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전.중.후 간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상태에 따라 자우된다
- 이상적인 환자의 자세는 폐가 완전하게 확장되는 체위를 말한다
- 옆으로 눕거나 복와위(semiprone)자세로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앞으로 내민 자세이다
- 등을 대고 누운 자세에서는 흉곽의 확장이 감소된다
- 머리를 과도신전시켜 누운 자세는 폐를 충분히 확장시키나, 수술직후에는 분비물로 인한 기도 폐색의 염려가 있어 위험하다.
d. 마취약물의 제거 촉진
- 마약성 진통제의 약물효과를 제거하기 위하여 길항제인 naloxone(Narcan),
- 근육이완제의 효과를 소실시키기 위하여 atropine, glycopyrrolate(robinol)를 neostigmine과 함 께투여
- Atropine sulfate는 서맥과 기도분비 과다와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시킨다
e. 기침증진
- 얕은 기침은 기침은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지 못하고 피로감만 유발시킨다
- 깊고 생산적인 기침을 하여야한다
- 필요시 수술부위지지, 체위변경, 활동량 증가, spirometer를 사용하도록 하며
- 침구, 타월, 작은 베개, 또는 손으로 수술부위에 약간의 압박을 가하여 지지를 해준다
(2) 순환의 유지
[목표] 모든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여 적절한 순환을 유지하고, 손상된 수술조직의 일차적 상처치유에 도움이 되도록한다
a. 심부정맥의 치료
- 부정맥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는 특별한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 일반적인 조기 박동과 동성빈맥은 저산소혈증과 과탄산혈증이 원인이므로 환기를 충분히 해줌으 로써 치료한다
- 심실의 조기박동은 항부정맥제를 투여한다
- 수술과정에서 생긴 심근경색증의 경우 혈전용해제를 투여한다
- 동성서맥은 아트로핀을 정맥으로 투여하여 조절한다
- 생명을 위협하는 심실세동, 심장의 무수축상태 등은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한다
b. 정맥혈 귀환 촉진
-환자가 걸을 수 있을 때까지 항색전 스타킹을 신게 한다
-오금부위는 절대로 압력이 가해져서는 안된다
-혈전이동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수술 후 환자의 다리 근육부분은 마사지 하지 않게 한다
-간헐적 외부 공기 압박법을 적용한다
(발에서부터 대퇴상부나 무릎아래까지의 부분을 cuff로 감고 빠르게 40~50mmHg까지 압력을 올 린 다음 10~12초 정도 유지하다가 45초 동안 제거한다. 심부정맥 혈전증의 위험성이 높은 환자 에게 효과적)
(3) 상해의 예방
[목표] 수술 후 환자가 마취에서 완전히 깨어나게 하여 낙상이나 부적절한 상해로부터 보호한다
a. 마취후 신경계의 회복증진
- 수술 후 의식이 돌아온 환자는 1시간이 지나면 다시 잠에 빠져든다.
- 부르거나 흔들어 깨워 반응을 보이게 한다.
- 폐기능과 순환기능의 유지는 남아있는 마취제의 작용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 필요시 산소요법과 수액공급을 증가하고,
저혈압일 경우 epinephrine과 phenylephrine을 투여한다.
- 올바른 배뇨를 위해 방광부위에 손으로 압력을 가하는 crede maneuver방법을 사용한다
- 방광팽만이 예측되면 자주 도뇨를 한다
(4) 수액과 전해질 균형 유지
- 대수술후 수분량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환자의 나이, 몸무게, 체표면적, 수술 전 상태, 수술과 정, 등을 고려하여 정맥내 수액을 공급한다.
- 포타슘은 첫 24시간후 정맥수액에 첨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
(5) 정상체온의 유지
a. 저체온증의 처치
- 정맥수액을 덥혀서 주입하고, 더운 담요를 사용하며, 물침대나 더운 공기침대, 보온용 조명 등을 사용한다.
- 방안 온도를 덮히거나 머리/신체를 덮어준다
b. 악성 고체온증의 처치
- 전신 마취기간동안에 자주 일어나나, 마취제 투여후 2,3시간 내에 회복실에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 의미있는 체온의 변화는 의사에게 즉시 보고하고
- 산소의 투여
처방에 따라 즉각적으로 정맥내 dantrolene sodium을 투여, 차가운 담요, 차가운 정맥주사, 얼 음주머니 등의 직접적인 저체온 처치, 집중 치료실에서 48시간동안 계속적인 환자 관찰을 한다.
(6) 안위의 증진
- 수술 후 통증으로 인한 고통은 환자의 관점에서 가장 의미있는 수술 후 문제가 될 것이다
- 진통제는 통증이 심하기 전에 사용하는 것이 보다 큰 효과를 가져온다
- PCA(patient-controlled analgesia)
- 경막외 또는 지주막하 부분에 약물을 직접 투여- 마취사에 의해 관이 삽입
- 수술 후 첫 48시간에서 72시간까지의 통증은 적은 양의 진통제로 조절되는데 의사의 ‘prn' order로 간호사는 환자의 즉각적인 요구에 중재를 수행한다
- Morphine sulfate와 meperidine
- 마약성 진통제와 비슷한 효과를 가지나 기침중추를 억제하지 않고, 호흡의 깊이나 횟수에 영향 을 주지 않는다.
(7) 배뇨기능의 증진
- 수술 후 소변기능이 정상이 될 때까지 매우 집중적으로 관찰해야한다. 적어도 30ml/hr의 소변을 보아야 정상적인 신장기능을 유지하게 되며, 50ml/hr가 바람직하다
- 소변을 보는 것이 계속 불가능하다면 정체도뇨관을 삽입하여야 한다.
- 환자가 가능하다면 구강으로 투여하는 수분은 권장한다. 환자의 수분섭취량 증가는 방광의 배 설능력을 돕는다.
(8) 피부통합성의 유지
- 의심스럽게 발적된 부위는 관찰하고 이런부위의 마사지를 실시한다
- 체위를 자주 변경한다.
- 뼈 돌출부위에 패드를 대 준다
- 지방이 없고 탄력성이 적은 노인환자의 경우 특별 주의를 한다
(9) 오심, 구토의 감소
- 구토를 하는 환자는 옆으로 뉘인다
- 수분은 수시간동안 제한한다
- Trimethobenzamide hydrochloride(Tigan), prochlorperazine dimaleate(Compazine)을 주사
- ondansetron(Zofran)
(10) 불안의 감소
- 심리적으로지지, 대상자, 보호자와 함께 수술로 인해 변화한 것에 대한 기대, 느낌, 생에 미 칠 영향에 대하여 토의 하고, 느낌 표현을 격려, 경청한다
- 비애과정이 정상과정임을 확신시키며, 지지집단, 지여사회 의뢰기관을 찾아준다
(11) 퇴원계획
-퇴원교육: 상처관리, 활동제한, 식이, 약물, 개인위생, 병원 약속날짜

키워드

수술,   검사,   간호,   사정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10.06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05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