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신소설의 분석과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신소설의 분석과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서론-----------------------------1

Ⅱ.서술양식의 분석--------------------2
(1)1인칭시점-------------------------2
(2)3인칭 시점------------------------5
(3)이중적 서술양식(액자소설적 서술양식)--5

Ⅲ.등장인물의 분석--------------------6
(1)피지배계층------------------------7
(2)지배계층--------------------------8
(3)지식인----------------------------8

Ⅳ.결론-----------------------------11

◆참고문헌

본문내용

肥 >,<高老未子>의 方玄綽, 四銘, 高老未子들은 전자에 속한다. 한마디로 속물 근성으로 설명될 수 있을 그들은 예리한 풍자의 대상으로 나타나는데, 대체로 그들 자신의 주관적 시점을 통해 풍자가 행해짐으로써 그들을 다룬 작품들은 고도의 아이러니 효과를 빚어낸다. 그러나 그들이 오직 풍자의 대상으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肥 >의 四銘이 그 예이다. 삼인칭 서술인 <<肥 >의 주인공 四銘은 보수적인 지식인이다. 한때 신문화를 지지한 적도 있던 그는 지금은 유교적 덕목을 고수하며 신문화를 거부한다. 그러면서도 자기 아들에게는 영어 교육을 시키는 그는 일종의 자기 기만에 빠져있다. 그 자기 기만은 의식과 무의식 사이의 편차에서 뚜렷이 나타나는데 그것을 드러내는 매개물이 비누이다. 의식의 차원에서 그는 거지 소녀의 효행에 감동을 하지만 무의식의 차원에서는 거지 소녀로부터 성적 자극 받는다. 그가 비누를 사는 것은 그 성적 자극으로부터 유발된 무의식적 행동이다. 이 작품은 四銘의 심리를 섬세하게 드러내고 있는데, 서술이 四銘에 대한 외적 관찰과 그의 의식의 추적에 제한 되어 있기 때문에 그의 무의식은 위선의 증거일 수도 있지만 달리 보면 인간적 진실의 표현일 수도 있으며 그런 의미에서는 의식 차원의 이데올로기적 허구를 해체하는 결정적인 요소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작품 말미에서의 "그는 몹시 슬펐다. 효녀와 마찬가지로 '하소연할 곳 없는 백성'이 된 것처럼 외롭고 쓸쓸했다. 그는 이날 밤 아주 늦게서야 잠이 들었다"
) 김시준 역(1989)「루쉰소설전집」,서울대학교출판부, P265
라는 진술은 그런 시각에서 읽을 때 비로소 납득될 수 있다.
좌절과 실의에 빠져있으나 그로 인해 고뇌하는 지식인 인물들로는 <頭髮的故事>의 N,<在酒樓上>의 呂緯甫,<孤獨者>의 渭連 , <傷逝>의 涓生 등이 있다. N은 배반당한 혁명, 허위의 쌍십절에 실망하고 절망한 나머지 극단적으로 냉소적인 태도를 취한다. 그 냉소주의는 "아아, 조물주의 채찍이 중국의 등짝 위에 내리쳐지지 않는 한, 중국은 영원히 이런 식의 중국이지. 스스로는 결코 머리카락 한 올조차 바꾸려 하지 않을 걸세"
) 김시준 역(1989)「루쉰소설전집」,서울대학교출판부, P68
라고 말할 정도이다. 呂緯甫는 젊은 시절의 변혁에의 열정을 상실하고 깊은 상실감을 앓고 있다. 渭連 는 거의 자폐적인 상태로 스스로를 몰고 가며 부정적인 현실에 대한 반발로 위악적 방종을 행하다가 끝내 의로운 죽음을 맞이하고 만다. 涓生은 子君의 죽음앞에서 깊은 회한과 비애에 빠져 있다. 涓生과 子君은 자유결혼을 실천하였으나 기성사회의 압박과 생활고에 부딪혀 헤어지고 말았는데 그것이 결국 子君의 자살이라는 비극으로 귀결되었던 것이다. 그들의 냉소, 상실감, 자폐, 위악, 회한 ,비애는 모두 지난날 추구했던 이상이 현실에서 좌절된 데서 비롯되는. 그들 내면의 실존적 고뇌의 표현이다. 그들은 풍자의 대상이 아니라 쓰디쓴 연민과 우울한 공감의 대상으로 나타나 그들의 모습에 작가 자산의 실존이 간접적으로 투영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Ⅳ.결론
魯迅은 소설 창작에 관한 작가로서의 의도와 목적 등에 대해 이미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 첫 번째 소설집 << 喊>>의 서문을 통해 창작의도와 목적 등을 나타낸 바 있다. 그는 먼저 "우매하고 약한 국민은 체격이 아무리 건장하고 튼튼하다고 해도 아무런 의의도 없는 조리 돌림감이 되거나 구경꾼이 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들이 첫 번째로 해야 할 일은 그들의 정신을 뜯어 고치는 것이다. 정신을 뜯어 고치는데 가장 좋은 것은 당시에는 당연히 문예를 이용하는 것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문예운동을 제창하리라고 마음 먹었다"
) 김시준 역(1989)「루쉰소설전집」,서울대학교출판부, <序文>,P.5
고 하였는데, 이는 민족을 계몽시키고 민족정신을 개조하는 등, 민족개량을 위해 魯迅이 소설을 썼음을 말해주는 것이라 하겠다.
그러한 魯迅의 의지는 앞서서 살펴본바 그 두 대표 소설인 << 喊>>과 <<彷徨>에 실린 25편의 소설전체에 잘 나와있었다. 魯迅소설의 서술방식와 인물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을 때. 魯迅소설의 특징을 살펴 보면 첫째, 소설의 소재를 대부분 현실 생활에서 취하였으며 그 속에서 일빈 민중들의 인간성과 생활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소설의 주제를 봉건주의에 사로잡힌 지배계층들의 추악한 생활상을 폭로 비판하고 풍자하는 데 두었을 뿐만 아니라, 봉건적 모순으로 말미암아 피해를 받는 피지배계층의 무지몽매함을 계몽하고자 하였다. 셋째, 일정한 패턴의 사용과 생동하는 언어의 묘사, 그리고 이중적 시점을 사용하여 객관적 사실성을 강조하고, 그 내용을 직접적으로 심화시키는 등 상당히 세련된 문학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요컨대 魯迅소설은 현실적 소재, 사실적인 표현 , 생동감 넘치는 성격묘사, 리얼한 심리묘사, 신랄한 비판 ,풍자, 계몽 등 중국신문학의 선도적 역할을 담당한 소설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魯迅은 중국 현대소설의 開祖로서 근대적 리얼리즘의 확립과 그 전개과정에 있어 큰 역할을 담당하며, 당대 사회현실의 소설화에 크게 노력했던 작가였던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근대 중국의 변혁과정이라는 시공간적 제약과 중국인이라는 제한된 범위에서만 魯迅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넘어서 궁극적으로 인간의 문제, 현실과 인간의 갈등과 투쟁, 문학과 혁명의 올바른 접합점, 열린 사고체계의 형성과 견지 등과 문제로 그를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전형준(1997),「루쉰」,문학과 지성사
현대중국문학학회(1992)「노신의 문학과 사상」,백산서당
김시준 역(1989)「루쉰소설전집」,서울대학교출판부
김현성 옮김(1997)「중국의 노신연구」, 세종출판사
成賢子(1980)「魯迅小說硏究」,梨花語文論集 弟3集
朴宰範(1996)「魯迅小說의 敍述方式과 作家意識」,中國語文論叢 / [中國語文硏究會]
尹榮根(1984),「魯迅의 初期小說에 나타난 人物硏究」,檀國大學校
嚴英旭](1991)「魯迅의文學思想 硏究」中國人文科學/中國人文科學硏究會 編
朴忠淳(1991)「魯迅의 <눌喊>硏究(I)」季刊)中國 / 檀國大學校 中國硏究所 編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10.01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57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