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희 <조선초기 원상의 설치와 그 성격> 정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주목해야 할 점은 원상혁파가 핵심 원상들의 사망과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즉, 성종의 장성과 대비의 섭정종식이 원상 혁파로 이어진 것은 사실이었지만 그것이 가능했던 것은 핵심 원상들의 사망에 따른 원상세력의 약화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신숙주, 홍윤성 등이 연이어 사망함에 따라 원상세력이 위축되었으며, 이런 배경 하에서 대비의 섭정이 종식되고 원상이 혁파될 수 있었던 것이다.
원상이라는 것은 이번에 처음으로 들어보는 말이었다. 한문도 막 섞여 있고 해서 어려운 내용이면 어쩌지 하는 두려움부터 가졌다. 그러나 내용은 그나마 쉬웠다. 원상은 원래 어린 왕의 정치를 돕고자 좋은 의미로 만들었으나, 점점 갈수록 그들은 왕권을 위협하고 이제는 왕대신 정치를 하려고까지 한 것 같다. 그러하기 때문에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리하여 성종은 이들의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노력을 한 것 같다. 그러나 역시 세월을 못 이긴다고 원상들이 점차사망하자 그들의 세력은 약화되고 말았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고, 신하들의 세력이 왕권보다 강해지면 국정이 약해져 나라가 망할 것이다. 그러니깐 내 생각으로는 원상제를 혁파하는 것이 좋은 것 같다.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12.16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25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