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불상조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불교예배상의 종류

2. 불상의 기원

3. 불상의 형식

4. 삼국시대의 불상

5.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6. 고려 ․ 조선시대의 불상

본문내용

추정
<예산 삽교 석조보살입상> 11세기 보물 508호 5.3m 예산 삽교면 => 8각의 관 착용, 돌 다듬은 수준이 조잡
<익산 고도리 석불입상> 14세기 보물 46호 4.24m 익산 금마면
5) 마애불 : 백제의 것이 빠르고, 통일 신라에 이르면 확산, 고려때는 거의 전국적으로 확대
<북한산 구기리 마애석가여래좌상> 10세기 보물 215호 5.94m 서울 구기동 => 통일 신라의 것 계승, 모자쓰고 있음
<법주사 마애여래의상> 11세기 보물 216호 5m 속리산 법주사 => 나발이 잘나타남, 고부조 방식, 특이한 수인, 의자상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 11세기 보물 657호 3m 서울 진관외동 => 필요한 라인말 돌출되게 조각, 얼굴 정밀 묘사
<파주 용미리 석불입상> 11세기 보물 93호 17.4m 파주 광탄면 => 거대한 벽은 몸통, 비슷한 돌을 얹어 얼굴로 함.
=> 은진미륵, 대조사 불상과 비슷한 계열로 보임
<안동 니천동 석불상> 11세기 보물 115호 12.38m 경북 안동 니천동
(2) 조선의 불상양식
- 유교가 국교였기 때문에 불교는 배척되었으나, 왕실 내부에 내불당이 조성되는 경우도 있어 명맥은 유지
- 세조 때 불교의 진흥 기운이 있어 불상의 수축과 조성이 이루어지기도 함
- 조선 초에는 고려의 불상 계승하나 임진왜란 이후 신체의 균형 깨지고 형식화
- 전기의 여세를 이어 많은 사원이 복구되나, 국가의 지원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불상은 목불, 소조불이 많음
- 화려한 보관장식과 온몸의 영락표현이 화려해짐
<대구파계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보물 992. 높이 108㎝.
=> 복장 유물이 나옴 1447년 파계사 중수된 기록이 나오는 것으로 볼 때 그 이전의 것으로 추정
=> 화려한 보관과 영락장식
<무위사 극락전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무위사 극락전에 봉안.
=> 지장보살(석장)-아미타불- 관세음보살 후불탱화와 시기적으로 유사한듯
<지림사 건칠 보살좌상> 조선 1501 보물 415호 91cm 월성 지림사 => 반가좌, 화려한 보관과 정교한 묘사
<실상사 서진암 석조나한좌상> 1516년 30cm 남원 실상사 => 정덕 11년이라는 명문으로 연도 추정
<실상사 약수암 목조 탱화> 조선 1782년 보물 421호 남원 실상사 약수암
=> 부처, 8대보살, 나한, 10대 제자 모두 표현한 목각탱으로 18세기가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이다.
※ 상원사 문수동자상 : 동자상이 전각을 차지한 이례적인 예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11.25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65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