뤼스 이리가라이의 이론을 통해 살펴본 루이스 부르주아 작품의 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루이스 부르주아 작품 해석의 근거:
-뤼스 이리가라이의 여성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Ⅲ. 여성적 글쓰기로서 부르주아의 작업
ⅰ. 모성성
ⅱ. 촉각성
ⅲ. 양성성

Ⅳ. 나가는 글

*참고문헌

본문내용

Bourgeois's Femmes-Maisons」, Women's Art Journal, Fall 1992/Winter 1993 p. 25.
라는 부르주아의 말에서 함축하듯이, 부르주아 작업에서 발견되는 양성적이고 복수적인 주제란 어떠한 것도 배제하거나 무시하지 않는, 자아와 타자가 통합된 모호하고 다의적 이미지의 표현인 것이다. 따라서 부르주아의 양성적인 조각 언어는 이리가라이가 언급하였던 재현되지 않으며 정의되지 않는 일시적으로 위치 지워진 관계의 양상들로, 자아이자, 자아이기를 거부하는 개념인 것이다.
Ⅳ. 나가는 글
루이스 부르주아는 남성 중심적 사회에서 여성으로서 겪는 소통의 어려움과 절실함을 토대로 부르주아식의 여성 언어를 제안하고 있다. 본 논고에서 이러한 부르주아의 언어를 뤼스 이리가라이의 여성적 글쓰기 이론을 활용하여 모성성 촉각성 양성성으로 구분하여 논하였다. 이리가라이가 여성의 신체 정서 감정은 부드럽게 흐르는 풍부한 성질을 갖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과 같이, 부르주아 역시 그러한 특징을 지닌 작가일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작가의 성격을 토대로 형성되는 언어는 남근 중심적인 이분법적 가치관의 허위성을 고발하고, 여성의 의미와 가치를 회복시키며, 궁극적으로 남성 대 여성이라는 이분법적 경계를 넘어선 타자 지향적 특성을 지닌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글에서 부르주아의 작품을 모성성 촉각성 양성성으로 분류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부르주아의 여성 언어에 당위성과 의의를 부여하기 위한 분석적 방법의 하나일 뿐, 위와 같은 요소들은 작품에 공존하고 있음을 밝힌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부르주아 시각과 관점이 여성의 신체와 정신, 감정과 성질에 의미를 부여하며, 더불어 아직 연구가 체계화 되어있지 않는 부르주아의 여성 언어가 복합적 다층적 사고체계와 독립적자율적인 의미 체계로서 의의를 부여하는데 일조하였기를 기대한다.
< 참고 문헌 >
단행본
강승완,『루이스 부르주아 : 기억의 공간』, 국립현대미술관, 삶과 꿈, 2000 .
김인환 외 18인,『프랑스 문학과 여성』,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3.
레나린트호프, 이란표 역, 『페미니즘 문학이론』, 서울: 인간사랑, 1998.
로즈마리통, 이소영 역, 『페미니즘 사상: 종합적 접근』, 한신출판사, 1995
루스 이리가라이, 권현정 역,『성적 차이와 페미니즘』, 공간문학사, 1997.
――――――――, 박정오 역,『근원적 열정』, 동문선, 2001.
――――――――, 이은민 역,『하나이지 않은 성』, 동문선, 2000.
――――――――, 박정오 역 『나, 너, 우리(차이의 문화를 위하여)』, 동문선, 1998.
마단 사럽, 전영백 역,『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조형교육, 2005.
말리스 헬링어, 김종수 역,『문학과 페미니즘 언어학과 성차별 메커니즘』,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6.
박미화,「루이스 부르주아 : 자유를 찾은 누에」,『 루이스 부르주아 : 기억의 공간』, 국립현대미술관, 삶과 꿈, 2000.
이브 미쇼, 정재곤 역,『미술 여성 그리고 페미니즘』, 궁리출판사, 2004.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정신분석 세미나팀,『페미니즘과 정신분석』, 서울: 여이연, 2003
안혜련, 『페미니즘의 거울』, 인간사랑, 2001.
윤난지,『현대미술의 풍경』,한길아트, 2005.
――――, 『모더니즘 이후 미술의 화두』,눈빛, 2004.
엘리자베스 라이트, 박찬부, 정정호 역,『페미니즘과 정신분석학 사전』,한신문화사, 1997.
――――――――, 이소희 역,『라캉과 포스트페미니즘』, 이제이북스, 2002.
자크 라캉, 민승기, 이미선, 권택영 역,『자크 라캉 욕망이론』 , 문예출판사, 1994.
크리스 위든, 조주현 역,『여성해방의 실천과 후기구조주의 이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3.
――――――――, 이화영미문학회 역,『포스트구조주의와 페미니즘 비평』, 한신문화사, 1994
팸 모리스, 강희원 역, 『문학과 페미니즘』, 문예출판사, 1997.
한국 영미문학 페미니즘 학회 지음, 『페미니즘 어제와 오늘』, 민음사, 2000.
Louise Bourgeois, Marie-Louise Bernadac & Bernad Hans Ulrich Orich(ed)(1998) Destruction of the Father / Reconstruction of the Father: Writings and Interviews 1923-1997, MIT Press, 1998.
Julie Nicoletta, 「Louise Bourgeois's Femmes-Maisons」, Women's Art Journal, Fall 1992/Winter 1993.
Elizabeth Wright,『Feminism and Psychoanalysis』, Oxford: Basil Blackwell, 1992.
정기간행물
미술사 연구회, 「루이스 부르주아 <밀실(Cells)>연작 연구」, 제19호, 2005, pp.325-354
이지은,「사이버 공간의 몸-미술, 권력 그리고 젠더」,『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제e21집』, 2004.
최태만,「Exbition & Theme-Louise Bourgeois」,월간미술 9월, 2000.
Griselda Pollock,「Old bones and Cocktail Dresses: Louise Bourgeois and the Question of Age」, Oxford Art Journal, 1999.
학위논문
김민정,「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ourgeois)의 작품세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이승은,「정신분석학적 해석을 통한 Louise Bourgeois의 작품세계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정성희,「정신분석학적 해석을 통한 루이스 부르주아 작품의 페미니즘적 요소」,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목 차
Ⅰ. 들어가는 글
Ⅱ. 루이스 부르주아 작품 해석의 근거:
-뤼스 이리가라이의 여성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Ⅲ. 여성적 글쓰기로서 부르주아의 작업
ⅰ. 모성성
ⅱ. 촉각성
ⅲ. 양성성
Ⅳ. 나가는 글
*참고문헌
  • 가격1,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10.11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12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