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한국문화의 대표적인 자산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나의 한국문화의 대표적인 자산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평소에 한국문화 유산에 대한 나의 생각

2. 전통과 전통문화의 의미

3. 나의 한국문화의 대표적인 자산들

본문내용

여러 가지가 있으나 0.6×2.4m의 것이 주종을 이룬다.
주산지는 전라남도 장성군 일대이며,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곳은 한말 지소를 두었던 장성읍 상오 마을이다.
한지는 용도에 따라 그 질과 호칭이 다르다. 예를 들면, 문에 바르면 창호지, 족보·불경·고서의 영인에 쓰이면 복사지, 사군자나 화조를 치면 화선지, 연하장·청첩장 등으로 쓰이는 솜털이 일고 이끼가 박힌 것은 태지라고 한다.
12) 풍속화
한국의 경우, 4세기 중반 고구려의 초기 고분인 동수묘의 《행렬도》 《마구도》 《주방도》 등 고분벽화를 비롯하며, 고구려 중기 및 후기에 걸치는 쌍영총·무용총·각저총·개마총 등 많은 고분벽화에는 《부부도》 《태권도》 《무용도》 《씨름도》 등 묘주(墓主) 생전의 주요 사건이나 생활의 갖가지 모습들이 풍속화풍으로 묘사되어 있어 당시의 풍속을 아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그러나 백제와 신라 회화의 경우는, 아직껏 이렇다 할 만한 화적이나 기록이 나타난 바 없어 실상을 알기는 매우 어렵다. 통일신라시대 이후 고려시대에 접어들어서도 이와 같은 사정은 마찬가지여서 풍속화뿐만 아니라 회화 전반의 유례가 드물어 실태를 파악하기가 어렵다.
다만, 당시 풍속화의 편린이나마 오늘날 그것을 어렴풋이 추측할 수 있게 하는 자료로서, 고려에 사행하였던 송나라의 서긍이 집필한 《고려도경》(1124)의 기록이 있다. 즉 고려의 정교한 접첩선을 설명하는 대목에서, 그것은 금은가루를 바르고, 이 나라의 산림·인마·여인 등의 모습을 그렸다고 하였는데, 그것은 고려의 쥘부채에는 당대의 여러 풍속이나 풍물을 묘사한 그림들이 그려져 있었음을 짐작케 한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솔직·담백한 가운데에도 서민의 숨결이 살아 있는 현실감각에 뛰어난 본격적 풍속화가 크게 발전하였을 뿐만 아니라,이 시기는 한국 역대 회화의 전성기에 해당하는 시대이기도 하였다. 조선 후기의 화가 단원 김홍도와 같은 시대의 화가 혜원 신윤복·긍재 김득신 등은 한국 풍속화의 새로운 국면을 개척한 작가들이다.
13) 속담
이언·속언이라고도 한다. 서민생활 속에서 만들어진 것이 많으나, 고전이나 고사에서 나와 어느덧 세상에 유포된 것도 있다. 어조가 좋고 간결하며, 표현이 정확하다. 그래서 잘만 사용하면 큰 효과를 올릴 수 있다. 그러나 남용하면 싫증이 나고, 상투적인 말로 떨어질 위험이 있다.
속담은 그 기능에 따라서 비판적·교훈적·경험적·유희적 속담으로 나눌 수 있다. 비판적 속담은 ‘천재와 바보는 종이 한 장 차이’와 같이 상대편의 아픈 데를 찔러 기선을 제압하는 데 쓴다. 교훈적 속담은 격언이나 금언과 비슷한데, 중국의 고전이나 불교의 경전에서 온 ‘의식이 족해야 예절을 안다’가 그 예다. 경험적 속담은 오랜 경험 끝에 체득한 지식을 알기 쉬운 말로 정리한 것이 많은데, ‘등잔 밑이 어둡다’가 그 예에 속한다. 이 밖에도 ‘비온 뒤 땅 굳는다’ ‘오는 말이 고와야 가는 말이 곱다’ 등 수없이 많다.
속담은 일상생활의 윤활유와 같은 역할을 하지만, 격언에서 보는 것과 같은 깊이는 없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11.13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02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