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말의 민족주의운동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말의 민족주의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말의 민족주의
1) 위정척사운동
2) 민중운동
3) 개화운동

2. 1910년대의 민족운동과 그 유형
1) 의병운동의 활동과 성격
(1) 채응언 의병부대
(2) 대한독립의군부(1912~1914)
(3) 민단조합(1915)
(4) 풍기광복단(1913~1915)
2) 애국계몽운동계열의 활동
(1) 조선국권회복단
(2) 조선국민회
(3) 조선산직장려계
(4) 대한광복회
3) 3.1운동
(1) 배경
(2) 전개
(3)역사적 의의

3. 1920년대 민족운동
1) 1920년대 초반 국내민족주의 세력의 형성
(1)朝鮮物産獎勵會
(2) 朝鮮事情硏究會
(3) 太平洋問題硏究會
2) 1920년대 중반 민족주의 세력의 분화
(1) 연정회
(2) 수양동우회
(3) 興業俱樂部
(4) 천도교 신파와 구파
3) 民族唯一黨運動의 전개와 협동노선의 결성
(1) 정우회
(2) 국민당
(3) 신간회

4. 1930년대 이후 민족운동

5. 해외에서의 민족운동

본문내용

향 가운데 하나는 만주 지역에서 무장투쟁이 활성화되었다는 점이다. 하지만 일제의 입장에서 만주의 독립군은 조선 통치의 불안요소 였다. 일제는 '암적 존재'와도 같은 이들을 진압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지만, 1920년의 6월의 봉오동전투와 10월의 청산리전투에서 패배하고 말았다. 3·1운동이 끼친 또 하나의 영향은 민족운동자들 사이에서 민주공화정체의 독립국가를 건설하겠다는 것이 움직일 수 없는 대안으로 자리잡았다는 점이다. 상해 임시정부의 헌장 제1조는 이를 압축한 표현인 것이었다.
하지만 3·1운동은 독립쟁취라는 측면에서 보면 실패한 운동이었다. 때문에 많은 민족운동가들은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였다. 사회주의사상은 이 와중에서 유입·확산되었다. 이로 인해 공화주의 세력은 민족주의운동과 사회주의운동 세력으로 분화되어 갔다. 만주의 민족주의운동자들은 참의부(23년), 정의부(24년), 신민부(25년)을 각각 결성하였고, 사회주의운동자들은 조선공산당 만주총국 등을 조직하였다. 또한 1920년대 후반경에 이르면, 민족주의운동자들은 독립 이후에 자본주의적인 국가를 수립하려는 사람들과 '사회주의적 민족주의 국가', 곧 사회민주주의 국가를 세우려는 사람들로 다시 분화되었다.
네 번째 시기는 만주사변 이후부터 1941년 태평양전쟁이 일어날 때까지다. 일제의 만주침략으로 만주의 민족주의운동자들은 조선혁명당·조선혁명군, 한국독립당·한국독립군 등의 이름으로 무장투쟁을 벌였고, 사회주의운동자들은 중국공산당이 지도하는 빨치산부대에서 활동하였다. 당시 사회주의운동자들은 만주에서 일본군과 만주국을 물리치지 않으면, 재만한인의 안정을 이룩할 수 없으며, 조선의 독립을 위한 조건도 유리하게 조성할 수 없다고 보고, 중국인들과 함께 빨치산 부대에서 활동하였다.
만주에서는 이 시기부터 무장투쟁이란 투쟁방법이 전면에 등장하여 일상적으로 진행되었다. 이제 재만한인의 생활을 안정시키기 위한 직접적인 활동은 뒷전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한국독립군은 1933년경, 조선혁명군은 1938년경, 빨치산부대는 1940년경 일본군의 탄압으로 각각 투쟁을 중단하였다. 이후 한국독립군의 주력부대는 중국의 본토로 이주하여 한국독립당을 재건하고 활동하다가, 1941년 광복군이 결성되었을 때 여기에 참여하였다. 조선혁명군의 다수는 1938년경 빨치산부대에 합류하여 무장투쟁을 견지했으며, 빨치산부대는 일본군의 공격을 피해 1940,41년경 대부분 소련으로 이동하였다.
다섯 번째 시기는 태평양전쟁 시기부터 해방될 때까지이다. 해외의 민족운동자들은 일제가 태평양전쟁을 일으키자, 국제적으로 고립되어 있고 경제적으로 궁핍한 일제의 패망은 이제 멀지 않았으며, 이렇게 되면 우리는 곧 독립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민족운동자들은 이전에 볼 수 없었던 활동양상 즉, 각 지역의 주요 단체끼리 서로 연락하여 무장투쟁의 연대방안을 협의하였다. 예를 들어 임시정부에서 중국공산당 본부가 있던 延安의 화북조선독립동맹(42년)에 연락원을 파견한 것, 화북조선독립동맹에서 만주에 조선인 빨치산부대를 찾기 위해 조직원을 파견한 것, 건국동맹(44년)이 화북조선독립동맹에 연락원을 파견한 것 등이 그 대표적인 보기이다. 이들은 해방을 주체적인 역량으로 쟁취하려는 생각에서 이렇게 활동하였다. 그러면서 민족운동자들은 건국에 대비하였다. 중경의 임시정부는 건국강령을 제정(1941)하였고, 빨치산 부대의 조선인 대원들은 조선공작단위원회(45.7)를 조직하였다.
《참고문헌》
〔3.1운동〕
강만길, 1994,『고쳐쓴 한국현대사』, 창작과 비평사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실, 2003,『한국사의 재조명』, 고려대학교 출판부
김송달, 1998,『바로보는 한국근현대 100년사』1. 거름
동아일보사 편, 1989,『31운동과 민족운동』
박영석, 1984,『일제하 독립운동사연구』, 일조각
신용하, 1985,『한국민족독립운동사연구』, 을유문화사
신용하, 1989,『31독립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안병직, 1975,『31운동』, 한국일보사
윤병석, 1975,『31운동사』, 정음사
윤병석박성수 외 공저, 1990,『한민족의 독립운동사』, 한국민족운동사연구회
이현희, 1994,『한국민족운동사의 재인식』, 자작아카데미
한국근현대사학회 엮음, 1998,『한국독립운동사강의』, 한울아카데미
한국역사연구회역사문제연구소, 1989,『31민족해방운동연구』, 청년사
허중권, 1998,『바로보는 한국근현대사』, 학연문화사
고정휴, 1989,「31운동과 미국」,『31민족해방운동연구』, 청년사,
권대웅박걸순, 1998,「31운동」,『한국독립운동사강의』, 한울아카데미,
박찬승, 1989,「31운동의 사상적 기반」,『31민족해방운동연구』, 청년사
신국주, 1988,「31독립선언」,『한민족독립운동사』3, 국사편찬위원회
신용하, 1988,「31독립운동」,『한국민족운동사연구논총』, 영남대학교출판부
안병직, 1969,「31운동에 참가한 사회계층과 그 사상」,『역사학보』41
윤경로, 1996,「1910년대 민족운동과 31운동」,『한국역사입문』3, 풀빛
이윤상이지원정연태, 1989,「31운동의 전개과정과 참가계층」,
『31민족해방운동연구』, 청년사
조동걸, 1995,「독립운동의 특징과 의의」,『한국독립운동의 이해와 평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조민, 1998,「제 1차 세계대전 전후의 세계정세」,『31민족해방운동연구』, 청년사
조항래, 1988,「일본에 있어서의 독립운동」,『한국민족운동사연구논총』, 영남대출판부
홍일식, 1989,「31독립선언서 연구」,『한국독립운동사연구』3
〔민족주의〕
1. 이만열, 「민족주의」,『한국사 시민강좌』,일조각, 1999
2. 신주백, 「해외민족운동」,『지난 1백년 호남인의 저항과 창조』712호, 1999
3. 박찬승, 「국내민족주의 좌우파 운동」,『 한국사』15, 한길사, 1994
4. 한국민족운동사연구회, 『한국민족운동의 역사와 미래』,국학자료원, 2000
5. 유준기, 「일제하 민족운동에 있어서 민족주의의 형성과 그 유형」, 『한국민족운동과 종교활동』, 국학자료원,2002
6. 신용하, 『한국근대민족주의의 형성과 전개』,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7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7.03.28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09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