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구 분
현 황
직 원 수
47
장서현황
도서자료
(책)
동 양 서
1,060,224
서 양 서
453,189
한 적
101,087
학위논문
95,592
계
1,710,062
연속간행물
(종)
국 내
인쇄
10,399 (2,644)
전자
8,605
국 외
인쇄
5,363 (1,483)
전자
31,466
계
인쇄
15,762 (4,127)
전자
40,071
전자자료
(종)
전자도서
국 내
23,805
국 외
17,851
계
41,656
학술DB
국 내
57
국 외
147
계
204
비도서 자료
54,535
* 2007년 2월 28일 기준
1) 분관 도서관 포함. 2) 학위논문은 별도의 학위논문 등록번호를 부여한 1988년 7월부터 현재까지의 학위논문 숫자임. 1988년 이전에 등록된 학위논문은 동양서 장서수에 포함됨.3) 연속간행물은 총 보유종수이며, ( )안의 숫자는 현재 구독중인 종수임.4) 학술DB에는 CD-ROM형태의 DB는 포함하지 않음.
1) 일반현황
2006년 2월을 기준으로 한 중앙도서관을 비롯한 4개의 분관도서관, 즉 문과대학, 상경대학, 음악대학, 법학대학 도서관을 포함한 도서관의 장서현황이다. 표의 장서현황 중 학위논문은 별도의 학위논문 등록번호를 부여한 1988년 7월부터 현재까지 학위논문의 숫자이며, 1988년 이전에 등록된 학위논문은 동야서 장서수(단행본)에 포함한 연속간행물의 ( )안의 숫자는 현재 구독중인 종수이며, 학술DB에는 CD-ROM형태의 DB는 포함하지 않고 있다. 도서의 비율은 전체적으로 동양성가 서양서의 2배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 수서정책
가. 목표 및 방향
① 미래지향적인 장서개발정책 추진
② 체계적인 자료선정을 통한 장서 수준향상
③ 접근과 이용에 중점을 둔 이용자 중심의 장서개발
④ 선별적인 보존과 폐기를 통한 효율적인 장서관리
⑤ 특화컬렉션 개발로 장서의 차별성 획득
⑥ 정보자원공유를 위한 헙력장서개발 활성화
나. 자료구입예산배분 및 집행
① 자료유형별로 단행본 : 전자자료 포함한 연속간행물 비율은 35 : 65로 배정한다. 신청구분별로는 학과 : 도서관 60 : 40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학과분으로는 주로 국외도서, 국외연속간행물을 구입하고 도서관분으로는 국내 도서, 국내 연속간행물, 전자자료 등을 구입한다. 국외도서 구입비를 학과별로 배정하기도 하는데 학과별로 배정하는 경우 국외도서구입비의 50%를 모든 학과에 균등 배분하고 나머지 50%를 학과별 교원수, 대학원생수 비례로 배분한다.
② 배정 우선순위는 매년 갱신해야 하는 자료, 고서나 주제분야등 당해연도에 중점 수집할 자료, 단행본, 비도서 등을 우선으로 한다.
③ 도서 및 비도서의 경우 연중 수시로 구입, 집행이 이루어지고, 연속간행물이나 학술DB, 전자저널의 경우 1년 단위의 예약구독 방식으로 구입하기 때문에 주로 12월~1월초에 집중적으로 집행된다. 전체 예산의 65%정도 차지한다. 예산절감을 위하여 KESLI 국가전자저널 컨소시엄이나 KERIS 해외 학술DB 공동구매를 적극 활용한다.
다. 자료신청/선정
① 신청방법 다각화
다양한 신간정보를 제공하여 신청을 활성화한다. 자료구입신청 인터페이스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②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자료 선정
교수신청금액에 제한이 없다. 단 너무 많이 신청하는 학과(교수)는 다른학과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처리한다.
③ 모든 자료는 ‘중앙도서관 자료선정 기준’에 의거하여 선정한다.
④ 국내도서의 경우 희망도서 이외에 도서관에 망라 수집한다.
⑤ 국외도서의 경우 교수들의 신청에 의하여 수집하며, 분야별 치우침을 보완하기 위해 신청이 저조한 분야는 도서관에서 선정하여 보완한다. 예전에는 학과별로 예산을 배정하고, 신청을 받아 구입하였으나, 2004년부터는 학과별로 예산을 배정하지 않고 전체 국외도서 예산 범위 내에서 구입 하고 있다.
⑥ 국내도서 1종2부, 국외도서 1종1부를 원칙으로 하되, 이용률에 따라 복본수를 조정한다.
⑦ 국외연속간행물의 경우 학과의 요청에 의해 구독한다. 인쇄저널이나 전자저널 어떤 형태로 구독할지 또한 학과의 요구를 반영하여 구독한다.
⑧ 학술DB에 대해서 각 학과나 이용자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여 구입한다.
⑨ 매년 올해의 집중 수집분야를 정함
라. 장서평가 및 관리
① 장서평가
전자저널 이용통계, 학술DB 이용통계, 인쇄저절 이용도 조사, 학기단위의 구입도서의 대출통계 등의 이용통계에 의한 평가와 이용통계 분석 및 리포트를 통해 이뤄진다. 이것은 구독갱신 등 수서업무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용자 교육 등 이용활성화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로 사용 할 수 있다.
② 장서관리
이용률을 고려하여 보존서고로의 재배치가 이뤄지며 학위논문, 고서 등의 자료는 디지털 아카이브화한다. 제적처리는 제적내규를 기준으로 타대학 학위논문을 우선적으로 제적 처리하며 분실, 과다 복본 등을 정례적으로 제적하며 제적 자료의 보충은 재구입을 통해 이뤄진다.
3) 자료 선정기준
가. 자료수집원칙
대학 내 구성원들의 연구와 교과과정을 지원하고 그들의 학문 탐구 활동에 관련된 자료를 학문 영역별로 균형있게 수집한다. 자료의 형태에 관계없이 대학도서관 장서로서 가치가 있는 모든 자료를 다양하게 수집한다.
나. 자료선정기준 및 방법
① 자료선정의 일반기준
- 수집주제분야 : 본교에 설치되어 있는 학과와 관련된 주제분야의 학술자료는 모두 수집함을 원칙으로 한다. 의학관련분야의 전문적인 자료는 의학도서간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집을 지양한다. 기독교 역사 관련 자료와 국내ㆍ외에서 발행되는 국학 자료는 모두 수집한다.
- 자료형태 : 학문연구와 교과과정에 필요한 자료는 형태에 상관없이 모두 수집한다. 단행본, 연속간행물, 시청각자료, 마이크로물 자료, 고서, 지도자료, CD-ROM, 전자저널, 학술DB, e-Book, 웹문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수집한다. 문고본이나 영인본, 복사본은 수집하지 않는다. 단, 귀중한 자료로서 원본 구입이 불가능하거나 원본 보본을 위해 필요한 경우 영인본을 수집할 수있다.
- 자료의 최신성 : 각 분야의 최신 발행도서를 우선 수집한다. 주제에 따라 소급 수집의 요구가 있을 경우나 특정 분야
현 황
직 원 수
47
장서현황
도서자료
(책)
동 양 서
1,060,224
서 양 서
453,189
한 적
101,087
학위논문
95,592
계
1,710,062
연속간행물
(종)
국 내
인쇄
10,399 (2,644)
전자
8,605
국 외
인쇄
5,363 (1,483)
전자
31,466
계
인쇄
15,762 (4,127)
전자
40,071
전자자료
(종)
전자도서
국 내
23,805
국 외
17,851
계
41,656
학술DB
국 내
57
국 외
147
계
204
비도서 자료
54,535
* 2007년 2월 28일 기준
1) 분관 도서관 포함. 2) 학위논문은 별도의 학위논문 등록번호를 부여한 1988년 7월부터 현재까지의 학위논문 숫자임. 1988년 이전에 등록된 학위논문은 동양서 장서수에 포함됨.3) 연속간행물은 총 보유종수이며, ( )안의 숫자는 현재 구독중인 종수임.4) 학술DB에는 CD-ROM형태의 DB는 포함하지 않음.
1) 일반현황
2006년 2월을 기준으로 한 중앙도서관을 비롯한 4개의 분관도서관, 즉 문과대학, 상경대학, 음악대학, 법학대학 도서관을 포함한 도서관의 장서현황이다. 표의 장서현황 중 학위논문은 별도의 학위논문 등록번호를 부여한 1988년 7월부터 현재까지 학위논문의 숫자이며, 1988년 이전에 등록된 학위논문은 동야서 장서수(단행본)에 포함한 연속간행물의 ( )안의 숫자는 현재 구독중인 종수이며, 학술DB에는 CD-ROM형태의 DB는 포함하지 않고 있다. 도서의 비율은 전체적으로 동양성가 서양서의 2배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 수서정책
가. 목표 및 방향
① 미래지향적인 장서개발정책 추진
② 체계적인 자료선정을 통한 장서 수준향상
③ 접근과 이용에 중점을 둔 이용자 중심의 장서개발
④ 선별적인 보존과 폐기를 통한 효율적인 장서관리
⑤ 특화컬렉션 개발로 장서의 차별성 획득
⑥ 정보자원공유를 위한 헙력장서개발 활성화
나. 자료구입예산배분 및 집행
① 자료유형별로 단행본 : 전자자료 포함한 연속간행물 비율은 35 : 65로 배정한다. 신청구분별로는 학과 : 도서관 60 : 40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학과분으로는 주로 국외도서, 국외연속간행물을 구입하고 도서관분으로는 국내 도서, 국내 연속간행물, 전자자료 등을 구입한다. 국외도서 구입비를 학과별로 배정하기도 하는데 학과별로 배정하는 경우 국외도서구입비의 50%를 모든 학과에 균등 배분하고 나머지 50%를 학과별 교원수, 대학원생수 비례로 배분한다.
② 배정 우선순위는 매년 갱신해야 하는 자료, 고서나 주제분야등 당해연도에 중점 수집할 자료, 단행본, 비도서 등을 우선으로 한다.
③ 도서 및 비도서의 경우 연중 수시로 구입, 집행이 이루어지고, 연속간행물이나 학술DB, 전자저널의 경우 1년 단위의 예약구독 방식으로 구입하기 때문에 주로 12월~1월초에 집중적으로 집행된다. 전체 예산의 65%정도 차지한다. 예산절감을 위하여 KESLI 국가전자저널 컨소시엄이나 KERIS 해외 학술DB 공동구매를 적극 활용한다.
다. 자료신청/선정
① 신청방법 다각화
다양한 신간정보를 제공하여 신청을 활성화한다. 자료구입신청 인터페이스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②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자료 선정
교수신청금액에 제한이 없다. 단 너무 많이 신청하는 학과(교수)는 다른학과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처리한다.
③ 모든 자료는 ‘중앙도서관 자료선정 기준’에 의거하여 선정한다.
④ 국내도서의 경우 희망도서 이외에 도서관에 망라 수집한다.
⑤ 국외도서의 경우 교수들의 신청에 의하여 수집하며, 분야별 치우침을 보완하기 위해 신청이 저조한 분야는 도서관에서 선정하여 보완한다. 예전에는 학과별로 예산을 배정하고, 신청을 받아 구입하였으나, 2004년부터는 학과별로 예산을 배정하지 않고 전체 국외도서 예산 범위 내에서 구입 하고 있다.
⑥ 국내도서 1종2부, 국외도서 1종1부를 원칙으로 하되, 이용률에 따라 복본수를 조정한다.
⑦ 국외연속간행물의 경우 학과의 요청에 의해 구독한다. 인쇄저널이나 전자저널 어떤 형태로 구독할지 또한 학과의 요구를 반영하여 구독한다.
⑧ 학술DB에 대해서 각 학과나 이용자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여 구입한다.
⑨ 매년 올해의 집중 수집분야를 정함
라. 장서평가 및 관리
① 장서평가
전자저널 이용통계, 학술DB 이용통계, 인쇄저절 이용도 조사, 학기단위의 구입도서의 대출통계 등의 이용통계에 의한 평가와 이용통계 분석 및 리포트를 통해 이뤄진다. 이것은 구독갱신 등 수서업무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용자 교육 등 이용활성화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로 사용 할 수 있다.
② 장서관리
이용률을 고려하여 보존서고로의 재배치가 이뤄지며 학위논문, 고서 등의 자료는 디지털 아카이브화한다. 제적처리는 제적내규를 기준으로 타대학 학위논문을 우선적으로 제적 처리하며 분실, 과다 복본 등을 정례적으로 제적하며 제적 자료의 보충은 재구입을 통해 이뤄진다.
3) 자료 선정기준
가. 자료수집원칙
대학 내 구성원들의 연구와 교과과정을 지원하고 그들의 학문 탐구 활동에 관련된 자료를 학문 영역별로 균형있게 수집한다. 자료의 형태에 관계없이 대학도서관 장서로서 가치가 있는 모든 자료를 다양하게 수집한다.
나. 자료선정기준 및 방법
① 자료선정의 일반기준
- 수집주제분야 : 본교에 설치되어 있는 학과와 관련된 주제분야의 학술자료는 모두 수집함을 원칙으로 한다. 의학관련분야의 전문적인 자료는 의학도서간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집을 지양한다. 기독교 역사 관련 자료와 국내ㆍ외에서 발행되는 국학 자료는 모두 수집한다.
- 자료형태 : 학문연구와 교과과정에 필요한 자료는 형태에 상관없이 모두 수집한다. 단행본, 연속간행물, 시청각자료, 마이크로물 자료, 고서, 지도자료, CD-ROM, 전자저널, 학술DB, e-Book, 웹문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수집한다. 문고본이나 영인본, 복사본은 수집하지 않는다. 단, 귀중한 자료로서 원본 구입이 불가능하거나 원본 보본을 위해 필요한 경우 영인본을 수집할 수있다.
- 자료의 최신성 : 각 분야의 최신 발행도서를 우선 수집한다. 주제에 따라 소급 수집의 요구가 있을 경우나 특정 분야
추천자료
프랑스와 한국의 문화정책 비교 연구
영국의 대처정부와 블레어정부의 빈곤정책 비교
여성육아 제도의 외국과 비교 및 정책과제 제시 보고서
볼리비아와 콜롬비아의 코카 정책 비교
볼리비아와 콜롬비아의 코카 정책 비교
정책평가 제도에 대한 주요국과 한국의 비교
국내외의 보육정책을 조사하여 비교분석하기
학교교육과 청소년육성 정책의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 2014년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
청소년육성제도론3>>학교교육과 청소년육성 정책의 특징을 비교하여 논의, 주요 청소년육성 ...
한국과 중국의 주거복지정책 비교.pptx
각 국가별로 사회복지정책에 관하여 비교 및 장단점 정리하여 보시오
학교교육과 청소년육성 정책의 특징을 비교하여 논하고, 주요 청소년육성 관계법들에서 ‘청소...
[비교 행정론] 장애인 고용정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