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방언에 관해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들어가며...

Ⅰ. 탯말이란 무엇인가

Ⅱ. 탯말의 탄생

Ⅲ. 탯말의 고향 전라도

Ⅳ. 문학 작품 속의 우리 탯말

나가며...

본문내용

무엇인가. 이는 대개 각국의 수도에서 쓰는 말을 기초해서 만든 것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 말’을 표준어로 정한 바 있다. 이 표준어라는 것은 전 국민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만든 공용어에 불과한 것이다.
물론 어느 나라에서나 공용어는 필요한 것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탯말 자체를 말살해서는 안 된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땅덩이도 좁고 탯말의 종류도 적어 다른 지방의 웬만한 탯말은 서로가 금방 알아듣는 나라에서는 더욱 그렇다.
우리에게는 한때 위정자들에 의해 유난히도 지방색이 강조되면서 특정 지방의 탯말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불이익을 받고, 그래서 탯말 사용을 기피하는 사람이 많았던 불행한 시기가 있었다.
그러나 이제는 시대가 변했고 세상도 바뀌었다. 인터넷을 비롯한 미디어의 발달로 지방과 지방간에 원활한 정보 전달과 소통이 이뤄지고 지역감정이라는 케케묵은 유물에 관심이 없는 젊은 세대들이 여론을 주도하는 영향력 있는 세력으로 등장하면서 기성세대들이 만들었던 벽을 허물었기 때문이다.
이제는 전라도 사람이 경상도나 강원도에 가서 탯말을 써도 누구나 스스럼없이 대해주고 마찬가지로 경상도 사람이 전라도에 가서 탯말을 써도 극히 자연스러운 세상이 됐다. 탯말 사용을 억제하고 표준어 사용을 장려해 왔던 그 동안의 국가 정책에는 부응할지 모르지만 이로 인해 지방 고유의 탯말이 점차 사라지고 있음은 문화적 차원에서 볼 때 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 참고문헌
『전라도 우리 탯말』, 한새함, 소금나무, 2006
『전라도 방언과 문화 이야기』이태영, 신아출판사, 2000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12.15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29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