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 작품의 정의와 소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향가의 정의

2> 향가의 형성

3> 향가의 형태

4> 향가의 작품현황

5> 서동요

6> 처용가

7> 제망매가

8> 원왕생가

9> 그 외 작품들 원본자료

본문내용

1> 향가(鄕歌)는 무엇인가?
- 넓은 의미 : 향찰로 표기된 정형시가의 총칭. 중국의 시가가 아닌 우리나라의 노래.
- 좁은 의미 : 6세기 통일신라시대부터 13세기 고려중기까지 발달했던 문학.
- 사뇌가 : 향가의 원래 명칭이었다, 신라의 노래다, 또는 10구체 형식의 향가에 대한 명칭이다 등 여러 가지 견해가 있다.
 향찰은 무엇인가?
- 한자의 음과 훈을 빌어서 우리말의 문장전체를 적던 신라시대의 표기법. 향가에 사용되어 향가식 표기라고 불리기도 한다.
실사(체언, 용언의 어간)는 한자의 뜻을,
허사(조사, 용언의 어간)는 한자의 음을 빌려 표기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돌을 먹다'를 향찰식으로 표기하면(이런 문장은 없지만 쉬운 한자를 쓰기 위해 만들어 보았다.)
실사 - 돌, 먹 : 한자의 뜻을 빌림
허사 - 을, 다 : 한자의 음을 빌림
이것을 향찰식으로 쓰면 -> 石乙食多
따라서 서동요의 첫 행을 해석해 보면
善化公主主隱(선화공주주은) - 선화공주님(명사이므로 한자의 뜻) 은(조사이므로 한자의 음)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해독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나올 수 있다.
2> 향가의 형성
삼국사기에 의하면 유리왕5년 (AD 28)에 도솔가가 지어진 것이 가악의 시초라고 하였으나 오늘날 전해지는 작품은 신라시대 6세기 이후의 것들이다. 신라 26대 진평왕(A.D. 579 ~ 631) 때의 서동요 혜성가가 최고(最古)의 향가작품으로 꼽히고, 고려 예종15년(A.D 1120)에 예종이 직접 불렀다는 도이장가까지 전해지고 있다. 전해지는 작품의 수가 한정되어 있어 자세히 알 수는 없지만 신라시대를 대표한 한국문학임에는 틀림없다.
향가의 소멸시기, 향가가 행해지던 지역적인 범위, 향가의 총 작품수(失傳작품 포함) 등에는 여러 이설과 의문이 많으나, 향찰이 발명되기 이전의 작품은 표기문자가 없어서 구전(口傳)되다가 소멸하였거나, 또는 향찰로 표기되다가도 소멸되어 전승되지 못했던 듯하다. 특히 오늘날 이름만 전해지는 향가집(鄕歌集) 《삼대목(三代目)》이 실전되었음은 유감스러운 일이나 현전하는 25수 (또는 27수)야말로 국문학사상 의의가 클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신라문학에 접할 수 있고, 당대의 문학적 생활을 엿볼 수 있음은 다행한 일이다.
......
3> 향가의 형태
4> 향가의 작품현황
5> 서동요
6> 처용가
7> 제망매가
8> 원왕생가
9> 그 외 작품들 원본자료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5.21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4105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