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이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퇴계이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참고자료

2. 16세기 정치상황

3. 퇴계의 생애
(1) 가계
(2) 퇴계의 생애구분

4. 퇴계의 저술
(1) 소(疏)
(2) 성학 관련서적
(3) 기타

5. 역사적평가

본문내용

선비이다. 그의 『성학십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일찍자고 새벽에 일어나 세수하고 의복을 정제한 후 정좌하는 것이라든가, 조용히 마음을 가라앉혀 마치 ‘하느님을 모시듯’ 하는 것 등이 그러한 조목들이다. 그 밖에 『맹자』에서 중요시한 ‘마음을 흐트러트리지 않도록 하는 구방심(求放心)’, 『대학』에서 권하는 ‘자기자신을 스스로 삼가는 신독(愼獨)’, 『중용』의 두려워하는 마음가짐으로 경계하고 삼가는 계구(戒懼),공신(恐愼)의 태도를 익혀 실행하던 선비가 퇴계였다. 그에게 있어 이러한 수양은 결코 학생들에게만 가르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었다. 교육에 임하기전부터 ‘자신을 위한 공부’의 일환으로 실천한 것이다.
퇴계의 경우 수양과 관련된 자기 성찰에도 철저하였음도 매우 인상적이다. 그는 자기성찰을 위해 58세무렵에는 자신의 편지뭉치 중에서 반성의 자료로 삼아야겠다고 판단되는것들을 가려내 자성록이라는 책으로 엮었다.
퇴계 스스로의 인생에 대한 자성적 통찰에서 얻은 삶의 가장 기본적인 요건은 한마디로 하여 ‘경(敬)’이라는 것이다. ‘경’의 긴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강조가 자성록 전반에 걸친 핵심적 언사이다. 그리고 『성학십도』에서도 그는 십도에 일관하는 것이 ‘경’임을 밝히고 있다. 퇴계의 철학을 흔히 ‘경의철학(敬哲學)’이라고 이름하는 까닭도 이러한 데 말미암는다.
‘경(敬)’은 공경한다는 뜻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로 설명된다. 의복을 바로하고 엄숙한 태도를 취하는 것이라든가, 정신을 또렷이 차리는 것, 또는 마음을 한데 모아 흐트러짐이 없게 하는 것이 그 대표적인 설명이다. 이 중 퇴계가 가장 자주 원용하는 의미는 맨뒤의 마음을 모아 흐트러짐이 없게 하는 것이다. 즉 경건함과도 통할정도의 진지한 마음가짐이 곧 그가 가리키는 경이다. 퇴계의 일생이야 말로 진지함으로 시작하여 성실로 일관한 생이라 할 수 있다. 하루하루의 일상적인 태도 자체가 그러한 마음가짐과 몸가짐의 연속이었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그는 ‘참다운 인간’을 스스로 형성하는데 온갖 정성을 다한 인물이라 할 수 있다.
결 론
퇴계는 생존당시부터 ‘현인(賢人)’으로 추앙받았다. 당시 명종은 수차례 퇴계에게 벼슬을 내렸지만, 퇴계가 이에 응하지 않자, 신하들에게 시제로 ‘현인을 불러도 오지않음을 한탄함 (招賢不至歎)’을 내릴 정도로 퇴계를 대우했다. 한 나라의 임금이 ‘현인’이라고 말했을 정도이니 다른 이들이 어떻게 그를 생각했는지는 더 말할 것도 없다. 사후에도 조선성리학을 대표하는 인물로써 부각되고 있다.
자성록과 언행록들에 나타난 퇴계의 나라의 으뜸되는 기운인 선비의 모습들, 그리고 그의 학구열로 이루어낸 조선성리학의 성과, 큰 중병이 아니면 강학을 중단하지 않는 높은 강학열 덕분에 배출한 조선중기의 수많은 인재들, 서원교육의 활성화를 일으켜 조선후기의 인재배출에 영향을 미친점 등으로 미루어보아 퇴계야말로 성종 이후 완전히 소멸될 수 있는 선비의 기풍과 학문을 비롯한 조선의 문화를 살려낸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앞으로도 더욱 숭배되어야 할 것이다.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9.18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42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