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운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본론
Ⅱ-1 3.1운동의 내용
# 3.1운동 이전의 사회
# 3.1운동이 일어나게 된 배경
# 3.1운동의 전개
# 일제의 탄압
# 국외에서의 3.1운동
# 3.1운동 이후의 정세
# 3.1운동의 성격과 의의 한계
Ⅱ-2 3.1운동의 쟁점
# 민족대표33인은 민족대표일까?

Ⅲ. 맺음말

본문내용

면 만일 3.1운동준비단계에 있어서의 부르조아 민족주의자들의 지도적 역할마저 인정하지 않는다면 기실은 3.1운동을 처음부터 지도층도 없고 계획과 준비도 없이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난 운동으로 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고 보는데 3.1운동과 같은 거족적인 운동이 자연발생적으로 발발할 수 없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3.1운동의 준비단계에서 그들의 지도적역할은 어떻게 표현되었는가? 그들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몇 개의 면에서 표현된다고 보여진다.
첫째. 민족의 단합을 시도하면서 여러 갈래의 반일세력과 손을 잡는데 어느 정도 성공했다는 것. 요컨대 재일한국 유학생들에 의해 《2.8독립선어서》가 작송되고 해외에서의 동향이 우선 급박해지자 그들은 학생들과의 연합을 다그치는 한편 당시 국내에서 제가가지 독립운동모의를 하고 있건 여러 종교단체의 인사 및 기타 지식인들과 손을 잡게 되었다. 그러면서 그들은 제한된 범위에서의 단함이긴 했지만 어쨌든 반일세력을 좀더 확대 시키고 3월 1일 그날을 기하여 전국각지에서 대규모적인 반일운동이 거의 동시에 일제히 일어나게 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이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둘째, 《3.1독립선어서》와 같은 중요한 문건을 작성, 인쇄, 배포함으로써 인민중을 우선 정신적으로 자극하였으며 일제침략자들을 전율케 하였다는 것이다. 물론 《3.1독립선어서》 역시 문제들이 적지 않지만 당시의 조건하에서 《한국독립을 선언한다.》는 이 한마디 만으로써도 인민대중에겐 커다란 자극제가 되었으며 적들에겐 커다란 타격이었다는 것은 부인 할 수 없다.
셋째, 내외의 정세에 따라, 특히 국내 인민들의 반일감정, 반일기세 및 기타 여러 가지 요소들을 고려하여 거사일자 등을 적시적으로 옳게 결정함으로써 운동이 전국적 범위 내에서 일제히 일어나고 신속히 파급될 수 있게 계기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그들의 역할은 인정 하지만 인정한다고 해서 이것은 결코 그들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며 그들의 엄중한 문제들에 대해 묵과한다는 것이 아니다. 그러면 그들의 엄중한 문제는 무엇이며 그것들을 어떻게 볼 것인가? 이것은 복잡한 문제로서 구체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느껴지는데 역시 역사주의적 태도로 보아야 할 것 같다.
그들의 사상과 행동상에서의 제한성은 무엇이 있을까?
첫째, 부르조아 민족주의자들이 주장한 《민족대단합》은 말로는 《대단합》이였지만 기실은 민족주의상층인물들의 단합이었지 전 민족적인 단합은 아니었으며 또 그럴 수도 없었다는 것이다.
둘째, 민족대표들이 3.1운동을 계획하고 준비함에 있어서 근본적인 지도사상은 비폭력적인 평화주의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부르조아 민족주의자들의 취약성을 낱낱이 폭로한 가장 집중적인 표현으로 된다.
다 아는 바와 같이 민족대표들은 자초부터 이번 운동을 비폭력적인 평화적인 청원운동의 형태로 전개하려고 하였던바 《3.1독립선언서》는 그들의 이 같은 사상과 주장을 집중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비폭력 운동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잘 알지 못했던 경우이다.
셋째, 부르조아 민족주의자들이 3.1운동을 평화적인 청원운동으로 이끌어나감에 있어서 다른 하나의 문제는 국제열강들의 도움을 받아 한국독립을 실현해 보려고 환상했다는데 있다.
말하자면 그들은 이른바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와 파리강화회의에 막연한 기대를 걸고 국제열강들이 한국을 독립시켜줄 것이라고 믿고 있었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모두어 말하건대 33인 또는 48일 민족대표들은 위대한 3.1운동을 계획하고 조직한 사람들로서 운동의 준비단계에서 확실히 지도적 위치에 서있었다. 물론 그들에겐 계급적제한성 내지는 시대적제한성으로 말미암아 사상과 행동상에서 많은 문제들이 존재하고 있는 것만은 사실이지만 적어도 운동준비단계서의 역할만은 인정받아야 할 것이라고 본다. 그런데 운동의 준비단계에서도 그들은 지도적 역할을 완만하게 한 것은 아니며 또 그들은 다만 운동의 준비단계에서만 잠시 지도적 위치에 서 있었을 뿐 운동의 전반에서 지도적 위치에 서 있는 것은 아니었다. 뿐만 아니라 운동의 발발과 함께 그들은 투항주의구렁텅이에 굴러 떨어짐으로서 그들의 역사적사명이 끝난 것으로 된다.
한국인민의 거족적인 반일구국투쟁으로서의 3.1운동은 한국의 부르조아 민족주의자들이 그 이상 한국민족해방운동을 령도 할 수 없다는 것을 충분히 폭로하였으며 이때를 계기로 하여 노동계급을 역사무대에 등장시키고 한국민족해방운동으로 하여금 새로운 단계에로 이행케 하였다. 송건, 「3.1운동과 민족대표의 역사적 역할에 대하여」, 『단국대 정책과학 연구』, 정책과학연구, 2004년 ,171쪽~ 179쪽
Ⅲ. 맺음말
지난 월드컵 붉은 물결이 시청 앞 광화문에 번져나갔던 것을 기억하는가? 이것은 어느 때 보다도 한국적이었던 모습으로 나는 상기할 수 있다. 우리가 이처럼 엄청난 인파의 집결은 어쩌면 역사에서부터 당연하다고 볼 수 있다.지금까지 살펴본 1919년 3.1일에 일어났던 3.1운동이 그러한 것이다. 그런데 그동안 3.1운동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했었다는 것이 공부를 하면서 부끄러웠고, 그렇지만 몰랐던 지식을 깨닫고 우리민족이 역량이 얼마나 대단한가도 느낄 수 있었던 점에서 보람을 느꼈다.
참고문헌
김삼웅, 『33인의 약속』, 도서출판 산하, 1997년, 352쪽
이야기 한국역사 편집위원회 지음, 『이야기 한국역사』, 풀빛, 1979년, 15쪽~35쪽
민족문회협회, 『3.1운동』,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82년, 49쪽~61쪽
주진오 외 4인, 『한국 근·현대사』, 중앙교육진흥연구소, 2003년, 184쪽~185쪽
주진오 외 4인, 『한국 근·현대사』, 중앙교육진흥연구소, 2003년, 186쪽
장근호, 「일제하 한국기독교의 민족운동」,『3.1운동을 중심으로』한일장신대 한일신학대학원, 2003년 , 26쪽~ 28쪽
이투스 사회팀, 『누드교과서 근·현대사』, 이투스, 2004, 247쪽
이야기 한국역사 편집위원회 지음, 『이야기 한국역사』, 풀빛, 1979년, 107쪽~109쪽
송건, 「3.1운동과 민족대표의 역사적 역할에 대하여」, 『단국대 정책과학 연구』, 정책과학연구, 2004년 ,171쪽~ 179쪽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6.13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47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