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학급규모축소에 대한 검토와 제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1. 조사의 목적 및 조사 문제
2. 조사 방법
3. 용어의 정의

Ⅱ. 한국의 학급규모축소사업의 성과와 문제점
1. 한국 교육 성장에 대한 분석 - 성과와 과제
2. 학급규모가 학생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Ⅲ. 이전의 ‘학급규모와 수업효율성의 관계’ 연구 분석
1. 학급규모 연구에 대한 분류와 분석
2. 미국의 대표 학급인원감축 프로젝트와 효과 분석

Ⅳ. 요약 및 제언
1. 요약
2. 제언

본문내용

Size Reduction; CSR) 평가연구
California 주에서는 학급규모 감축을 위하여 대규모의 프로그램(CSR)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 사업의 계속적인 평가를 위해 몇 개의 대형 연구기관을 묶어 연구콘소시엄(CSR Research Consortium)을 구성하고, 매년 정기적인 평가보고서를 내도록 하고 있다. 1999년에 초기 2년간의 결과를 평가한 1차 보고서를, 2000년에는 1998-99학년도의 시행결과를 평가하는 2차 보고서를, 그리고 2002년 2월에는 1999-00과 2000-01학년도의 결과를 분석한 3차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이 연구보고서들은 CSR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결과만이 아니라 부정적인 측면이나 예상하지 못했던 결과들도 제시해주고 있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CSR 평가연구의 중요한 연구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Stecher & Bohrnstedt, 2002).
CSR 프로그램에의 참여와 학생들의 학업성취와의 사이에 큰 관련성을 발견하지 못했다. 그것은 연구자들이 확보할 수 있는 사업 시행 전의 사전 자료가 충분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학급규모 감축 사업이 급격히 시행되면서 주로 대도시의 저소득층과 소수 민족 학생들이 많이 다니는 대규모 학교는 사업 시행 속도가 상대적으로 늦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것은 교사와 시설의 확보가 갑자기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사업 시작 3년 동안에 유치원에서 3학년까지의 교사 신규 채용이 46%나 증가하였다. 이 결과 저학년에서 자격을 갖추지 못한 교사의 비율이 CSR 이전의 1.8%에서 제2차 년도에는 12.5%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신임교사들의 충원이 늘어나면서 경험있는 교사들이 좋은 환경의 학교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저소득층이나 소수 민족 학생들이 오히려 경험이 부족한 교사들의 지도를 받게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소규모 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은 학생들의 적응력 향상이나 개인적인 배려의 증가를 말하면서도, 교수방법의 변화나 교육과정의 빠른 구현에 대해서는 별로 언급하지 않는다.
Ⅳ. 결론 및 제언
학급 규모를 축소하는 것이 반드시 학습 효율성에 기여하지는 않는다는 캐나다의 한 연구기관이 보고한 연구 결과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무조건 작은 규모의 학급이 능사라는 일반적인 관념에 대한 반박을 하고자 이전부터 학교 설비 투자의 비효용성을 들어 논증하던 E. A. Hanushek를 포함한 선행 연구들을 조사-정리하여 현재 학급당 학생수 감축에 열을 올리고 있는 한국의 교육 재정 투자를 진단하고, 올바른 방향의 정책으로 나아가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들을 생각해 보았다.
아직 한국의 경우 15~20명 이하의 서구식 소규모 학급이 도입되기까지는 어느 정도 여유가 있지만 앞선 연구들에서 살펴봤듯이 철저한 준비 없는 학급 규모 축소 정책으로는 교수와 학습의 효율성 제고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마지막 California주의 CSR에 대한 평가연구는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경우에도 대규모로 재차 학급규모 축소에 대한 정책이 시행될 경우, 준비 부족으로 인하여 교사와 시설을 갑자기 확보하지 못한 채 저소득층이나 중소도시의 학급에 대한 지원이 늦어질 수 있으며, 교사방법을 변화하거나 교육과정을 빠르게 구현하려는 교사 자신들의 노력이 없는 이상 교원들의 급작스러운 확충은 역시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 조사의 목적은 ‘학급 규모의 축소’가 교육문제 해결의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라는 무조건적인 통념에 경종을 일깨우고자 한 것이었으나, 일정 규모 이하의 학급에서 일정 시간 이상의 학습이 이루어진다면, 충분한 준비로 교사와 시설을 충분히 확보하고 능력 있는 교원 양성 시스템을 갖출 때 ‘교육 산출물’이라는 관점에서도 의미 있는 소득을 얻을 수 있음을 알고 정책에 반영되기를 바라며 제언을 마친다.
Ⅴ. 참고문헌
강성국(2005) 「한국교육 60년 성장에 대한 교육지표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권기욱(1991), 「학급규모가 교사, 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학급 적정규모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권영성(2001), 「대학의 학급규모가 학생의 수업평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백일우(2000), 『교육경제학』(서울: 학지사)
허숙, 강호감(2003), <학급규모 감축의 효과>, 『교육논총』Vol.21, pp.69-101
Susan L. Averett & Michele C. McLennan,(2004) Exploring the effiect of class size on student achievement: what have we learned over the past two decades? International Handbook on the Economics of Education. (pp.329-367). Edward Elgar Publishing Ltd.
Hanushek, E. A.(1972) : Education on Race: An Analysis of the Educational Production Process. Lexingtion, MA: Lexington Press.
Hanushek, E. A.(1981) : Throwing Money at Schools.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1(1), 19-41.
Hanushek, E. A.(1987) : Educational Production Functions. In Psacharopoulos, G. (Eds.), Economics of Education: Research and Studies (pp.33-42). NY: Pergamon Press.
Hanushek, E. A. (1995) : Education Production Function. In Carnoy, M. (Ed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conomics of Education. (pp.277-282).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2.07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29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