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의 특성, 김치의 역사, 김치,김장 및 지의 어원, 김치의 저장, 김치와 김칫독, 김치와 영양, 김치에 의한 항암작용, 김치담는 법과 다양한 김치 종류, 각 지방의 김치, 현대 식탁에서의 김치의 의미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치의 특성, 김치의 역사, 김치,김장 및 지의 어원, 김치의 저장, 김치와 김칫독, 김치와 영양, 김치에 의한 항암작용, 김치담는 법과 다양한 김치 종류, 각 지방의 김치, 현대 식탁에서의 김치의 의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김치의 특성

Ⅲ. 김치의 역사
1. 선사시대부터 삼국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Ⅳ. 김치, 김장 및 지의 어원

Ⅴ. 김치의 저장

Ⅵ. 김치와 김칫독

Ⅶ. 김치와 영양

Ⅷ. 김치에 의한 항암작용

Ⅸ. 김치담는 법과 다양한 김치 종류
1. 김치 담는 기본
1) 배추 절이기
2) 젓갈의 사용
3) 김치 숙성중 변화와 저장
2. 대표김치
1) 배추김치
2) 깍두기
3) 총각김치
4) 나박김치
5) 동치미
6) 오이소박이
7) 열무김치
8) 백김치
9) 쌈김치
10) 섞박지
3. 봄김치
1) 연배추통김치
2) 배추겉절이
3) 돌나물김치
4) 미나리김치
4. 여름김치
1) 얼갈이 김치
2) 오이송송이
3) 부추김치
4) 양배추깻잎물김치
5. 가을김치
1) 깻잎김치
2) 고구마줄기김치
3) 무청김치
4) 고추․고춧잎김치
6. 겨울김치
1) 호박김치
2) 파김치
3) 갓김치
4) 고들빼기
5) 알타리동치미
7. 별미김치
1) 숙깍두기
2) 석류김치
3) 비늘김치
4) 장김치
5) 콩잎김치
6) 더덕소박이
7) 우엉김치
8) 가지소박이
9) 상추김치

Ⅹ. 각 지방의 김치
1. 서울 경기
2. 강원도
3. 충청도
4. 경기도
5. 전라도
6. 제주도
7. 황해도
8. 평안도
9. 함경도

Ⅺ. 현대 식탁에서의 김치의 의미
1. 김치 주재료의 영양가치
2. 한국인의 영양섭취 실태에 따르는 김치의 식탁에서의 비중
3. 김치와 한국인의 자존심

Ⅻ. 결론

본문내용

래종 배추의 줄기나 꽃봉우리로 동지김치를 담가 일찍이 봄의 미각을 즐긴다고 한다. 물김치에 전복을 큼직하게 썰어넣고 담그는 전복김치가 있고, 해물김치, 나박김치, 동지김치 등이 있다.
7. 황해도
서울, 경기, 충청도와 같은 서해안에 접하고 있고 기후 차이도 별로 없어 김치 맛이 서로 비슷하다. 차이점은 분디,고수등의 향신채를 쓰는데 분디는 호박김치에 고수는 배추김치에 각각 넣는다. 호박김치는 충청도와 공통된 것으로 호박에 절인 배추를 큼직하게 썰어 넣고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 익힌다. 김치찌개 끓이듯 끓여서 먹는데 충청도식은 애호박과 분디를 쓰지 않는다. 젓갈은 새우젓,조기젓을 많이 쓰고 간은 중간 정도이며 국물도 알맞게 넣는다. 특히 미세하게 생긴 새우 자하로 젓을 담근 것을 감동젓이라하여 감동젓을 넣고 담근 섞박지는 유명하다.
8. 평안도
이 지역의 김치는 국물이 많으며 삼삼하게 간을 한다. 배추와 무를 따로 담글때도 있지만 두 가지를 함께 통으로 담그기도 하며 배추나 물에 넣는 소는 무채, 파, 마늘, 생강, 고춧가루, 실고추, 생태, 생갈치, 생조개, 생새우에 반디젓(갈치새끼젓), 조기젓, 새우젓을 조금씩 보태고 간을 맞추는데 고춧가루를 많이 넣지 않는다. 국물도 함경도와는 다르게 소금물이 아니라 쇠고기를 삶아 식혀서 기름을 걷고 소금간을 삼삼하게 맞추어 붓는다. 국물이 시원하게 맛이 들면 냉면 국물로도 쓴다. 냉면 동치미와 백김치가 유명하다. 또 갈치, 새우, 토애가 많은 서해안을 끼고 있어 함경도보다는 조기젓, 새우젓을 많이 쓰는 편이나 전라도, 경상도보다는 훨씬 적게 쓴다.
9. 함경도
함경도 김치는 맵게 하지만 소금간을 짜지않게 맞추고 김칫국은 넉넉하게부어, 익으면 국물 맛이 찐하고 신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배추김치는 김치 같으면서도 맵게 만든 양념소를 군데군데 넣어, 썰어 놓았을 때 배추에 붉은빛이 군데군데 보인다. 또 젓갈을 잘 안 쓰고 생태나 생가자미를 썰어 고춧가루로 버무려서 배추사이사이에 넣는다.
. 현대 식탁에서의 김치의 의미
1. 김치 주재료의 영양가치
김치의 주재료는 배추, 무, 고추, 마늘, 파, 생강, 새우젓, 또는 멸치젓이며 이외에도 비교적 김치의 재료로 등장하는 재료는 오이, 당근, 굴, 동태, 낙지, 생새우 등 여러 가지 재료가 각 가정에 따라서 다르다.
김치의 주재료의 영양가치는 열량소의 가치에 있다기 보다는 비타민과 무기질 함량이 높은데에 그 가치를 둘 수 있다. 즉 당질이나 단백질 그리고 지방의 함량은 소량인데 비해서 Ca과 P의 함량이 비교적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서구 식사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Ca:P의 비례가 이 경우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2. 한국인의 영양섭취 실태에 따르는 김치의 식탁에서의 비중
과거에는 밥과 김치하면 초라한 한 끼니의 개념으로 생각하던 것이 요즈음은 차라리 건강식의 관점으로 그 가치를 재평가하는 방향으로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국민소득이 증가될수록 김치의 섭취량이 증가하는 반면 생야채의 섭취량은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는데 중요한 이유는 영양가치의 재평가 이후 야채가격이 상당히 증가하였다는 사실도 그 이유중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본다.
3. 김치와 한국인의 자존심
요즈음 김치의 가치가 건강과 성인병의 발병과 관련시켜서 재평가 되기 시작한 이래로 일본인들이 김치 산업을 발전시켜서 상당의 이익을 꾀하고 있다는 풍문에 우리의 자존심을 건드리게 한다. 김치에 한국의 자존심을 연결시킬만큼 김치에 대한 우리들의 관심과 연구는 세세히 이루어져야 된다.
. 결론
고래로 동서양을 막론하고 배추속 채소(십자화과, Brassicaceae)는 기본식량으로써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질병 (괴혈병, 위궤양, 장염 등등)을 치료하기 위한 민간요법제로 널리 사용되어왔었다. 고대 로마인들은 6백여년 동안 모든 지로한 치료에 대부분 이들 채소를 사용하였다고 한다. 십자화과 채소에는 식물성 2차대사물질(secondary metabolites)로 알려진 glucosinolat, flavonoid, phenol, 함황화합물 등 풍부하다. 이 물질들은 생리활성물질로서 체내에서 약리작용을 나타내는데, 특히 면역계를 강화시킴으로써 건강유지에 기여한다. 지금까지 연구된 이들 채소류의 생리작용으로는 약물대사, 항돌연변이성, 항암성, 위액분비 촉진, 방사선 저항성 등이 알려지고 있다.
십자화과 채소는 저장성이 좋고 염장에 잘 견디므로 결울철 식단에서 비타민과 무기질의 중요한 공급원이 된다. 그 대표적인 예가 김치와 sauerkraut (sauer; sour, Kraut;cabbage)이다. 한국에서는 배추를 이용하여 김치로 담아 겨울철 기본식량으로 삼았고, 구라파에서는 양배추로 사우어크라우트를 만들어 식용함으로써 건강한 겨울을 날 수 있었다. 이 두 식품은 다같이 십자화과 채소를 재료로하고 자연적인 젖산발효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는데 그 공통점이 있다. 역사적으로 사우어크라우트는 항해중에 흔히 발했던 과거의 장감염 치료에 주로 사용되었다. 불가리아의 미생물학자 Metschnikoff는 유산균이 장내용물의 부패를 막음으로써 노화를 예방할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의 이론은 유산균 발효유를 많이 음용하는 불가리아인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젖산발효채소인 사우어크라우트를 많이 섭취하는 프랑스의 장수촌에도 적용된다고 하였다(Metshnikoff, 1908). 당시의 구라파 의사들은 암환자의 식이에 사우어크라우트와 사우어크라우트 쥬스를 포함시킬 것을 권장해 왔었다.
한편 배추김치는 생리활성을 가진 여러 가지 부재료(마늘, 생강, 고추, 등등)를 사용한다는 점이 단순 절임채소인 사우어크라우트와 구분이 된다. 김치에는 영양생리학적으로 중요한 물질 즉, 비타민, 무기질, 섬유질, 유산균, 각종 발효생성물 (유기산, 알콜류, acetylcholine) 및 식물성 2차대사물질 등이 사우어크라우트에 비해 풍부하다. 이들이 생체내에서 개별적 또는 복합적으로 이뤄내는 영양생리학적 작용은 과학적인 흥미의 대상이 된다. 특히 김치의 영양생리학적 작용을 평가하는 것은 한국인 식생활의 합리성을 검토해보는데 적절한 요소가 될 것이다.

키워드

김치,   김치산업,   김장,   배추,   발효
  • 가격7,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8.01.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67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