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과 후 학교 실효성에 관한 논의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II. 본 론
1. 방과 후 학교 연혁 및 시행 계획 - 정부 제시 내용을 중심으로
1) 방과 후 학교의 정의
2) 방과 후 학교 시행 취지 및 내용
3) 운영 방법 및 프로그램
4) 방과 후 학교 인력풀 구성
5) 방과 후 학교 향후 발전 계획
6) 방과 후 학교 운영 성과
2. 방과 후 학교의 찬반 논쟁(실효성 및 위헌성 문제)
1) 방과 후 학교 도입 찬성 의견 및 성공적 학교 사례
2) 방과 후 학교 도입 반대의 의견
3. 현장연구 I. - 현장 조사 학교 사례
1)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신즐고만)
2) 대신중학교
3) 각 학교 운영방식에 대한 소결론
4. 현장 연구 II. - 방과후 학교 참여자 인터뷰 내용
1) 고려대학교 ‘신즐고만’ 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생 인터뷰
2)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학생 인터뷰
3)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교사 인터뷰
4) 인터뷰의 소결론

III. 결 론: 요약 및 방안 제시

본문내용

학교 내로 흡수하는 것과 동시에 맞벌이 부부, 저소득층 자녀의 보육 기능 등을 담당하는 교육복지 실현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많은 시범사례, 그리고 교육 현장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자구책들이 방과 후 학교라는 이름으로 종합되었고 아직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보인다. 일부 우려가 될 만한 면도 나타나기도 하였지만, 우리나라 교육문제에 대한 실효성 있는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다. 여기에 앞으로 필요한 것은 시행되는 모습과 관련해 방과 후 학교에 대한 현실적인 사회적 논의를 통해, 장단점을 잘 고려하고 더 나은 방향으로 적용해 가는 것일 것이다.
방과 후 학교가 갖는 몇 가지 장점들 중 가장 기대되는 부분은 수요자 중심의 교육이라는 점이다. 물론, 방과 후 학교가 현실적으로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에서 뿌리 깊은 교육의 모든 병패를 씻어내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소위 ‘황제 보충수업’ 이라는 이름으로 시행되고 있는 고액의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경우 저소득층의 학생들에게는 오히려 교육의 부익부빈익빈현상을 더욱 절감하도록 할 수 있고, 일부 사례 학교에서 보이는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참여에 있어 강제적인 면들은 이전에 논쟁 되었던 ‘보충수업’의 자율성 논란을 그대로 답습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기도 한다.
요컨대 방과 후 학교가 기존의 학교교육이 갖는 획일성, 타율성, 강제성 등의 단점을 어느 정도는 보완해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되지만, 방과 후 교육활동이라는 이름아래 강제성을 갖는 보충수업이 시행되고 있는 대신중학교 등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학생의 선택권마저 없어진다면 방과 후 학교는 그 고유의 의미를 찾기 어렵게 될 것이다. 시행 초기의 과정에서 그러한 부정적 사례는 오히려 학생들에게 방과 후 활동에 대한 반감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기대하는 ‘학생에게 선택권이 보장되는 수요자중심의 교육’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살리는 측면에서 이루어지도록 시행 개선이 동반된다면, 방과 후 학교는 굉장히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학생의 입장에서 대학입시와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흥미와 상관없는 과목을 선택하였더라도, 학생들은 기존의 학교 수업에서 경험해보지 못했던 방식의 수업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한 과정에서 시간이 지나면, 스스로의 교육 욕구에서 과목을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고, 또는 자신의 부족한 수업부분을 스스로 채워나가는 교육의 주체로서의 자질 또한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시범학교의 몇 가지 사례들로 방과 후 학교의 실효성을 말하기는 성급한 감이 있다. 모든 교육문제가 그러하듯 찬반의 입장에서 적절한 수준의 기준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방과 후 활동의 장점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단점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관련법의 조속한 제정이 필요하며, 방과 후 활동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교육관계자들의 각고의 노력이 있어야하겠다.
그러한 점에서 앞으로 시간을 두고, 방과 후 학교 시행 모습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며, 다음에서는 마지막으로, 우리 조가 확인했던 현재까지의 방과 후 학교 사례들과 전문가들의 의견들을 바탕으로, 방과 후 학교 시행에 있어 필요한 사항들을 정리·제시해보고자 한다.
첫째,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수립 및 계획 측면.
많은 지적이 나왔듯이 방과 후 학교 활성방안에 대한 구체적, 체계적인 방안이 아직 미흡하다는 것이다. 토론 및 연구 등을 거쳐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을 체계적인 형태로 조직하고, 구체화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관련 교육관계자, 전문가들의 노력이 더욱 많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둘째, 교사 부담 관련 측면
방과 후 학교 성공의 관건은 결국 교사에게 있을 것이다. 그런데 방과 후 교육활동은 교사가 정규수업 이외의 시간에 이루어지는 활동이라는 점을 감안해야 할 것이다. 또한 운영관리 교사 역시 학교와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을 연결해주는 활동이라는 점에서 대단한 업무 부과가 된다는 점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사의 업무과중은 교사의 사기 저하와 연결되어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비효율적인 효과, 그리고 결과적으로 학생의 낮은 만족도를 낳을 수도 있으므로, 부담을 받게 되는 교사에 대한 처우가 반드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 관련 측면
방과 후 학교 시행을 위해서는 학교장과 교사들이 학교를 더 이상 폐쇄적이지 않고, 교실이 담임교사의 것이 아님을 받아들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정부가 처음에 목표로 한 사회적 효과를 얻을 수 있기 위해서는, 학교가 공교육만을 위해 열리는 장이 아님을 교사들이 먼저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들이 열린 마음으로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을 받아들이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고, 또한 학교는 자신 학교가 처한 여건을 면밀히 검토하면서, 방과 후 학교 운영의 한계와 가능성을 확인하는 일이 중요할 것이고, 이를 위해 물적·인적 여건을 면밀히 조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중요한 것이 학교 내에 방과 후 학교 전담팀 등의 담당관리조직이 필요할 것이라는 것이다. “우선 학교장, 학부모 중심의 학교운영위원회를 주최로 한 학교 내에 방과후 학교 전담팀을 구성하고, 방과 후 학교 운영장을 중심으로 그 아래 교육관리국, 교육기획국, 인사관리국, 재정관리국 등의 체계적인 조직구성을 통해 시간표 작성 및 강사와 수업내용의 관리, 학습에서의 학부모와의 연계 등이 체계적으로 관리 조직되어야 한다”는 의견처럼 방과 후 학교 담당 조직이 학교 내에서 필요할 것이다.
넷째, 위탁운영 관련 측면
위탁운영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문제점들 또는 시행과정에서 보여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등이 필요할 것이다. 위탁경영을 통한 방과 후 학교가 단지 수익성을 목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다섯째, 지역사회 관련 측면
지역주민에게도 열린 학습을 제공하는 방과 후 학교를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을 지역학교와 함께 열린 학습을 지향하게 하고, 또 지역주민들 스스로가 학교의 시설물과 학교의 여러 학습을 자진해서 도울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할 것이다.
  • 가격2,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7.10.18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23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