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설] 주생전에 대한 작품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소설] 주생전에 대한 작품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본론
-작가의 생애 및 문학관과 작품 창작 배경
-주생전 줄거리
-시대 상황과 비추어 작품 속의 인물형 분석
-작품의 전기소설 측면에서의 의미
-주생전 작품의 구조
-작품의 이본에 관해서

3. 나오며

본문내용

한 필사 과정의 차이일 뿐 작품의 내용이나 성격에 하등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만 이 경우 북한본의 문장이 어조사나 대명사 등의 활용에 있어서 문법적으로 보다 짜임새 있고 매끄럽게 처리되어 있는 반면, 문선규 본은 상대적으로 압축된 표현을 보여주고 있다는 경향성을 지적할 수 있다. 양 본의 결말부를 보면 문선규 본은 58자로 간략하게 제시되어 있으나, 북한 본은 177자로 상세하게 부연되어 있다. 더구나 癸巳年仲夏 無言子 權汝章 부분을 통해 <주생전>의 작자와 창작 연대에 있어서 중요한 단서를 내포하고 있다. 이로써 일단 북한본이 본래의 모습에 더 가깝다는 주장은 신빙성을 인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또, 이복규에 의해 1997년에 국문본 원작이 어떻든 간 실제 이본의 표기가 한글로 되어 있는 경우.
이 학계에 소개되었고, 그 후 김일근 교수에 의해 또 하나의 국문본 <주생전>이 공개되었다. 이복규, <우리 고소설 연구>, 역락, 2004, 33쪽.
특히 이복규의 이본은 필사연대가 17세기 후반임이 밝혀졌다. 1593년에 창작된 것으로 밝혀진 한문소설 <주생전>이 17세기에 이르러 국문으로 번역되어 유통되었다는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김일근 교수가 공개한 <주생전>은 <위경청전>의 국문본과 합철 되어 있다. 이 이본은 거기 찍힌 인기(印記)가 후궁의 것임으로 밝혀졌다. 이는 문인지식층을 담당층으로 하여 창작되고 유통되던 전기소설이 일정한 시기에 이르러서는 국문으로 번역되면서 그 담당층이 여타의 계층(여성층)으로까지 확대되었음을 물증으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3. 나오며
이제까지 <주생전> 작품을 내적인 면인 줄거리와 구조와 전기적 측면으로 살펴보고, 외적인 면인 시대 상황을 개입하여 주인공들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주생전>이라는 작품을 작품론을 쓰면서 처음 접하게 되어 많은 연구들을 담지 못한 점도 있고, 내 의견이 지나치게 반영된 점도 있다고 생각된다. 앞으로 <주생전>에 대한 더 많은 연구 성과들을 접하게 된다면 작품에 대해 이제 겨우 한걸음 떼어 놓은 것에서 발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또 우리의 고소설을 현대화하는 것은 어떨까하는 생각도 문득 들었다. 지금 방영되고 있는 서동(백제 무왕) 설화를 바탕으로 한 <서동요>라는 드라마처럼 <주생전>도 드라마 화하여 이 작품을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 많이 알릴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의 고소설이 결코 천편일률적으로 단조로운 패턴으로만 구성된 것이라는 선입견을 확실히 깨 줄 수 있었으면 좋겠다. <주생전> 같은 경우에는 삼각관계 패턴의 사랑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계층이라고 하긴 그렇지만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세 남녀 간의 사랑이기 때문에 현대의 우리도 공감을 하는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이런 요소들은 현대의 드라마에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새로운 드라마 대본을 쓰는 것보다는 이 작품을 최대한 활용하면 한 편의 멋진 애정 드라마가 탄생 할 수 있을 것 같다. 너무나 옛 것을 고리타분하다고 생각하고 알려고 하지 않는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전통과 현대를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읽기 쉽고 재밌는 고소설이 하길 바라며, 작품론을 마친다.
참고 문헌
고전문학실 편, <한국고전소설 해제집 下>, 보고사, 1997.
박태상, <조선조 애정소설 연구>, 태학사, 1997,
박일용, <주생전의 사실적 경향성과 소설사적 위상>, <조선시대 애정소설>, 집문당, 1993,
소인호, <주생전 이본의 존재양태와 소설사적 의미>
이복규, <새로 발굴한 초기 국문, 국문본 소설>, 박이정, 1998,
이복규, <우리 고소설 연구>, 역락, 2004,
이상구, <17세기 애정전기소설>, 월인, 1999,

키워드

주생전,   작품론,   고전소설,   고소설,   국문학,   국문,   주생,   권필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8.16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13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