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김치의 과거와 현재 및 향후 세계화 방안 분석(역사속 김치, 김치 어원, 김치 원료, 김치의 맛과 영양, 김치의 효능, 김치의 저장, 계절에 따른 김치, 각 지역별 김치, 김치 산업, 김치의 세계화 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치]김치의 과거와 현재 및 향후 세계화 방안 분석(역사속 김치, 김치 어원, 김치 원료, 김치의 맛과 영양, 김치의 효능, 김치의 저장, 계절에 따른 김치, 각 지역별 김치, 김치 산업, 김치의 세계화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우리 역사속의 김치
1. 동국이상국집
2. 증보산림경제
3. 선사시대부터 삼국시대
4. 고려시대
5. 조선시대

Ⅲ. 김치의 어원

Ⅳ. 김치의 원료
1. 배추
1) 생산현황
2) 품종
3) 영양학적 특성
4) 상품 특성
2. 무
1) 생산 현황
2) 품종
3) 영양학적 특성
4) 상품 특성
3. 기타

Ⅴ. 김치의 맛과 영양

Ⅵ. 김치의 효능
1. 영양상의 균형 유지
2. 김치의 항암효과
3. 풍부한 비타민과 신진대사 활성화
4. 유산균의 정장작용

Ⅶ. 김치의 저장
1. 김치광
2. 이중독과 석정

Ⅷ. 계절에 따른 김치
1. 봄
2. 여름
3. 가을
4. 겨울

Ⅸ. 각 지역별 김치
1. 서울
2. 경기도
3. 충청도
4. 전라도
5. 경상도
6. 평안도
7. 함경도
8. 황해도
9. 강원도
10. 제주도

Ⅹ. 김치 산업

Ⅺ. 김치의 세계화 방안

Ⅻ. 결론

본문내용

김칫국은 넉넉하게 부어, 익으면 국물 맛이 찡하면서도 신맛이 나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동치미를 담글 때 새우젓이나 조기젓 또는 육수를 이용한 김치 국물을 부어 익히는데 겨울에는 이 동치미국물로 메밀국수를 말아 먹기도 한다. 동치미·고수김치·호박김치 등이 유명하며 이 지역에서 나는 생선을 많이 이용하여 채소와 곡물, 생선을 넣어 함께 발효시킨 가자미 식해와 콩나물 김치는 지역 특산물로 잘 알려져 있다.
8. 황해도
황해도는 예부터 인심이 후하기로 유명하여 음식이 푸짐하며 큼직한 것이 특징이다. 김치에 고수와 분디라는 향신료를 쓰는 것이 특이하고 김치의 맛은 맵지 않고 시원한 것이 특징이다.
9. 강원도
젓국을 많이 쓰지 않으며 동해의 싱싱한 생태와 오징어를 넣어 특색 있게 만든다. 배추김치에 소를 넣는 것은 중부지방과 같으나 생오징어 채와 꾸득꾸득 말려서 잘게 썬 생태에 소를 버무려 넣고, 무를 큼직하게 썰어 고춧가루로 버무린 다음 배추에 켜켜로 집어넣는 것이 다르다. 특히 깍두기는 창란젓을 사용하여 만들기도 한다.
10. 제주도
제주도는 우리나라 서남쪽에 자리한 가장 큰 섬이다. 기후가 따뜻해 김장의 필요성이 두드러지진 않으나, 수산자원이 풍족해 해산물 김치가 많다. 전복김치· 해물김치· 나박김치 등이 있다.
Ⅹ. 김치 산업
우리 나라에 김치가 가정 단위의 자가 제조 형태에서 기업적으로 생산 된 것은 1960년대 중반 장병들에게 김치 통조림을 납품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1970년대부터 각종 산업의 공업화에 따른 대단위 공단의 형성, 해외 근로자의 증가에 따른 집단 급식의 필요에 따라 김치 제조의 기업화 요구도가 가속되었으나, 김치를 포함한 절임류 제조업체들이 대부분 영세하여 기업으로 자리를 잡은 회사는 소수에 불과하다. 근년에 들어서 해외 교포들의 김치 수요가 늘고, 외국인들도 김치를 좋아하게 되어 국내 업체들이 김치를 상품화해서 수출하는데 눈을 돌리게 되어 대규모로 생산, 판매하게 되었다.
국내 김치 제조업체의 수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곤란하나 크고 작은 업체들이 대략 200여개 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이 영세하여 어느 정도 기업 형태를 갖춘 업체는 120개 정도이다. 시장 규모는 내수와 수출을 포함하여 6백여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처럼 김치 시장이 작은 것으로 생각되는 것은 일반 가정에서 김치를 시장에서 구입하기보다는 자가 제조하여 먹기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 김치의 세계화 방안
김치가 세계인의 음식이 되기 위해선 우선 우리 모두가 먼저 김치에 대해서 잘 알아야 할 것이다. 김치의 역사는 삼국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삼국시대에 이미 지금과 같은 채소류가 이용됐다는 기록으로 미뤄볼 때 그 이전부터 이용됐을 것이란 게 학계의 추측이다. 또 김치는 영양면에서 세계의 어떤 음식과 견주어도 떨어지지 않는다. 김치에는 각종 영양소 외에 발효과정에서 생성되는 유기산, 젖산균등 생리활성 물질이 풍부하다. 연구 결과 변비와 동맥경화를 예방해줄 뿐만 아니라 빈혈 예방, 노화방지, 항암 효과에 뛰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런 우리나라의 김치가 패스트푸드의 부정적 영향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김치를 세계화시키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있을까? 우선, 새로운 김치개발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요즘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굉장히 높다. 우리 고유의 김치 맛은 살리면서 건강을 고려한 새로운 김치를 개발한다면 긍정적 효과가 클 것이라고 기대된다. 예를 들어 당뇨에 좋은 우엉김치, 감기나 위장에 좋은 호박김치, 혈압에 좋은 인삼김치 등 특색 있으면서도 몸에 좋은 김치를 많이 선보여야 할 것이다.
또한 많은 외국인들에게 우리의 김치를 널리 알리는 것도 김치를 세계화시키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외국인이 많이 찾는 관광 명소 같은 곳에 다양한 김치에 대한 시식회를 열어 외국인의 선호도를 조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김치를 수출하려면 꼭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다. 아무리 맛있게 김치를 담그더라도 포장을 잘 해야만 수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김치는 발효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진공포장을 한다 해도 유통과정에서 발효돼 포장이 금방 부풀어오를 것이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여 김치의 새로운 시장진출을 해야 한다.
. 결론
한 민족의 식생활 문화는 그들이 살고 있는 고장의 자연 조건에 따라서 기본틀이 이루어지고 그것이 역대의 사회 환경 조건의 영향을 받으면서 변천과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우리 나라는 신석기시대 중기경부터 잡곡 농사를 시작하였고, 기원전 2000년경에는 일부 지역에서 벼농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로 오늘날까지 벼농사국으로서 역사를 이어오고 있다. 또한 콩류는 잡곡농사 때부터 재배하였고, 벼농사 이후에도 풍토에 맞추어서 잡곡 농사를 겸하였으므로 쌀, 콩류, 여러 가지 잡곡을 상용 주요 식품으로 하여 식생활의 기본을 이루게 되었다. 잡곡 중 조, 기장, 수수 등은 잡곡농사 때부터 재배하였으나 보리는 벼농사 이후에 들어온 것이고 밀은 그보다 훨씬 뒤인 대체로 1~2세기경에 들어온 것이다. 한편 삼면이 바다인데다 한류와 난류가 교체되어 어패류의 종류가 많고 계절성이 커서 일찍부터 젓갈과 같은 발효 식품 가공 솜씨가 발달하였고, 상고 시대부터 사냥을 잘하여 농업국으로서는 드물게 고유한 고기 요리 솜씨가 발달하여 전통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일상식은 밥을 주식, 반찬을 부식으로 구성한 밥상 차림이 정착되었고, 의례·잔치상 등은 여러 가지 술안주 요리, 국수장국·냉면과 같은 국수 요리, 떡, 한과, 음청류 등으로 차린, 즉 주식·부식의 구분이 없는 차림으로 전통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한편 사계절의 구분이 확실하여 식품 산출에 있어서 계절성이 컸으므로 철에 따라 상용 반찬에서부터 변화가 있게 되고 한편으로는 장류, 김장, 젓갈, 장아찌와 같은 저장 가공 식품의 솜씨가 발달하였다. 또한 절기(節氣)에 맞추어서 명절 음식의 풍습을 보편화함으로써 명절의 의미를 새길 뿐 아니라 농사일을 순조롭게 하고 마을과 가족의 소속감을 공고히 하며 상호 부조의 의식을 갖게 하는데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었다.

키워드

김치,   김치산업,   배추,   김장,   발효
  • 가격6,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01.1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66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