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기론]데카르트적 기계론과 18세기의 생기론 및 생의철학적 논의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머리말 - 생의철학적 논의
1. 서양의 전통 생명관
2. 동양의 전통적 생명관

I. 데카르트적 기계론과 18세기의 생기론

II. 쉬탈의 애니미즘과 몽뻴리에 학파의 생기론

III. 비샤의 생기론적 생명관

맺음말 - 생기론의 의의(意義)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를 의미하며 이 때는 보통 '精靈信仰'이라 번역한다.
14. 쉬탈의 본문은 불역본 Oeuvres medico-philosophiques et pratiques(全6권, T.Blondin譯, Bailliere, 1859-1864)에서 삐쇼(Pichot)가 발췌한 텍스트(n° 74-145)를 참고하였다(Histoire de la notion de vie, p.453-502).
15. Andre Pichot, Histoire de la notion de vie, p.455-461.
16. 의사 쉬탈은 화학자로서도 과학사에 足跡을 남겨 그의 화학 이론은 18세기를 風靡하였다. 특히 그의 연소설(燃素說, la theorie du phlogistique)은 라브와지에(Lavoisier)가 등장하기까지 연소(燃燒, la combustion)를 설명하는 유력한 이론이었다. 또한 그의 '混成(mixte)' 개념은 단순한 '혼합(melange)'과는 구별되는 화학적 '化合(combinaison)'의 개념의 근원이 된다. 화합은 화합물질의 성질을 '변화(modification)'시키지만 혼합 속에서의 혼합물질들은 단지 '병치(juxtaposition)'될 뿐임은 이미 상식이 되었다.
17. Andre Pichot, Histoire de la notion de vie, p.461-469.
18. Barthez, Paul-Joseph, Nouveaux elements de la science de l'homme, 2e ed., Paris, Goujon et Brunot, 1806. 이들 운동원리들 중에서 가장 단순한 것은 '충격(l'impulsion)'으로서 두 물체의 충돌시 운동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그 다음으로 복잡한 원리는 뉴우튼의 '인력(l'attraction)'으로서 이는 떨어진 거리에서도 작용하여 천체의 운행뿐만 아니라 물체의 낙하를 설명한다. 그리고 물체 사이의 다양한 반응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화학적 친화력'을 상상할 수 있으며, 끝으로 가장 복잡한 운동원리는 바로 '생명원리'로서 이는 물체 안에서 생명의 기능에 필요한 운동을 무한히 보장해주고 있다는 것이다. 바르떼즈는 여기서 각 원리는 보다 단순한 원리로 환원될 수 없다고 단언하고 있다.
19. Bordeu, Oeuvres completes, ed. Richerand, Paris, Caille et Ravier, 1818.
0. 보르되가 대화자로 등장하는 디드로의 『달랑베르의 꿈(Le reve de D'Alembert)』에도 이 비유가 등장한다(Diderot, Oeuvres philosophiques, p.291, 각주1 참조).
21. Bordeu, Oeuvres completes, op.cit., t.I, p.187.
22. Xavier Bichat, Recherches physiologiques sur la vie et la mort, Paris, Flammarion, 1994, p.57-58. 비샤의 텍스트는 삐쇼(Pichot)가 편집한 이 문고본을 이용하였으며 편집자의 소개와 주석이 큰 도움이 되었다.
23. Andre Pichot, Histoire de la notion de vie, p.526.
24. Bichat, op.cit., p.119-120.
25. Bichat, op.cit., p.59-61.
26. Andre Pichot, Histoire de la notion de vie, p.532.
27. Bichat, op.cit., p.62-65. 동물적 생의 두 계기인 감수성과 운동성은 서로 균형을 잘 유지하고 있지만 기관적 생에서는 사정이 달라서 성장하는 동안에는 합성이 분해를 능가하고 쇠약해지는 경우에는 그 반대의 현상이 일어난다. 동물적 생의 '균형'과 기관적 생의 '불균형'은 그 각각의 기관에도 해당된다. 동물적 생은 왼쪽과 오른쪽의 생으로 균형을 이루어서 좌우 대칭인 뇌, 눈, 귀, 팔, 다리 등의 기관을 갖고 전체적으로 조화롭게 기능을 발휘하지만 기관적 생은 하나씩만의 위, 간, 심장과 비대칭적인 폐를 갖고 있고 혹시 신장처럼 두 개가 있을 경우도 두 신장의 기능이 꼭 조화를 이루지 않아도 별 문제가 없다. 이외에도 동물적 생과 기관적 생을 구별하는 여러 가지 기준들이 있다. 기관적 생은 연속적인 반면 동물적 생은 수면 때문에 불연속적이다. 또 양분섭취나 배설, 호흡 등의 기관적 생의 기능들은 서로 의존적이지만 동물적 생의 기능은 독립적이다. 그래서 맹인은 듣고 반신불수자는 보고 귀머거리는 걸을 수 있는 것이다. 외부 환경과 관련되어 있는 동물적 생은 습관의 영향으로 변화되나 자신의 고유한 법칙에만 따르는 기관적 생에는 습관이 별 효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기관적 생은 수태의 순간부터 완벽한 기능을 발휘하지만 동물적 생은 태어나면서부터 시작되며 학습을 필요로 한다. 죽음에 임하여 동물적 생은 갑자기 멈추지만 기관적 생은 그 후에도 얼마간 계속된다는 등의 차이가 있다.(op.cit., p.65-69, 169-170, 179-182, 200-203)
28. Andre Pichot, Histoire de la notion de vie, p.535.
29. Albrecht von Haller, Memoires sur la nature sensible et irritable des parties du corps animal(1755), tr. de Tissot, Lausanne, Grasset, 1762.
30. 예를 들어 병에 들면 기관적 감수성은 고양되어 고통스러운 감각, 즉 의식적이자 동물적인 감각을 일으키게 된다.
31. Bichat, Anatomie generale appliquee a la physiologie et a la medecine, op.cit., p.253.
32. Andre Pichot, Histoire de la notion de vie, p.562-568.
33. Bichat, op.cit., p.120-121. 라브와지에(Lavoisier)의 화학은 이미 호흡과 영양섭취를 일종의 연소와 산화로 설명한 바 있다.
34. Bichat, op.cit., p.122-123.
  • 가격2,7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3.03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74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