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국어 3-1학기 기말 4-6단원 최종 모의고사 2회분(교사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실전모의고사1회

실전모의고사2회

정답

본문내용

검은 그림자를 던진 ⓑ의 의미를 묻고 있으며, 개인의 파괴와 몰락을 그렸다. 1960년대 후반, 김승옥의 ‘서울 1964년 겨울’,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는 새로운 감성과 시각으로 한국인의 삶을 그렸다. ⓑ이라는 소재를 오랫동안 다룬 작가들은 ⓑ이 한국인에게 가져다 준 상처, 한, 공포심, 죄의식 등을 깊이 있게 파헤쳐 내었을 뿐만 아니라 소설의 수준을 끌어올렸다.
다음 중 작품의 창작 시기가 나머지와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①

①현진건의 ‘무영탑’②황순원의 ‘카인의 후예’
③선우휘의 ‘불꽃’ ④이범선의 ‘오발탄’
⑤전광용의 ‘꺼삐딴 리’
①은 1930년대, ② ③ ④ ⑤는 1950~1960년대

한국 현대 소설의 흐름을 정리한 것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①1910년대:근대적인 새로운 사고를 담은 작품이 발표됨
②1920년대 : 일제 강점하에 우리 민족의 고통스런 삶을 다룬 작품이 창작됨
③1930년대 :다양한 시각과 기법을 사용한 작품이 등장함

④1940년대:전쟁의 처참함을 보고하는 내용의 작품이 나타남
⑤1960년대:전쟁이 초래한 고통을 형상화한 작품이 등장함
광복직후에는 38선이 그어진 현실에 대한 불안감과 단절감을 표현한 작품이 등장하였다.
1930년대에 등장한 소설 유형이 아닌 것은? ②

①역사 소설②전쟁 소설③농촌 소설
④가족사 소설 ⑤모더니즘 소설
1930년대는 모더니즘, 리얼리즘, 역사 소설, 가족사 소설, 농촌 소설이 등장하였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23~28)
(가) 저 산에도 ㉠까마귀, 들에 까마귀,
서산(西山)에는 해 진다고
지저귑니다.
앞강물, 뒷강물
흐르는 물은
어서 따라오라고 따라가자고
흘러도 연달아 흐릅디다려.
(나) 이것은 소리 없는 아우성.
저 푸른 해원(海原)을 향하여 흔드는
영원한 노스탤지어의 손수건.
순정은 물결같이 바람에 나부끼고
오로지 맑고 곧은 이념(理念)의 푯대 끝에
애수(哀愁)는 백로처럼 날개를 펴다.
아아 누구던가.
이렇게 슬프고도 애달픈 마음을
맨 처음 공중에 달 줄을 안 그는.
(다) 겨울은,
바다와 대륙 밖에서
그 매서운 ㉡눈보라 몰고 왔지만
이제 올
너그러운 봄은, 삼천리 마을마다
우리들 가슴 속에서
움트리라.
움터서,
강산을 덮은 그 미움의 ㉢쇠붙이들
눈 녹이듯 흐믈흐믈
녹여 버리겠지.
(라) 향료(香料)를 뿌린 듯 곱다란 ㉣노을 위에
전신주 하나하나 기울어지고
머언 고가선(高架線) 위에 밤이 켜진다.
(마) 새악시 볼에 떠오는 부끄럼같이
㉤시(詩)의 가슴에 살포시 젖는 물결같이
보드레한 에메랄드 얇게 흐르는
실비단 하늘을 바라보고 싶다.
(가)~(마) 중 민요조의 율격에 전통적 한을 접목한 시인의 작품은? ①

①(가)②(나)③(다)
④(라)⑤(마)
(가)는 3음보의 민요적의 율격이다
(가)~(마)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⑤
시문학파는 ‘시문학’이라는 잡지에 작품을 발표하면서 활동을 했다. 이들은 언어에 깊은 관심을 갖고 예술적인 언어, 다양한 표현 기법, 운율 등을 사용하여 개인적 정서를 형상화했다.
①(가)②(나)③(다)

④(라)⑤(마)
보기는 1930년대의 특징이다. 시문학파에는 ‘박용철, 김영랑’이 있다.
(가)를 지은 시인이 국문학사에 미친 의의로 바른 것은? ⑤
①시의 기능을 확대시켰다.
②무의식의 세계를 탐구하였다.
③시조 부흥 운동을 주창하였다.
④지식인으로서의 양심을 보여 주었다.

⑤현대시에 서정시의 전통을 확립시켰다.
‘김소월’은 민요적 율격에 우리 민족 고유의 서정을 잘 담아 내어 서정시의 기틀을 잡았다.
㉠~㉤ 중 함축적 의미가 가장 약한 것은? ④
①㉠②㉡③㉢

④㉣⑤㉤
⑤는 함축적 의미를 크게 갖지 않는다.
(나)에서 다음 시구가 가리키는 대상이 나머지와 다른 것은? ②

①순정②이념(理念)의 푯대
③소리없는 아우성④노스탤지어의 손수건
⑤슬프고도 애달픈 마음
① ③ ④ ⑤ → 깃발
(나)의 ⓐ와 ⓑ에 들어갈 단어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③

①가난 - 무력②무력 - 가난③가난 - 전쟁
④전쟁 - 가난⑤사람 - 노동
밑줄 친 말의 음운 현상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②
①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 구개음화

②개울가에 백로가 내려 앉았습니다. - 자음 동화
③아버지께서 부삽으로 화단의 흙을 팠습니다. - 자음 축약
④소년은 나뭇가지로 소녀의 모습을 모래 위에 그렸습니다. - 모음 탈락
⑤소녀는 흙장난을 하다가 소년을 보자 조약돌을 던졌습니다. - 자음 동화
③ 음운의 탈락 ④ 음운의 축약
다음 문장 중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은 것은? ⑤
①살붙이나 피붙이를 버릴 수 없다.
②석굴암에서 본 해돋이는 장관이었다.
③굳이 가겠다는 사람을 말리지 않았다.
④이제 벽에 벽지를 붙여야 할 차례이다.

⑤영채는 느티나무 밑에서 도시락을 먹었다.
① 피붙이 ② 해돋이 ③ 굳이 ④ 붙여야
다음 단어들에 나타난 음운의 변동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②
①와서 : ‘ㅗ’와 ‘ㅏ’가 축약되어 ‘ㅘ’가 되었다.

②그려 : ‘ㅡ’와 ‘ㅓ’가 축약되어 ‘ㅕ’가 되었다.
③놓다 : ‘ㅎ’과 ‘ㄷ’이 결합하여 ‘ㅌ’으로 발음된다.
④잡히다 : ‘ㅂ’과 ‘ㅎ’이 결합하여 ‘ㅍ’으로 발음된다.
⑤소나무 : ‘솔’의 ‘ㄹ’이 ‘나무’와 결합할 때 탈락하였다.
② 그려 → 그+리+어
다음은 글을 쓸 때 고려해야 할 점들이다. 독자의 지적 수준과 관련이 있는 것은? ①

①이 말의 뜻을 독자가 알고 있을까?
②독자가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을까?
③이 표현이 독자에게 신선한 느낌을 줄 수 있을까?
④이 표현이 독자에게 불쾌한 느낌을 주는 건 아닐까?
⑤어떤 내용을 넣어야 독자가 내 생각에 동의할 수 있을까?
북한어는 한자어를 순우리말로 바꾸어서 사용한다.
위 표를 통해 짐작할 수 있는 북한어의 특징은? ④
남한
북한
남한
북한
외래어
들어온말
진정제
가라앉힘약
치약
이닦이약
위통
가슴쓰리기
①소리나는 대로 표기한 어휘가 많다.
②대부분의 어휘가 남한어와 비슷하다.
③어휘의 종류가 남한어보다 많고 풍부하다.

④한자어를 순우리말로 풀어서 표기하였다.
⑤남한어와 같은 단어라도 의미상 차이가 나는 어휘가 많다.

키워드

운현궁,   현진건,   무영탑,   오발탄,   시장,   전장,   박경리,   전광용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28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