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경기이후 한국 정치현실 및 한국인의 정치적 성향조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I. 본론에 앞서..

II. 월드컵경기와 한국사회
1. 월드컵 시기의 고무된 사회분위기
2. 한국사회의 병폐와 정치에 대한 불신

III. 김대중 정부에 대한 평가
1. 김대중정부에 대한 역사적 평가
2. 김대중정부에 대한 정책분야별 평가

IV. 한국인들의 정치적 성향
1. 1997년 대통령 선거시의 투표 결과
2. 현재의 정치 성향

V. 결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피하고 이인제 후보를 지지했으나, 이번 조사의 경우 나이가 젊을수록 개혁적인 노무현 후보를 지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표 10> 16대 대선후보에 대한 연령별 지지 경향
<주> Chi-sq = 48.67 p = .000
VOTE02: 1 = 노무현, 2 = 이회창, 3 = 부동층
학력과 대선후보 선호도 사이의 관계는 <표 11>에 잘 정리되어 있다. 이 표에 의하면 학력이 높을수록 노무현 후보에 대한 지지율이 높고, 반대로 학력이 낮을수록 이회창 후보에 대한 지지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것은 매우 특이한 현상이다. 왜냐하면 학력이 높을수록 고소득층이 많을 것이고, 고소득층의 경우 이념적으로 보수적 성향이 강해 보수세력을 대변하는 이회창 후보에 대한 지지율이 높아야 하지만 현실은 정반대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을까? 한 가지 가능성은 학력이 높을수록 이념적으로 진보적 성향을 강하게 가지게 되고, 이러한 성향이 고학력자들로 하여금 노무현 후보를 더 선호하게 만들지 않았을까 하는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깊은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부동층의 경우 학력별 차이는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표 11> 16대 대선후보에 대한 학력별 지지 경향
Chi-sq = 13.48 p = .009
EDU: 1 = 중학교 이하, 2 = 고졸, 3 = 대학 이상
<표 12>는 출신지역과 16대 대선후보 선호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이 표에 따르면 노무현 후보는 호남지역과 서울지역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많은 지지를 받고 있고, 이회창 후보는 영남지역과 충청지역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많은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표 12> 16대 대선후보에 대한 지역별 지지 경향
Chi-sq = 133.09 p = .000
소득도 후보 지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표 13>에 제시된 것처럼 소득이 낮을수록 노무현 후보에 대한 지지가 많고, 반대로 소득이 많을수록 이회창 후보에 대한 지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표 13> 16대 대선후보에 대한 소득별 지지 경향
Chi-sq = 12.48 p = .014
마지막으로 이념성향도 후보 지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래의 <표 14>에 제시된 것처럼, 진보성향의 응답자들일수록 노무현 지지자가 많고 반대로 보수성향의 응답자들일수록 이회창 지지가 많은 것이다.
<표 14> 16대 대선후보와 이념성향별 지지 경향
Chi-sq = 17.88 p = .001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2002년 11월의 시점은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는 무당파와 지지하는 대통령 후보가 없다는 부동층이 절반에 가까운 매우 유동적인 상황이었고, 이런 가운데 한나라당과 이회창 후보가 압도적으로 많은 지지를 받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지후보에 대한 하위집단 분석을 해본 결과 연령, 학력, 지역, 소득, 이념에 따라 지지 대상이 분명하게 구별되는 뚜렷한 정치지형이 확인되었다.
V. 결론
본 연구는 월드컵 이후 한국사회의 변화, 김대중 정부에 대한 평가, 한국인의 정치적 성향 등에 대한 서베이 결과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발견사항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의 한국인들은 월드컵이 한국을 업그레이드시키는 엄청난 역사적 계기를 만들었다고 평가하면서도 정치권과 정부 등 공공부문에 대해서는 많은 불신과 불만을 표명하고 있다.
둘째, 김대중 정부의 업적 가운데 수평적 정권교체, 6.15 남북정상회담, 노벨상 수상 등 역사적 업적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으나, 의약분업정책, 교육정책, 복지정책, 경제정책 등에 대해서는 대체로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셋째, 15대 대통령선거를 거치고 16대 대통령 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한국인들의 정치적 성향은 매우 분명한 균열축을 따라 뚜렷하게 차별화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97년의 경우 지역, 이념, 소득 등이 중요한 균열축으로 작용하였는데, 2002년 대선국면에서도 이 세 가지 요소는 지속적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이 재확인되었다.
동시에 연령과 학력이 한국인들의 정치적 성향을 구분하는 중요한 균열축으로 새롭게 등장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런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한국사회의 정치지형도 이제 매우 세분화되었고, 개개인 사이에 매우 상이한 정치적 견해가 존재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월드컵 시기에는 전국민이 한마음으로 결속하고 함께 열광했지만, 월드컵이 끝나고 선거국면에 접어들면서부터 서로 다른 정치집단들끼리 의견이 분열되고 격렬하게 싸우는 상황이 조성되었다. 그 결과 2002년 대선에서는 실제로 북한 핵 문제, 행정수도 이전 문제, 조세문제, 복지문제 등을 둘러싸고 치열한 이념논쟁을 벌이기도 하였다. 대선이 끝난 이후에는 열렬한 야당 지지자들 가운데 상당수가 정신적 쇼크에 빠지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와 함께 월드컵 때 우리 국민들이 보였던 엄청난 발전 에너지를 경제4강, 정치4강으로 승화시킬 수 있도록 정치권과 정부가 새롭게 결의를 다지고 지속적으로 정치혁신과 정부혁신을 추진해가야 할 것이다. "스포츠는 국민을 단결시키고, 정치는 국민을 분열시킨다"는 말이 "정치는 국민을 단결시키고, 국가발전을 가져오는 원동력이다"라는 말로 바뀌도록 하는 것이 정치권과 새 정부에게 남겨진 과제이다.
참 고 문 헌
강병주, 월드컵 대회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경기장 사후 활용방안, 대전언론문화원 개원기념 세미나 발표논문, 2002.
한국일보, '경제적 파급효과', 1996년 6월 3일자
삼성경제연구소, '한국개발연구원 연구결과 종합 '
한국일보, '최첨단 정보통신 기술 전시장',
http://worldcup.metro.seoul.kr Seoul, - 2002 FIFA 월드컵
http://www.2002worldcupkorea.org - KOWOC (2002 한일월드컵 조직위원회)
http://www.2002culture.or.kr - 월드컵문화시민협의회
http://www.fifa.com - 국제축구연맹한겨레, http://www.hani.co.kr/
  • 가격2,7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3.18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96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