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체와 예술 그리고 인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매체와 예술 그리고 인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들어가며 ≫
◎. 예술과 기술 그리고 미학적 인간

≪ 본 론 ≫
1. 비디오 아트의 사회, 미학적 특성
2. 탈 주체화의 정체성과 저자의 죽음
3. 가상공간과 복제예술
4. 시공간의 근접성 문제
5. 시각중심에서 통합감각으로

≪ 나 오 며 ≫
◎ 인간, 매체 예술의 목표에 대하여

【참고 문헌】

본문내용

예술작품 보다는 이제 예술성과 정보를 전하는 매체가 이를 수용하는 관객, 수용자가 더욱 중요한 위치로서 고려되었다. 현대 예술이 매체를 이용하여 혹은 매체에 의존하여 매체 속에서 예술을 표현하기 때문이다. 관객도 매체를 통하여 혹은 매체 속에서 예술가와 예술품을 만난다.
매체가 기술과 예술을 연결하는 중심적인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미학적 인간(예술가, 관객)과 매체간의 관계, 매체와 미와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사회학적 고찰의 필요성을 느껴
비디오 아트를 중심으로 특징적인 몇 가지 점들을 생각해 보았다. 비디오 영상의 촬영주체와 촬영대상의 동시성과 즉각성, 이미지의 비결정성이 던진 영상과 대상의 존재론적 문제와 상호주관성에 입각한 인식론적 문제를 생각해본다. 그것은 곧 자기 주체성에 대한 문제이며 작가와 관객간의 상호작용의 문제였다. 또한 비디오 복제 영상이나 컴퓨터 가상현실이 낳은 진리문제와 시공간의 파편화와 근접성에 따른 의사소통의 문제도 살펴보았다. 전자 매체에 의한 영상예술의 인정은 가상에 대한 물신화인가? 그러면 이러한 매체예술 현상에 대하여 미학적 인간은 어떻게 대응하여야 하나? 소비사회의 교환가치를 없애고 사용가치를 복원하여 물화현상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는 기존의 사회체제 속에서 제도화된 지배 예술에 대항하여 아도르노식의 부정과 저항의 아방가르드 미학은 꾸준히 추구되고 있지만, 문제는 이러한 전위 정신과 예술마저 대중 취향과 자본과 소비의 권력의 손안에 편입되어가고 있는 점이다. 현대 대중매체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시도, 즉 탈 매체 현상은 어쩌면 하이퍼 리얼리티의 상황을 극복하려는 탈 현대성의 몸부림으로 보이기도 한다. 그렇다고 매체를 거부하고 가상의 예술에서 현실의 실제 예술로의 전환이 탈출구는 아닐진대, 결국 기존 매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새로운 기의를 창조하여 매체예술의 변환을 모색하여야 될 것 같다. 이것은 인간이 언제나 창조와 수용의 주체로서 매체를 객체화하여야 한다는 말이다. 예술창조자와 수용자가 만남은 진실한 상호 주관적 의사소통 행위가 되어야 한다. 특히 예술담론을 통한 수용자의 비판적 수용태도가 작품에 수용될 때 시뮬레이션의 세계는 그 힘을 잃을 것이다. 가상은 가상이고, 매체는 매체일 뿐이다. 매체가 미학적 인간의 정신과 행위를 지배하는 테크노피아, 즉 예술가가 죽고 예술작품도 죽은 사회상황은 결코 유토피아 사회라고 볼 수 없다. 현대의 미학적 인간은 매체예술을 이용하여 새로운 의사소통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자이다. ‘링키지 컴퓨터’처럼 인간 뇌 속의 생각을 컴퓨터가 직접 대행하는 홀로시스트, 혹인 링커가 예술을 제작한다 하더라도 그것은 인간 예술이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매체예술은 언제나 인간 중심적이어야 한다.
【참고 자료】
≪ 참고 서적 ≫
◈ 『20세기 예술과 테크놀로지 -로봇 아방가르드-』. 지성의 샘. 간구승홍.
◈ 『현대예술의 혁명』. 한길사. Sedlmayr, Hans.
◈ 『멀티미디어와 인터렉티브 아트』. 한국학술정보. 조재원.
◈ 『 뉴미디어 아트』. 시공사. Rush, Michael.
◈ 『테크노에틱 아트 -새로운 의식, 리얼리티, 예술의 창발을 향하여』.
연세대학교 출판부. Ascott, Roy.
≪ 참고 논문 ≫
◆ 『대중매체의 발전과 대중예술의 정의의 문제』.이해완. 서율대학교 미학과.
◆ 『디지털 매체 예술에서 이미지의 문제』. 심혜련. 건국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 『몰입과 각성사이 -전자매체 예술에 있어 환상과 충동역전의 구조에 대하여-』.
김완방. 홍익대 예술학과 교수.
◆ 『현대 예술이론에서 매체의 의의』. 오종환.
◆ 『한국테크놀로지 아트의 전망』. 조태병. 한성대학교 미디어 디자인 학부.
◆ 『비디오 아트의 미학』. 조선령. 부산 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 『미디어 아트의 문화적 역할 -백남준과 브루스 나우만의 작품을 중심으로-』 손병돈.
경주 대학교 미디어 아트 학부 조교수
◆ 『영상매체와 현대미술 -디지털 매체의 등장과 비디오아트의 사회 미학적 특징-』.
김혜진. 대진대학교 산업디자인학부 교수.
◆ 『테크놀로지 아트와 테크놀로지 패션 이미지의 미적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20세기를
중심으로-』. 박은경. 안양과학대학 패션텍스타일과.
◆ 『전자 매체 예술의 미학적 해석에 관한 고찰 -미디어아트에서의 실재개념에 관하여-』
윤준성.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 미디어학부 조교수.
◆ 『영상 디자인에 나타나는 퓨전현상에 관한 연구 -넷아트를 중심으로-』.
김성훈. 한양대.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4.07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30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