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시유가의 천사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시유가의 천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序 論
1.中國哲學思想과 宗敎의 淵源
2.孔子의 儒家思想

Ⅱ. 原始儒家
1.原始儒家란 무엇인가?
2.原始儒家思想

Ⅲ. 原始儒家의 天思想
1.孔子의 天思想
2.子思의 天思想
3.孟子의 天思想
4.荀子의 天思想

Ⅳ. 結 論
原始儒家思想의 특성

본문내용

을 주장했다면 순자는 성악설을 주장했다. 사람의 마음은 처음부터 악하다고 한 순자의 주장은 맹자의 주장과는 대립되는 것이다. 맹자는 이러한 선한 심성은 하늘로부터 받은 것이라고 본다. 그렇다면 순자가 생각하는 하늘은 맹자와는 다르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심성을 보는 시각이 다르다면 그에 영향을 주는 것에 대한 인식도 다르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순자 때에 오면 하늘은 그저 단순히 신으로 보여지고 있지 않다. 즉 인간은 하늘과 동등한 위치에 있다고 보았다.
훌륭하고 값어치 있는 모든 것은 인간의 노력의 소산이라는 것이 그의 일반적인 명제이다. 가치는 문화로부터 유래하고 문화는 인간의 업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우주에 있어서 동일한 중요성을 갖는다. 이러한 것은 순자가 말한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천은 시를 가지고, 지는 재를 가지는데, 인간은 문화를 가진다. 이것이 사람은 (천지와 더불어) 삼위를 형성할 수 있다고(말할 때) 의미하는 것이다. 순자, 제17 천론(天論)편2 : 天有其時, 地有其財, 人有其治, 夫是之謂能參
맹자는 마음을 궁극에 발전시키면 본성을 알게 되고 본성을 알게 되면 천을 알게 된다. 맹자 제13권 盡心上 1 :盡其心者, 知其性也, 知其性, 則知天也.
고 했는데, 순자는 천을 알려고 하지 않는 것은 성인뿐이다. 순자, 제17 천론편2 : 唯聖人爲不求知天
라고 했다. 즉 순자는 우주의 삼재는 천지인이고 이들은 각자의 직분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천과 지에 대해 알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제공하는 것으로 인간의 무엇인가를 만들어야 한다. 그것이 바로 문화인 것이다.
순자는 또한 정명론에 대한 주장도 했다. 그는 공맹 처럼 윤리적인 것만을 강조하는 정명론을 말하지 않았다. 그는 명가가 유행 한 시대에 살았다. 그래서 그가 주장하는 정명론은 윤리적이면서도 논리적이다. 마땅히 군주로서 신하로서 해야 하는 도리가 있지만 그러한 것을 논리적인 상황에서 함께 설명하고 있다.
Ⅳ. 結 論
원시유가사상의 특성
원시유가사상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인본주의 정신을 기본으로 한다. 유가는 전통적으로 인간의 본성을 좋은 것(善)으로 보고 이것을 계발(啓發)하는 이론을 정립해 왔다.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한 순자(荀子)도 선인(善人)이 목표였고 그것을 이룩할 수 있는 인위(人爲)의 능력을 인정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인본주의로 나아갔다. 인간에 대한 근원적 신뢰와 인간중심적 사상은 유가의 본질이다. 둘째,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일원적 사유를 기본으로 한다. 천인합일은 우주와 인간의 원리를 일관된 것으로 보는 것, 즉 이 둘을 유기적 전체로서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잘못 이해하면 인간중심적 가치원리를 존재의 세계로까지 확장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으나, 유가의 기본입장은 우주에서의 인간의 위치와 역할을 생각하는 것이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여기에서 유가는 나와 다른 사람, 인간과 만물, 인간과 우주를 언제나 조화적 발전단계로 보는 존재이해의 기본방식을 형성하였다.
셋째, 모든 문화현상을 실천적으로 다루는 실천철학의 성격을 띤다. 유가사상은 문화철학 정치철학으로 여겨질 만큼 서양철학과는 달리 문화의 여러 문제에 대하여 실천적 관심을 보여왔다. 이것은 문화가 인간의 산물이며 유가는 인간의 여러 문제에 관심을 갖고 관계중심으로 생각하는 특성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유가는 전통의 계승과 새로운 창조를 조화 있게 이룩해 간 철학이다. 공자가 일찍이 온고지신(溫故知新)을 말한 것으로도 알 수 있듯이 그들은 역사나 문화의 전개가 극복적(克復的) 혁명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고 보지 않고, 언제나 인습과 창조의 조화 속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았다. 이것은 인간이 추구하는 바는 유행이 아니라 진리의 세계요, 그 실천에 있으며, 이 진리의 체득과 실천은 물리적 시간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는 기본입장의 반영이기도 하다. 즉 과거의 진리를 천명하고 실천한 철인(哲人)과 시대가 있었다면 그것은 언제나 계승되어야 한다는 진리에 대한 사랑을 뜻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참고 문헌》
『儒敎의 天思想』 金能根 著 숭실대학교 출판부
『中國의 儒家와 道家』任繼愈 主編/權德周 譯 동아출판사
『原始儒敎』 金勝蕙 민음사
『原始儒家道家哲學』 方東美 지음/南相鎬 옮김 서광사
『東洋思想의 理解』 장승구외 경인문화사
『孟子의 哲學』 채인후 지음/천병돈 옮김 예문서원
『中國哲學史』馮友蘭 지음/ 박성규 옮김 까치글방
『두산세계대백과』

키워드

원시유가,   유가,   ,   천사상,   유교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12.05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05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