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미쯔비시조선의 능력주의 인사제도 형성과정의 정책적 시사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글

Ⅱ. 미쯔비시조선(三菱造船) 노사관계의 변천
1. 2차대전후 1950년대의 노사관계
2. 경영혁신과 노사관계전략의 수정
① 장소(場所)중심 경영의 개혁
② 저조업대책
③ 이익확보대책
3. 제 2조합의 결성과 노사관계의 재편
① 3사합병과 조합분열의 과정
② 노사관계 재편의 요인들

Ⅲ. 신종업원제도의 도입
1. 신종업원제도의 성립과정
2. 직능급적 임금체계의 내용

Ⅳ. 직능급체계의 변화 : 노동조합의 임금정책
1. 제1차 장기임금정책과 직능급체계의 수정
2. 제2차 임금정책의 파탄과 '고용확보'.'정승의 완전실시 '
3. 노동조합의 제4차 임금정책

Ⅴ. 논의 및 결론: 관료적 통제와 노동조합운동

<참고자료>

본문내용

실에서 생겨난 것임에도 능력주의적 인사제도에 기초한 일본 노사관계의 특성을 잘 드러낸다. 이호창(1996)은 직능자격제도가 노동자의 헌신을 '강제'하는 측면을 갖지만, 한편으로는 직능자격제도가 근대 일본 노동자의 개인주의적 계층상승지향이라는 가치관 및 행동양식에 부합하는 측면이 있다고 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해석에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왜냐하면 위의 사례에서도 나타났듯이 2차대전 이후 1950년대의 노동조합의 이념이나 노사관계 관행을 그러한 문화주의적 해석으로는 설명하기 곤란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능력주의적 인사제도를 노동조합의 패배에 따라서 노동자들에게 일방적으로 강제된 것으로 해석하기는 더욱 어렵다. 왜냐하면 제2조합의 결성 이후 노동자들은 이러한 인사제도를 수정, 교정해가며 수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직능자격제도에 대해서 '강제'/'동의'의 이분법적 틀로 접근하는 것은 별로 생산적이지 못하다. 예컨대 Edwards가 말 하는 적극적 인센티브에 따라서 노동자들이 능력주의적 인사노무관리의 틀에 포섭되는 것을 '강제'로 볼 것인가, '동의'로 볼 것인가? 일본의 노동조합운동은 그러한 틀 자체에 대해서 반대하는 입장(소수파 좌파 노동조합)과 이를 받아들이는 입장(다수파 우파 노동조합)으로 분열되어 있었고, 이러한 틀이 일단 제도화되면 대부분의 노동자들은 이러한 틀의 규칙을 좋든 싫든 수용하지 않을 수 없는 구조인 것이다. 특히, 일본적 생산방식의 주요 내용으로 이야기되는 QC, 개선활동 등을 내용으로 하는 소집단활동은 인사고과를 매개로 한 직능자격제도의 운용과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일본적 생산방식에 대해서 노동자들이 어느 정도나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는가를 따지는 것 자체가 무의미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기업들이 능력주의적 인사제도를 도입하는 경우 대부분 노동조합운동을 약화시키려는 시도와 결합되어 있다. 이는 능력주의적 인사제도가 Bureaucratic Control의 주요 수단으로 채택될 때 노동자들의 계급적/집단적 문화를 해체시 키고, 이들을 개인주의화며, 기업조직이 선호하는 태도나 가치를 이끌어내기 위해서 의식적 으로 채택됨을 뜻한다. 또 이러한 능력주의적 인사제도의 도입은 노동조합 조직에 대한 체 계적 공격수단과 함께 결합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직능급적인 임금체계가 도입되는 경우에도 그것이 직무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정하는 제도와 결합되어 추진되기 보다는 흔히 노동조합 운동에 대한 공세의 일환으로 추진되기 때문에 '인사고과의 공정성'에 대한 노동 자들의 광범위한 불신을 낳게 된다. 하지만, 인사공정성에 대한 불신으로 능력주의적 인사제도에 대해서 노동자들이 저항하는 측면과 함께, 이러한 능력주 의적 인사노무 관리에 대해서 노동자들이 포섭되어 나가는 측면이 또한 강하게 발견된다.
능력주의적 인사제도가 이른바 노동조합과의 파트너쉽 하에서 추진되는 경우 보다는 노동조합에 대한 공세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면 그것은 능력주의의 논리적 기초인 인사제도의 공정성이 근저에서부터 왜곡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바로 이 지점이 노동조합운동의 고민이 집약되어야 할 지점임을 시사한다.
<참고자료>
강신준(1995-2),「일본적 노자관계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실천적 함의 - 개량적 국면에서의 노동운동의 실천적 과제(2)」, 한국사회과학연구소, 『동향과전망』 1995년 가을호.
강신준(1995-1),「맑스혁명주의의 실천적 유산 - 개량적 국면에서의 노동운동의 실천적 과제(1)」, 한국사회경제학회, 『사회경제평론』제9집.
김영진(1996), 「인사관리체계공정성에 대한 노동자의 인식과 태도」, 『산업노동연구』제2권 제2호.
노동조합과 임금체계연구회(1993), 『임금체계의 새로운 논의』, 나라 사랑.
한국노동연구원(1995), 『주요국의 임금제도』, 한국노동연구원.
박준성(1995-1), 『인재육성형 신인사제도 -- 삼성·LG그룹의 혁신사 례』, 한국생산성본부부설 비·북스.
박준성(1995-2), 『일본적 인사·노무관리의 비밀』, 비·북스.
박준식(1996), 『생산의 정치와 작업장민주주의』, 한울.
서울노동정책연구소(준비모임)(1995), 『일본적 생산방식과 작업장체 제』, 새길.
안희탁(1993), 「일본기업의 최근 임금체계동향」,『임금연구』1993년 창간호.
양병무·안희탁(1993-1), 『직능급의 이론과 실무 -- 능력주의 임금 관리의 모색』, 한국경영자총협회부설 노동경제연구원.
양병무·안희탁(1993-2), 『직무급의 이론과 실무 -- 연공급에서 직 무급으로의 전환』, 한국경영자총협회 부설 노동경제연구원.
영남노동연구소(1995), 『생활안정과 창의적 참여노동을 위한 인사· 임금제도 개편안 -- 대우조선의 노사관계 환경과 인사·임금제도』.
이영희(1994), 『포드주의와 포스트포드주의』, 한울.
이창휘(1996),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박사학위논문 초고.
이호창(1996), 「일본적 생산·노동방식의 특징과 형성요인에 대한 연 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학위논문.
橋元秀一(1992), 「능력주의와 임금체계 - 조선중기계산업의 사례연 구」, 栗田健 編 , 『현대일본의 노사관계』, (財)勞動科學硏究所出版部.
全日本造船機械勞動組合 三菱重工支部長崎造船分會(1988), 三菱長崎造船勞動組合四十年史
上田修(?), 「산업재편과 경영정책 -M 조선 : 1961-1963년」, 大原社會問題硏究所雜誌 314號.
相田利雄(1995), 「일본 조선업의 고용감축문제」, 인하대학교 산업경 제연구소 연구논문집 제9집 제2호(1995.10).
全國造船重機械勞動組合聯合會 活動報告書, 政策資料集.
全日本造船機械勞動組合 活動報告書, 政策資料 등.
Beaumont P. B.(1993), "Trade Unions and HRM", Industrial Relations Journal .
Parker, Mike and Jane Slaughter(1988), Choosing Sides : Unions and the Team Concept , A Labor Notes Book.(국역본, 『팀신화와 노동의 선 택』, 강.)
  • 가격2,9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3.03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74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