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의 호칭어와 인사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상생활의 호칭어와 인사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언어예절의 중요성

2. 호칭어

3. 인사말

4. 결 론

본문내용

이 없을 때는 "말씀 좀 전해주시겠습니까?", "죄송합니다만(미안합니다만) OO한테서 전화 왔었다고 전해주시겠습니까?"와 같이 말하면 된다.
전화가 잘못 걸렸을 때는 귀찮은 듯이 전화기를 탁 놓지 말고 "죄송합니다(미안합니다). 전화가 잘못 걸렸습니다"라고 예의를 갖춰 정중히 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화를 마치고 전화를 끊을 때는 "안녕히 계십시오", "고맙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이만(그만) 끊겠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하고 인사를 하고 끊는 것을 생활화하도록 한다. "들어가세요"라는 인사도 많이 하지만, 이 말은 명령형이고, 일부 지방 사람들만 주로 쓰며, 상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여러 경조사에서의 인사말
축하와 위로의 인사말
어른의 생일일 경우 "생신 축하합니다"라고 인사하고, 상대에 따라 "생일 축하하네", "생일 축하해"와 같이 쓰면 된다. 환갑이나 고희 등의 잔치에서는 "더욱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등과 같이 말하면 된다. "오래 사십시오"나 "만수무강하십시오" 등과 같은 인사말은 내가 벌써 그렇게 늙었나 하는 서글픔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좋지 않다. 또 "건강하십시오"는 형용사를 명령형으로 만든 것이어서 문법적으로도 맞지 않을 뿐더러 명령형이어서 옳은 말이 아니다.
집안 결혼식에 가서 결혼하는 사람에게도 "축하합니다" 등으로 말하면 된다. 입학 시험에 합격한 사람이라면 "합격을 축하합니다" 등과 같이 말하면 무난하다.
문병을 가게 될 경우에는 "좀 어떠십니까?", "얼마나 고생이 되십니까?" 등으로 인사하고, 불의의 사고일 때는 "불행중 다행입니다"와 같이 말할 수 있다. 물론 상대에 따라 "좀 어떻니?", "얼마나 고생이 되니?"처럼 말할 수 있다. 문병 때는 어느 경우에나 털고 일어나리라는 희망을 가져야 하므로 끝까지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희망적인 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밖에 환자에게 이런저런 말을 하거나 물어 보는 것은 모두 예의에 어긋난다. 아픈 사람이 궁금해할 만한 일 가운데 밝은 것으로 화제를 삼아 조용히 이야기를 하는 것이 좋다. 문병을 마치고 나올 때는 "조리(조섭) 잘 하십시오", "속히 나으시기 바랍니다" 하고 인사를 하면 된다.
문상
문상 가서 가장 예의에 맞는 인사말은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다. 그 어떤 말도 상을 당한 사람에게 위로가 될 수 없기 때문이며,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더 깊은 조의를 표하는 것이 된다. 다만 굳이 인사말을 해야 한다면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얼마나 슬프십니까?",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등과 같이 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아버지 상을 당한 사람에게는 "대고(大故) 말씀 무어라 여쭈오리까?", 어머니 상을 당한 사람에게는 "상사 말씀 무어라 여쭈오리까?", 남편 상을 당한 사람에게는 "천붕지통(天崩之痛)이 오죽하시겠습니까?", 아내 상을 당한 사람에게는 "고분지통(叩盆之痛)이 ", 형제 상을 당한 사람에게 "할반지통(割半之痛)" 하기도 하였고, 또 자녀 상을 당한 사람에게는 "참척(慘慽)을 당하시어 얼마나 마음이 아프시겠습니까?" 하기도 했으나 오늘날 굳이 복잡하게 이런 어려운 말로 따로따로 인사말을 할 필요는 없다. 다만 부모 상의 경우에만 전통적인 인사말인 "얼마나 망극(罔極)하십니까?"를 나이 등 상황에 맞게 적절히 쓸 수 있다.
봉투 및 단자의 인사말
회갑 잔치 등에서 축의금을 낼 경우 봉투의 앞면에 '祝 壽宴(축 수연)', '祝 華婚(축 화혼)'과 같이 쓰고 뒷면에 이름을 쓴다. 한글로 써도 무방하며 가로쓰기를 할 수도 있다. 종종 환갑 이상의 생일 잔치에는 봉투 인사말을 어떻게 쓰는지 몰라 고민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도 '수연'이라고 하면 된다. '壽宴(또는 壽筵)'은 회갑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생일 잔치에 두루 쓸 수 있는 말이다. 물론 생일에 따라 '祝 還甲(축 환갑), 祝 回甲(축 회갑), 祝 華甲(축 화갑, 이상 61세), 祝 古稀宴(축 고희연), 祝 稀宴(축 희연, 이상 70세), 祝 喜壽宴(축 희수연, 77세), 祝 米壽宴(축 미수연, 88세), 祝 白壽宴(축 백수연, 99세)' 등을 쓸 수도 있다. 한편 단자는 반드시 넣는 것이 예의이다. 단자에는 봉투의 인사말을 써도 되고 '수연을(결혼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와 같이 문장으로 인사말을 써도 된다. 그리고 '금원'처럼 물목을 적은 다음 날짜와 이름을 쓴다. 결혼식에는 '祝 婚姻(축 혼인), 祝 結婚(축 결혼), 祝 華婚(축 화혼), 祝儀(축의), 賀儀(하의)' 등을 인사말로 쓸 수 있다.
문상의 경우 봉투의 인사말은 '賻儀(부의), 謹弔(근조)' 등을 쓴다.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라는 문장 형식의 인사말은 단자에는 써도 봉투에는 쓰지 않는다. 생일, 결혼, 문상 등 정형화된 단어의 인사말이 있는 경우 문장으로는 봉투의 인사말을 쓰지 않는 것이다. 한편 소상(小祥)이나 대상(大祥)의 경우 부조를 하게 되면 봉투에 '奠儀(전의)' 또는 '香燭代(향촉대)'라고 쓴다. 한편 정년퇴임의 경우 봉투나 단자의 인사말로 '謹祝(근축), 頌功(송공), (그동안의) 공적을 기립니다'처럼 쓸 수 있다. 병문안의 위로금을 건넬 경우에는 '祈 快癒(기 쾌유), (조속한) 쾌유를 바랍니다'로 쓴다. 정년 퇴임이나 병문안의 경우처럼 단어의 인사말이 그리 보편화되지 못한 경우 봉투에도 문장의 인사말을 쓸 수 있다. 출판 기념회 등 마땅한 인사말이 없을 경우 이와 같이 상황에 맞게 적절한 인사말을 쓰면 될 것이다.
결론
인생이란 사람과 사람의 만남이다. 사람과의 만남 중에서 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것이 인사이고 상대방에대한 호칭어, 지칭어 이다. 첫인상은 그 사람의 이미지를 오래 간직하게 된다는 측면에서 매우 신경을 써야 한다. 이 점에서 인사말과 호칭어는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여러 사람이 모인 자리나 모임에서 인사말과 호칭어를 쓰게 되는 경우는 인사말과 호칭어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능력이나 인격까지도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사말과 호칭어를 잘 하는 것은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하겠다. '말은 곧 인격이요, 처세의 결정판이다.'

키워드

호칭어,   인사말,   인사,   언어,   의사소통,   호칭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4.26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65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