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드][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성격발달단계][프로이드 이론][꿈의해석][심리성적발달단계][프로이트][정신분석]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성격발달단계 심층 분석 및 프로이드 이론의 문제점과 공헌점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프로이드][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성격발달단계][프로이드 이론][꿈의해석][심리성적발달단계][프로이트][정신분석]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성격발달단계 심층 분석 및 프로이드 이론의 문제점과 공헌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프로이드의 생애

Ⅲ. 정신분석의 역사
1. 히스테리아에 관한 연구(Studies on Hysteria, 1895)
2. 꿈의 해석(The Interpretation of Dreams, 1900)
3. 자기애에 관하여(On Narcissism, 1914)
4. 초심리학적 논고(Papers on Metapsychology, 1915)
5. 이원본능설(Dual Instinct Theory, 1920)
6. 구조적 이론(Structural Theory, 1923)

Ⅳ. 정신분석이론과 성격발달단계의 주요 개념
1. 인간관
2. 의식 수준과 성격의 구조
1) 의식, 전의식, 무의식
2) 성격 구조
3. 성격의 역동성
1) 정신적 에너지원으로써의 본능
2) 불안
4. 방어 기제
1) 억압
2) 반동 형성
3) 투사
4) 합리화
5) 치환(전위)
6) 승화
7) 고착과 퇴행
5. 성격의 발달 단계
1) 구강기(oral stage, 생후 1년)
2) 항문기(anal stage, 2˜3세)
3) 남근기(phallic stage, 4˜5세)
4) 잠복기(latency period, 6, 7˜12, 13세)
5) 생식기(genital stage, 12, 13세 전후)

Ⅴ. 정신분석적 치료기법과 절차
1. 분석적 틀의 유지
2. 자유연상
3. 해석
4. 꿈의 분석
5. 저항의 분석과 해석
6. 전이의 분석과 해석

Ⅵ. 정신분석과 노이로제
1. 정신분석과 정신의학
2. 증상의 의미
3. 외상에의 고착
4. 저항과 억압
5. 인간의 성생활
6. 리비도의 발달과 성의 체제
7. 발달과 퇴행의 과정
8. 증상 형성의 경로
9. 일반적인 신경증
10. 불안
11. 리비도설과 나르시시즘
12. 감정의 이성

Ⅶ. 프로이드 이론의 문제점

Ⅷ. 프로이드 이론의 공헌 점

Ⅸ. 결론

본문내용

생한다는 것으로는 설명이 되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이와 같은 감정이 다른 장소에서 만들어진 것이며, 즉 환자의 마음에 미리 준비되어 있어서 분석요법의 기회에 의사라는 인간에게 옮겨진 것이라고 추측하는 것이다. 전이는 어떤 때는 격렬한 사랑의 요구로 나타나고, 어떤 때는 온화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전이가 치료의 초기 단계에는 한동안 가장 강력한 원동력이 된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전이가 의사와 환자가 합심하여 하고 있는 분석에 편리하게 작용하는 이상 그것을 깨닫지 못하고, 또 개의할 것도 없다. 그 다음에 전이가 저항으로 변한다면, 그때야말로 이에 주목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다음의 두 가지 정 반대의 상황 아래서는 치료에 대한 전이의 관계가 변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첫째는 전이가 강한 애정의 경향을 띠었을 뿐 아니라, 그것이 성욕에서 나오고 있다는 표시를 뚜렷이 나타냈기 때문에 내부적인 반대를 일깨워야만 될 때이다. 둘째는, 전이가 사랑의 충동이 아니라 적의의 충동에서 나오고 있을 때이다. 이때 적의와 애정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은 감정의 양가성의 좋은 실례인데, 이것으로 인해 남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적의의 감정은 애정과 마찬가지로 감정의 결합을 의미한다. 이것은 마치 반항이 비록 정반대의 표현을 갖고 있더라도, 복종처럼 의존을 뜻하는 것과 같은 경우이다. 전이는 히스테리, 불안 히스테리, 강박 노이로제의 치료에 있어서 중심적이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병을 종합해서 \'전이 노이로제\'라고 일컫는 것이다. 남에게 리비도적 대상 충당을 하는 능력은 정상적인 인간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이른바 노이로제 환자의 전이 경향은 이 일반적인 특징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진 것에 불과하다. 그것은 실제로 옛날부터 깨닫고 이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베른하임은 그 무엇에도 현혹되지 않는 날카로운 통찰력으로 최면 현상의 학설, 다시 말해 모든 인간은 어떤 방법으로든 암시에 걸리기 쉽다는 즉 \'피암시성(被暗示性)이 있다\'라는 명제를 내세
웠다. 전이경향이 바로 베른하임이 말하는 피암시성이다. 그러나 전이라고 해도 그 뜻이 매우 좁기 때문에 음성전이는 이 피암시성 속에 들어 있지 않다. 그에게 있어서는 암시는 하나의 근본적인 사실일 뿐 그 유럼뎬. 정신분석에서 얻은 지식의 관점에서 우리는 최면술의 암시와 정신분석의 차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최면 요법은 정신생활 속에 있는 것을 숨기거나 장식하려 하지만, 분석요법은 이것을 들추어내어 제거하려고 한다. 전자는 미용술과 같은 일을 하고, 후자는 외과 수술과 같은 일을 한다. 최면 요법은 증상을 금지하기 위해서 암시를 사용하고, 억압을 강화하며, 증상 형성을 가져온 모든 과정을 그대로 둔다. 그런데 분석 요법은 병의 근원을 더 깊게 하며 증상을 일으킨 갈등을 공격한다. 그리고 이 갈등의 결과를 바꾸기 위해서 암시를 이용한다. 노이로제 환자에게는 향락의 능력도, 일을 하는 능력도 없다. 향락하는 능력이 없는 것은 그 사람의 리비도가 현실의 대상을 향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고, 일할 능력이 없는 것은 리비도를 계속 억압하여 그것이 솟아오르는 것을 막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기 때문이다. 만일 환자의 자아와 리비도 사이의 갈등이 끝나고, 그의 자아가 다시 리비도를 뜻대로 할 수 있게 되면 그는 건강을 되찾을 것이다. 그러므로 치료의 사명은 자아에서 멀어져 있는 현재의 속박에서 리비도를 해방하여, 그것을 다시 자아에 종속시키는 데 있다. 노이로제 환자의 꿈은 본질적으로는 정상인의 꿈과 같다. 그러므로 우리는 노이로제와 건강의 차이가 낮에만 해당되며, 꿈에는 해당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노이로제 환자의 꿈과 증상 사이에는 관련이 있기 때문에 그들이 분명히 밝혀 낸 많은 가설을 우리는 건강인에게도 적용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 우리는 건강인도 꿈이나, 꿈과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소지를 정신생활 속에 갖고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또 우리는 건강인도 억압을 하고, 그것을 지속시키기 위해서 어느 정도 에너지를 소비해야 하며, 그 무의식 체계에는 에너지를 보충받은 억압된 충당된 충동을 감추고 있으며, 그리고 그의 리비도의 일부는 그 사람의 자아의 뜻대로 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건강인도 잠재적인 노이로제 환자이다. 정신분석의 해로운 결과는, 대체적으로 분석을 잘 하지 못했거나 분석을 도중에서 중단했을 때 나타나는 갈등이 증대하여 생긴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우리의 노력이 과연 영구적인 장해를 가져다 주는 것인지 아닌지는 스스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물론 장신 분석의 남용은 여러 방면에서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전이는, 비양심적인 의사의 손으로 이루어착이라고 비난하는 사람은 하나도 없다. 어진다면 위험하기 짝이 없는 일이다. 하지만 어떤 치료법도 이 남용을 막을 수는 없다.
Ⅶ. 프로이드 이론의 문제점
인간의 욕망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성욕과 과거 경험에 지배되는 소극적, 수동적 존재로 인간을 봄)
에디푸스 컴플렉스나 여성에 대한 편견은 그 보편성이 없다.
과학적 정확성이 결여되어 있다.
개념이 모호하고,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힘들며, 예언을 잘 내리지 못한다.
주위 사람들의 격려, 인정, 처벌이 양심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무시하였다.
Ⅷ. 프로이드 이론의 공헌 점
행동의 무의식적 결정요인을 강조함으로써 성격 연구의 새로운 측면을 보여 주었다.
초기 경험을 중요시하였다.(유아교육에 많은 시사)
성욕이 갈등의 주요 원천일 가능성을 밝혀 과학적 연구의 대상을 만들었다.
Ⅸ. 결론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에서 개인적인 행복, 혹은 정신적인 건강은 정신의 여러 가지 부분들간의 조화, 그리고 개인과 그가 살 수 밖에 없는 현실세계간에 조화의 관계에 좌우된다고 말한다. 신경질환의 원인에서 결정적인 중요성을 갖는 한 특별한 정신적 기제가 있는데 이것을 프로이드는 억압이라고 불렀다. 그는 우리의 문명이 요구하는 규범들은 대다수의 사람들에 생활을 너무나 삭막하게 만들고 있으며 우리는 우리의 본능적 충동을 얼마만큼은 만족시켜주어야 한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 가격9,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7.01.17
  • 저작시기2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90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