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보다 더 좋을 수 없다’를 보고 -주인공의 강박장애를 중심으로 한 분석 및 감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다’를 보고 -주인공의 강박장애를 중심으로 한 분석 및 감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영화 선정 이유

Ⅱ. 영화의 기본 정보 및 줄거리

Ⅲ. 작품 속 주인공의 강박장애에 대한 이해 및 기전 분석
1. 강박장애의 정의
2. 강박장애의 증상
3. 강박장애의 원인
4. 강박장애의 치료
5. 강박장애 판별법
6. 강박장애 c't와의 효과적인 상담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역할

Ⅳ. 장애에 대한 영화의 접근방법 비판 및 감상


<참고자료>

본문내용

불 껐으니까 그만 생각해'라거나 '이것봐, 준비물 다 챙겼잖아' 하면서 확인시키는 경우도 있다. c't 또한 불안한 생각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부모나 주변 사람들에게 확인을 청하면서 안심하려고 한다.
그러나 주변 사람들로부터 얻는 안심은 결코 오래가지 못한다. 그 순간에만 조금 평정을 되찾았다가 이내 걱정과 불안이 다시 시작된다. 그리고 주변 사람들로부터 안심을 얻는 것이 습관화되면 스스로 증상을 고쳐보려고 노력하기 전에 중독처럼 안심을 구했다가 의심하기를 반복하면서 증상이 점차 악화될 수 있다.
3) 노력을 지지하고 칭찬한다
c't가 강박적 행동을 참으려고 노력할 때는 아낌없이 칭찬해주어야 한다. 강박장애 c't는 자신의 행동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알기 때문에 강박적 사고를 하지 않으려고 애쓰고 행동을 참으려고 노력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해야 하는 인지행동치료를 할 때 부모와 가족들의 격려가 자신감을 회복시키고 치료의지를 높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얼마나 좋아지고 있는지 날마다 비교해서 칭찬하는 것은 위험하다. 강박장애 c't는 끊임없이 치료효과를 의심하고 기대한만큼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자신이 실패했다고 믿으며 좌절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저 노력하는 모습 자체, 행동을 참아낸 순간의 성과만을 칭찬해야 한다.
Ⅳ. 장애에 대한 영화의 접근방법 비판 및 감상
영화 속 주인공인 멜빈의 강박장애 신경증의 정의, 장애의 원인 및 증상, 판별법, 치료방법 그리고 필드에서 사회복지사들이 강박장애 c't를 만났을 때 먼저 알아야 할 효과적인 상담기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영화를 보면서도 줄곧 느낀 것이지만 창작활동을 하는 작가인 주인공 뿐만 아니라,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는 저마다 강박장애 판별법의 한 두 개 사항 정도는 해당되지 않을까 여겨진다. 왜냐하면 현대인은 사회 환경적인 스트레스, 즉 실업이나 범죄, 사고 등 예기치 못한 불행이 자신에게도 일어나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을 항상 안고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나의 경우만 하더라도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세 가지 사항 정도는 해당되는 것 같다. 수업을 받다가도 가스밸브를 잠궜던가, 베란다 문을 닫았던가, 현관열쇠를 가방 속에 넣었던가 등 시시때때로 머릿속을 스치는 생각들로 불안해 하며, 교수님의 목소리는 단순히 인서트 음향 효과인 경우가 더러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영화‘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의 멜빈이 보여준 강박 장애의 특징 등은 어찌보면 우스꽝스럽지만 주변 사람들과의 소통의 단절과 개인주의에서 이기주의로 나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강박장애의 원인이 뇌 신경 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의 결핍 때문이며,약물치료가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 중 하나로 인정되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강박장애를 완전히 치료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인지행동치료, 심리치료 등을 병행할때 보다 더 치료효과가 높다는 설명을, 영화
는 불안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나약한 현대인들에게 잭 니콜슨이라는 명배우의 탁월한 연기로 보여주고 있다.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사는 ‘사회’와 ‘지역 공동체’의 규칙이나 통념도 물론 중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이 이웃에 대한‘관심’과 ‘사랑’이라는 메시지는 강박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힘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따뜻한 사회를 이루는 원천이며 희망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자료>
-참고서적
장애인복지론 / 김용목 / 광주 /2004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 정신보건 전문용원 수련교재 / 양서원 / 2005
-인터넷 사이트
에듀모아 심리적성검사 http://simri.edumoa.com
씨네서울 http://www.cineseoul.com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11.21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40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