정에 비관하여 방황하며 아들 진이는 컴퓨터 온라인 게임으로 자신의 욕구를 충족하고 있다.
이에 사회복지사는 지금의 상황에서 나아진 상황을 생각해볼 수 있는 기적질문을 가족에게 던지게 된다.
가족들의 현재상황에 대한 내용과 기적질문에 대해 가족들이 답한 것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사는 다른 전문가들과의 논의하고 가족들에게 피드백을 주고 첫 번째 만남을 종료한다.
#.두 번째 만남
첫 번째 만남 이후 나아진 것이 있는가에 대해 질문한다. 여기서 가족들이 말한 나아진 것으로 사회복지사는 우연적 예외 상황을 발견하고 칭찬하고 지지한다.
또한 척도질문을 통해 첫 번째 만남에 비해 두 번째 만남에서 느끼는 기분을 묻고 지금의 기분보다 더 나아지기 위해 할 수 있는 행동들을 생각하게 한다.
잠깐의 휴식시간을 가지면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들을 위한 피드백을 가지고 돌아온다.
사회복지사는 가족들의 변화에 칭찬하며 지지해주고 다시 만날 날을 정하고 종결한다.
이때 사회복지사는 가족에게 관찰과제를 내준다.
#. 마지막 만남
두 번째 만남 이후 나아진 것이 있는가에 대해 질문한다. 이에 가족들은 자신들이 느낀 변화한 가족의 모습을 서로 이야기한다.
사회복지사는 두 번째 만남에서 사용했던 척도질문을 통해 더 나아진 가족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 상태를 지속시키기 위한 자신감이 얼마나 되는 지를 묻는다.
앞으로 가족의 변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클라이언트들에게 다시 지지하고 격려해주며 이 후에 만남을 지속하고 싶은지에 대해 가족들의 의사를 존중하여 종결하기로 한다.
※ 참고문헌
최경석 외(2003), "한국 가족복지의 이해 제2판" , 인간과 복지
성정현 외(2004), "가족복지론" , 양서원
김유숙(2000), "가족상담", 학지사
김용석 외(2005),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 학지사
Insoo Kim. Berg 외(2004), "해결을 위한 면접", 시그마 프레스
송성자(2000), “가족과 가족치료”, 法文社
윤계순(2001), “해결중심 단기모델을 적용한 학교부적응청소년 집단 프로그램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6.07.25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99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