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불교와 도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의 불교와 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중국의 불교
불교의 전래와 발전역사
중국의 도교

도교사상의 기원
"도교"라는 명칭의 기원
중국과 한국, 인도의 불교 문화 비교
인도 불교 문화
중국 불교 문화
한국 불교 문화

본문내용

란 대평원적 문화풍토에 가장 큰 외래문화로 중국의 전통을 변질시킬 만큼 큰 전환을 일으킨 것은 불교였다. 불교의 전래는 중국에 있어서 대단한 사상 및 문화의 감염이었으니, 왜진이후는 이미 깊이 중국민족에 뿌리를 내려 전연 이질적인 것을 느낄 수 없도록 동화되었다.
처음 중국에 불교 문화가 전래될 때는 인도의 불교문화가 그대로 전하여진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초기 도래승들을 살펴보면 알 수 있는데, 대부분 직접 인도로부터 온 것이 아니라, 인도 서북쪽의 대월씨, 안식, 강거등으로부터 서역지방에 걸쳐 들어온 사람들로서 이러한 지역의 승려들에 의해 경전과 불상이 전래되고 한역되었던 것이다.
이렇게 중국에 불교가 초기 전래될 때는 인도불교 그대로가 아니라 당시에 이미 서역 지방에 전하여져 있었던 서역불교가 전래된 것이었다. 서역불교는 순수한 인도불교가 아니라, 불교가 서역지방에 전해지면서 서역 문화가 가미되고 변화를 겪은 불교로 예컨대 사문이니 외도니 또는 출가니 하는 말들은 범어가 아니라 서역 제국의 말에서 역출된 것으로 이러한 사정을 잘 말해 주는 것이다.
이리하여 인도의 불교는 서역에 전하여지고, 경전 등은 서역어로 번역되어 서역의 불교가 되었는데 그것이 중국으로 전하여져서 중국의 불교가 되었다. 이와 같이 서역의 불교가 중국에 영향을 끼쳤다고 하여 인도 불교와 중국 불교의 직접적인 교섭이 없었던 것은 물론 아니다.
중국에 불교가 전해진 후 200여년이 지난 동진 시대에 이르러 인도로부터 직접 범승이 도래해 온다든가 또는 중국으로부터 많은 입축 구법승이 나옴에 따라 중국불교는 인도불교와 직접적인 교섭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중국불교는 인도불교와 서역불교의 영향을 받으면서 중국의 문화에 영향을 주고 받으며 발전되었던 것이다. 불교의 사상적 측면에서도 불교예술의 입장에서도 인도의 본래 것과는 다른 소재와 기법, 그리고 창의가 발휘되었다.
이러한 중국의 불교예술은 건축, 조각, 회화에만 그치지 않고 문학이론과 창작과 문체의 새로운 발전까지를 가져왔다. 특히 석굴사원의 발달은 그 규모의 웅장함에서만이 아니라 중국불교미술의 대표적 불상을 남기기도 한다.
한국 불교 문화
불교는 처음에 우리에게 하나의 외래종교였음에 틀림 없다. 그러나 불교는 단순한 종교로서의 기능만 보여 준 것은 아니고, 전반적인 문화현상으로서 우리 민족문화의 모체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서기전 6세기쯤에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는 이후로 인도의 온갖 문화를 함께 수용, 포용하며 하나의 문화권을 형성하였으며, 서역제국을 거쳐 서기 1세기쯤 중국으로 전해져 고유문화와 풍토 속에서 독특한 중국의 불교를 형성시키고 그와 같은 중국의 불교문화가 바로 이 땅으로 전래된 것이 4세기쯤의 일이었다.
중국으로부터 들어온 불교문화는 육로를 통해서 고구려에 전해졌고 바다를 건너서 백제 땅으로 전하여졌다. 고구려에서 받아들인 불교문화는 주로 전진을 비롯한 북방 중국의 불교문화였으며, 백제는 주로 동진을 비롯한 남쪽 중국의 불교문화를 받아들였다. 신라는 처음 고구려로부터 불교문화가 들어왔고, 그 뒤에는 백제와 중국(남조, 수, 당) 등지에서도 전래되었다.
우리 민족의 사상과 문화 및 민속에 영향을 미치며 한국문화 형성과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다. 한국인의 삶에 있어서 인간과 세계의 궁극적 의미에 대한 탐구가 철학적 체계를 확보한 것은 불교를 통해서였으며 아울러 우주의 장엄한 질서에서 느껴진 경외감이 숭고한 예술적 표현을 획득할 수 있었다. 범속한 일상에 제례의 정연함과 놀이의 즐거움이 정착되기 시작한 것도 불교와의 접촉을 통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삼국시대에 불교문화를 받아들이기 전에는 이렇다 할 고유한 민족문화를 갖고 있지 못한 편으로 자연숭배 신앙이나 그러한 문화의 형태 속에서 생활을 영위하던 당시의 우리 겨레는 외래의 종교이며 새로운 사상을 동반한 불교문화를 받아들이게 되어 민족의 고대 신앙이나 고유관습 등 종래의 문화와 잘 융화되어 훌륭한 민족문화로 형성되었던 것이다. 현재 우리 문화에 남아 있는 문화의 대부분이 불교문화 유산이고, 그것에 의하여 불교의 핵심 사상이 우리 문화권에 수용되면서 자연의 원리에 순응하는 문화적 표현의 결정체를 우리는 너무나 익숙하게 그리고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불교문화 유산은 불교문화의 차원을 넘어 한국인의 문화유산이라는 측면에서 불교문화 유산을 잘 보존해야 하는 막중한 책임 의식을 가져야 할 일이다. 그렇게 하는 일이 한국인의 정서와 정신문화의 맥을 잇는 길이다.

키워드

불교,   도교,   중국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9.16
  • 저작시기200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41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